[[분류:익산 이씨]] [include(틀:한국의 성씨)]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0 {{{+1 益山 李氏[br]익산 이씨}}}}}}''' ||}}} || || '''{{{#ece5b6 관향}}}''' ||[[전라북도]] [[익산시]] || || '''{{{#ece5b6 시조}}}''' ||[[이문진]](李文眞) || || '''{{{#ece5b6 집성촌}}}''' ||[[익산시]] [[금마면(익산)|금마면]]|| || '''{{{#ece5b6 인구}}}''' ||1,970명^^(2015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익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고구려]] [[영양왕]]의 왕명을 받아 역사서 [[신집]]을 편찬한 태학박사(太學博士) [[이문진]](李文眞)을 시조로 삼고있다. == 상세 == 익산 이씨 대종회에 따르면 신집을 편찬한 공으로 공신후로 책봉되고 이후 [[백제]]의 공주와 결혼하여 백제왕으로부터 익산땅을 영지로 하사받았다고 한다. 그 후 후손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후손인 [[고려]] 개국공신으로 태위(太尉)를 지낸 이의(李誼)를 1세조로 삼았다고 밝히고 있다. 그리고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익산군 성씨 조를 보면 익산의 토착 성씨로 이씨가 거론되고 있고[* [[https://db.itkc.or.kr/dir/item?itemId=KP#/dir/node?dataId=ITKC_KP_B001A_0340_010_0030|#]] ], 더불어 성이 이씨면서 익산을 본관으로 하는 고려시대 인물들도 여럿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최소한 [[고려시대]]부터 익산에 이씨가 터를 잡고 살아왔다는 것은 분명하다. == 사실여부 == 그러나 대종회가 주장하고 있는 내용과 다르게 영양왕 때의 고구려와 백제는 서로 불구대천의 원수급으로 사이가 안좋았다. 백제 [[위덕왕]]은 수나라에 사신을 보내 고구려를 공격할 것을 요청했으며 이 사실을 안 영양왕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 백제를 직접 공격하기까지 한다. 즉, 이문진이 고구려를 [[배반]]하고 백제로 [[망명]]한 것이 아니라면 저 내용은 성립할 수가 없다. 심지어 정말 그렇다고 하더라도 백제왕이 망명한 적성국의 귀족에게 자신의 공주까지 내어주었다는 것은 현실성이 많이 떨어진다. 물론 다른 사서와 교차검증도 안되기 때문에 사실상 백제와 관련된 부분은 후대에 윤색된 것으로 보인다. 익산 이씨가 정말 이문진의 후손이라면 [[고구려부흥운동]]을 하다가 당나라군에 밀려 본토에서 남쪽으로 내려오고, 이후 신라왕의 배려로 구 백제령에 정착한 '''[[보덕국]]의 유민'''이라는게 훨씬 설득력이 있다. 부흥운동을 전개하던 고구려인들 중에는 필시 이문진의 후손도 있었을 것이고, 실제로 가문의 본관도 옛 보덕국이 있던 [[익산]] 지역이다. == 인물 == * [[이문진]](李文眞) * 이의(李誼) * [[이종혁(배우)|이종혁]] * [[이준수(2007)|이준수]] * [[이탁수]] == 외부링크 == * [[http://www.iksanlee.com/|익산 이씨 대종회]] * [[http://iksan.grandculture.net/iksan/toc/GC07500621|디지털익산문화대전 익산이씨]] * [[https://www.doopedia.co.kr/mo/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2&MAS_IDX=101013000999484|두산백과 익산이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