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파일:/image/112/2013/02/17/20130217000393_1_59_20130217220101.jpg]] 멀리서 본 화재현장. [[종로타워]]와 보신각 뒷편의 [[파이롯트]] 매장 건물이 보인다. [[http://ph.kyeongin.com/news/photo/201302/712360_292488_4434.jpg|당시 사진 자료 1]] [[http://ph.kyeongin.com/news/photo/201302/712360_292484_4432.jpg|당시 사진 자료 2]] [목차] == 개요 == [[2013년]] [[2월 17일]] 오후 8시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종로구)|인사동]] 255번지 식당 밀집지역[* 쉽게 말해 매년 1월 1일마다 제야의 종소리가 울려퍼지는 [[보신각]] 건너편, [[서울 지하철 1호선]] [[종각역]] 3번 출구 [[종로타워]] 뒷편 골목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보면 된다.]에서 일어난 [[화재]] 사건. 불은 1시간 30분이 넘게 지속되었으며, 이 사건으로 인사동 먹자골목의 건물 11채, 점포 23곳이 불에 탔다. 서울 중심가에서 일어났으므로 화재 상황은 언론을 통해 실시간으로 보도되었다.[* 바로 길 건너 [[연합뉴스]], 세 블럭 거리에 [[동아일보]] [[조선일보]] [[서울신문]] 등 언론사 밀집지역이다.] 불행 중 다행으로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인근 게스트하우스에 있던 한국인 여성 6명과 일본인 여성 1명이 연기를 마셔 인근 병원으로 옮겨진 뒤 곧바로 퇴원하였다. == 화재 진압의 어려움 == 인사동 화재 진압을 위해 [[소방차]] 등 66대가 동원됐으나, 하지만 실제 진화에 활용된 소방차는 6~8대에 불과했다. 소방차 진입이 어려운 좁은 골목에서 불이 난 탓이다. 이날 종로소방서에 배치된 ‘골목형 소방차’는 출동 1시간여 만에 화재 현장이 아닌 [[소방서]]로 되돌아갔다. 이미 불길이 크게 번져 도움이 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골목형 소방차는 골목길을 쉽게 지날 수 있도록 일반 승합차를 개조해 만든 차량이다. 대형 소방차의 진입이 어려운 주택가 등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초기 진압에 투입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됐다. 화재 이후 이 골목 소방차가 [[계륵]]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었다. 당국이 활용 방안을 면밀하게 검토하지 않고 섣불리 도입해 버리지도 쓰지도 못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골목형 소방차의 활용이 제한되는 이유는 화재가 일정 규모 이상으로 번질 경우 진압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골목형 소방차의 물탱크 용량은 300~500ℓ로 일반 소방 펌프차 평균인 2,000~3,000ℓ에 크게 못 미친다. 이 때문에 골목형 소방차가 사실상 ‘[[문화재]]형 소방차’라는 평가도 나왔다. [[이산화 탄소]] 소화액을 200kg의 강한 압력으로 쏜 뒤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막아 진화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문화재 화재 초기 진압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당시 소방 당국 관계자는 “골목형 소방차는 그 이름에 맞게 골목을 누벼야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하다”며 “종로구과 [[동작구]]에 배치된 것은 높은 [[압력]]으로 문화재 지붕에 구멍을 내 불을 끄는 ‘문화재형 소방차’에 가깝다”고 설명하였다. == 죽어가는 피맛골 == 화재가 발생한 [[종로]] 인사동은 일명 [[피마길|피맛골]]이라고 불리던 곳으로써, 조선시대 서민들이 종로를 지나는 고관들의 말을 피해 다니던 길이라는 '피마(避馬)' 에서 유래하였다. 피맛골은 서민들이 이용하던 길이라 [[술집]]과 음식점이 번창했던 골목으로, 원래는 종로 1가(청진동)부터 종로 6가까지 이어졌으나 2013년에는 종로 2~3가 사이에 일부만 남아 [[해장국]], 생선구이, 낙지볶음, [[빈대떡]] 등을 파는 음식점이나 술집 등이 영업을 하고 있지만 상권이 거의 죽어있는 상태였다. 인사동 화재는 종로 2가에서 발생하였다. 사실 인사동 골목에서 발생한 화재는 2013년 뿐만이 아닌데, 짧게는 10여년부터 길게는 20여년까지 인사동은 크고 작은 화마(火魔)에 시달려왔고 옛 거리를 보존한다는 명분하에 수십년이라는 오랜 시간동안 정부는 인사동의 오래된 건물자체를 방치하였고 피해를 받고 죽임을 당하는 것은 인사동에 사는 사람들 뿐이였다는 것. -[[1990년]] [[1월 24일]] 저녁 11시 인사동 떡집골목 화재, 12개 점포 전소 -[[2002년]] [[11월 12일]] 새벽 인사동 먹자골목 화재로 음식점과 술집 등 10여개 점포 전소 -[[2003년]] [[5월 27일]] 새벽 3시 인사동 131-101번지 일대 일명 피맛골 화재로 10여개 점포 전소 -[[2010년]] [[4월 23일]] 오후 6시 인사동 234번지 음식점 화재 -2010년 [[10월 13일]] 출근시간대 인사동 YMCA 뒷골목 화재 -2013년 2월 17일 저녁 8시 인사동 255번지 화재로 19개 점포 전소 위의 화재사고 중 몇몇은 점포 10여개 이상을 전소시킨 대형화재로 종로 상공에 거대한 검은 [[연기]]를 뿜어냈고, 이후 해당 지역의 상권은 기존의 모습을 회복하지 못했다. 2002년과 2003년의 대형화재는 10여개 이상의 점포를 전소시켜 골목을 거의 초토화시켰고, 일부 점포는 화재보험 가입으로 보상을 받아 재건축을 했지만 그렇지 못한 일부 점포는 건물 입구만 막아놓은 채 거의 [[폐허]] 상태로 남아있다. == 방화 가능성 == 화재 직후 종로 공평상가 대책위원회 소속이었던 이승철 위원장은 인사동 화재가 [[재개발]]을 노린 [[방화]]라는 의견을 제시하여 많은 비판을 받았다. 해당 지역(공평 1, 4지구)은 2013년 들어 재건축, 재개발 등의 이야기가 흘러나오기 시작했다는 이유에서였지만 고작 돈 몇푼을 위해 방화하여 수많은 인명피해를 일으키는 일은 없다는 것. 인사동을 가보면 알겠지만 오래된 건물과 거리가 정부에 의해 수십년간 방치되어 있고 소방차는 들어갈 수도 없는 골목길이 수없이 많다. 가뜩이나 낙후된 건물에 의해 화재가 쉽게 일어나며 좁은 골목길들에서 목조로된 오래된 건물들에 담배꽁초가 들어가면 바로 화재가 일어나기도 하는데 골목길들은 사람 두세명이 지나가도 좁은 길들이니 화재 진압자체가 불가능한 것이다. 특히 몇십년 동안 별탈없이 영업을 해오던 음식점에서 영업도 하지 않은 [[일요일]] 저녁에 불이 났다고 주장하나 화재 이후 피해를 입은 사업주들에게 돌아갈 보상금액이 영업을 재개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때문에 보상을 위한 방화는 아니라는 결론이다. 화재보험에 가입한다고 해도 보상금액은 턱없이 부족하며 방화에 의해 건물이 전소된다면 다시 건축하는데 더 큰 돈이 든다는 점과 계속되는 인명피해 소방차는 지나갈 수도 없는 좁은 도로를 생각하면 보상금액이나 재건축을 위해 일부러 방화했다는 주장은 인명피해를 입은 피해자들을 농락하는 주장으로 볼 수도 있다는 것이다. == 붙잡힌 방화범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55&aid=0000246998|방화범 검거 당시 뉴스]] > 우리 대한민국이 쓰레기 천국이 돼 있습니다. '''[[망상장애|깨끗이 청소하라는 메시지를 받았습니다.]]''' 제 한몸 희생 되더라도. - 안 모 씨, 방화 피의자 - 결국 사건 발생 후 3주가 조금 안 되어 [[방화범]] 안 씨가 붙잡혔다. 50대 남성인 이 방화범은 붙잡히기 엿새 전 [[덕수궁]] 농성 천막에 불을 지른 혐의로 [[경찰]] 조사를 받고 있었다. 식당 내의 가스 폭발이 화재 원인이라는 사건 발생 초기의 추정과는 달리, 화재의 원인은 사건 당일 인사동 육미식당 1층에서 술을 마시던 안 씨가 발화 지점이었던 2층 직원 탈의실로 올라가 고의로 불을 낸 것으로 밝혀졌다. 재개발을 위한 방화라는 주장도 있었지만 이게 말이 안 되는 것이 인사동의 경우 화재가 일어나면 화재 진압하기가 보통 지역보다 열배는 어려워 인명피해가 계속 지속되고 있다. 인사동에서 재개발을 위해 방화한다는 것은 돈 좀 벌려고 살인죄를 저지른다는 뜻이기 때문에 인사동 방화를 재개발과 연관짓는 것은 말이 안 되는 것. 인사동 자체가 너무 오래된 건물들이 많은데 그걸 그냥 냅두는 정부가 화재에 의한 피해자들을 방치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불을 지른 후, 안 씨는 맞은 편 건물로 올라가 불이 나는 모습을 자신의 휴대전화로 찍어뒀는데, 그 사진이 자신이 방화범임을 입증해 버리는 결정적인 단서가 되었다. 경찰이 덕수궁 농성 천막 화재 용의자로 안 씨를 붙잡아 조사하고 있었는데, 안 씨의 휴대전화에서 불이 붙은 식당의 [[사진]]이 발견된 것이다. 경찰이 사진을 들고 추궁하자 안 씨는 위와 같은 말을 하며 결국 방화사실을 자백했다. 경찰 조사 결과 [[2004년]] 충동 장애 증세로 [[정신병원]]에 입원한 전력이 있는 안 씨는 인사동 방화와 덕수궁 농성 천막 방화 외에도 3건의 방화를 더 저질렀다고 한다. == 사라진 추억 == [[파일:external/archivenew.vop.co.kr/19040003_001.jpg]] 화재가 발생한 인사동 '육미'는 20년 동안 수많은 단골들을 확보한 식당이었기 때문에, 이곳에 [[추억]]이 남아있던 모든 사람들을 안타깝게 하였다.[[http://www.vop.co.kr/A00000600785.html|#]] 2013년 '[[위키트리]] 선정 [[SNS]] 10대 이슈' 중 두 번째로 '''전소된 인사동 '육미', 추억 트윗 모음'''이 선정되었다.[[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151903|#]] 2014년 서울 중구 을지로1가에서 육미식당이 다시 개장하였다. ==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취임 직전 [[방화]] [[징크스]] == 여담이지만, 이 사건이 방화로 밝혀지면서 21세기 대한민국의 '''대통령 취임식 전에 대형 방화사고가 벌어진다는 [[징크스]]는 그 맥을 잇게 되었다.''' - [[노무현]] 대통령 취임 7일 전, 김대중 [[국민의 정부]] 말기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참사]] - [[이명박]] 대통령 취임 15일 전, 노무현 [[참여정부]] 말기 [[2월 10일]] [[숭례문 방화 사건]] - [[박근혜]] 대통령 취임 8일 전, 2013년 2월 17일 종로 [[인사동 식당밀집지역 화재]] - --[[문재인]] 대통령 취임 3일 전, 정권공백기의 말기 2017년 5월 6일 [[2017년 5월 강릉-삼척-상주 산불]]--[* 다만 이 사건은 실화 가능성이 높은 상태였고, '''결국 입산자의 폐기물 소각으로 인한 실화'''였던 것으로 드러나 대통령 취임 직전 방화 징크스에서 벗어났다.][* 만약 박근혜가 탄핵당하지 않고 2018년 2월 24일에 정상적으로 임기를 마쳤다면, 이 해 2월 3일에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수성못역]]에서 [[https://www.tbc.co.kr/news/view?c1=8news&c2=&pno=20180202170718AE05897&id=136061|방화 사건이 일어날 뻔했다]]는 점에서 징크스가 이어질 수도 있었다.] 그러나 문재인 대통령의 경우엔 탄핵이라는 비정상적 국면에서 실행된 선거이므로 예외로 봐야 한다는 의견이 존재한다. 2022년 현재 20대 대통령인 [[윤석열]]의 취임식을 두어 달 앞두고 강릉 옥계에서 벌어진 산불이 방화범의 소행으로 밝혀지면서 징크스가 다시금 부활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화재/한국)] [[분류:2013년 화재]][[분류:건축물 화재]][[분류:방화]][[분류:종로구의 사건사고]][[분류:서울특별시의 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