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플레이스테이션 스튜디오]][[분류:미국의 게임 제작사]][[분류:1994년 설립]] [include(틀: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월드와이드 스튜디오)] ||<-2>
{{{#fff {{{+1 '''인섬니악 게임즈'''}}}[br]Insomniac Games}}} || ||<-2> [[파일:인섬니악 게임즈 로고.svg|width=300&theme=light]][[파일:인섬니악 게임즈 로고 화이트.svg|width=300&theme=dark]] || || '''유형'''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자회사 || || '''업종''' ||비디오 게임 사업 || || '''대표''' ||테드 프라이스^^(설립자 · 대표이사)^^ || || '''설립일''' ||[[1994년]] [[2월 28일]] ([age(1994-02-28)]주년) || ||<|2> '''소재지''' ||[[미국]] [[캘리포니아]] 주 버뱅크^^(본사)^^ || ||[[미국]] [[노스 캐롤라이나]] 주 더럼^^(지사)^^ || || '''기업 규모''' ||'''직원 수''': 약 500명 ^^(2023)^^ || || '''모회사''' ||[[플레이스테이션 스튜디오]] || || '''링크''' ||[[https://insomniac.games/|[[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4]]]] | [[https://www.facebook.com/insomniacgame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insomniacgames, 크기=20)] | [[https://www.instagram.com/insomniacgame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insomniacgame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twitch.tv/insomniacgames|[[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linkedin.com/company/insomniac-games|[[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역사 == [[미국]]의 [[게임 개발사]]. 1994년 2월 28일, 테드 프라이스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설립 당시에는 "엑스트림 소프트웨어(Xtreme Software)"라는 이름의 회사였으나 1년 후 현재의 사명으로 바뀌었다. 현재에도 인섬니악의 대표 겸 개발자로 활동하고 있는 테드 프라이스는 [[프린스턴 대학교]]를 졸업하고 삼촌이 경영하는 의료 회사에 입사하였으나 곧 흥미를 잃고 퇴사했고, 이후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게임에 대한 막연한 열정으로 무턱대고 게임 회사를 설립했다고 한다. 설립 이후 첫 작품은 [[둠]] 열풍에 편승한 "디스럽터"라는 [[PlayStation(콘솔)|플레이스테이션]]용 2.5D [[FPS]]였지만[* 해당 콘솔 플랫폼으로만 발매된 게임이다. 참고로 북미·유럽판만 있으며 일본에 발매되지 않은 관계로 아시아권에서는 인지도가 더더욱 낮다.] 저조한 판매량 때문에 회사는 --생겨나자마자-- 거의 부도 직전의 상태가 된다. 하지만 영화사 [[유니버설 픽처스]]의 지원 하에 차기작으로 내놓은 '''[[스파이로 시리즈]]의 성공'''으로 회생에 성공하였고 이후 [[PlayStation 2|PS2]]와 [[PlayStation 3|PS3]]에 '''[[라쳇 & 클랭크 시리즈]]''', [[레지스탕스 시리즈]] 등 히트작을 잇따라 출시하면서 어엿한 중견 개발사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2014년에는 이례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의 [[엑스박스 원]] 독점으로 [[선셋 오버드라이브]]를 출시하기도 했으나 이후 다시 소니에게 돌아와 라쳇 & 클랭크를 리메이크 했다. 2016년에는 [[마블 엔터테인먼트|마블]]과 소니가 무려 [[스파이더맨]] 게임 판권을 인섬니악에게 넘겨주어 [[PlayStation 4|PS4]] 독점으로 새로운 오픈월드 장르의 '''[[Marvel's Spider-Man]]'''을 만들게 해주었고, 출시 이후 단 4개월 동안 900만장을 판매하고, 1년도 안 돼 북미 최다 판매 히어로 장르 게임에 등극하면서 엄청난 성공을 거두게 된다. 그 후 2020년 11월 2,000만장을 돌파하며 PS4 단일 타이틀 최고 판매량을 기록한다. 2019년 8월 20일,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가 인수해 [[플레이스테이션 스튜디오]]의 14번째 자회사 스튜디오로 편입되었다. 인수금액은 2억 2900만 달러였다.[[https://twitter.com/ZhugeEX/status/1226942262891945991|#]] 2020년 6월, [[PlayStation 5|PS5]] 런칭 타이틀로 스파이더맨 후속작 [[Marvel's Spider-Man: Miles Morales]]와 더불어 [[라쳇 & 클랭크: 리프트 어파트]]를 발표했다. 소니가 인수를 결정하기 전부터 두 개의 AAA급 작품을 동시에 개발하고 있었다는 것. 2021년 9월 [[PlayStation Showcase]]에서 [[Marvel's Spider-Man 2]]와 [[Marvel's Wolverine]]을 동시에 개발하고 있음을 발표했다. 추가로 2021년부터 2년 동안 개발되고 있는 공개되지 않은 멀티플레이어 전용 타이틀이 하나 더 있다고 밝혔다.[[https://bbs.ruliweb.com/ps/board/300001/read/2292195?search_type=subject&search_key=%EC%9D%B8%EC%84%AC%EB%8B%88%EC%95%85|#]] == 특징 == 인섬니악 게임즈는 [[라쳇 & 클랭크 시리즈]]를 통해 [[잭 & 덱스터 시리즈]]의 [[너티 독]], [[슬라이 쿠퍼 시리즈]]의 [[서커 펀치 프로덕션]]과 함께 소니의 '[[플랫포머]] 삼총사'로 일컬어진다. PS3를 거치면서 세 회사 모두 다른 장르의 게임에 집중하고 있지만 슬라이 쿠퍼 시리즈는 산자루 게임즈, 잭 & 덱스터 시리즈는 하이 임팩트 게임즈의 외주 개발 형식으로 시리즈의 명맥이 이어져왔다. [[스파이로 시리즈]]는 판권이 유니버설측에 있어 인섬니악이 더 이상 만들지 못하지만, 대신 [[라쳇 & 클랭크(리부트)|라쳇 & 클랭크 리부트작]]과 [[라쳇 & 클랭크: 리프트 어파트]]를 제작하며 플랫포머 게임의 계보를 계속 이어나가고 있다. 규모에 비해 다작으로 유명한 회사이기도 하다. 1994년 설립된 이래로 전작과 차기작 사이의 텀이 최대 2년을 넘기지 않고 있으며 같은 연도에 여러개의 게임을 내는 일도 잦다.[* 2015년 ~ 2016년에는 단 2년간 6개의 플랫폼에 9개의 게임을 출시하는 기염을 토했다.] PS3 이후에 들어서 [[AAA 게임]]의 개발 기간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이 기조는 유지되고 있는데, PS5의 경우 인섬니악이 캐리한다는 평가가 나올 정도로 활발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더 놀라운점은 크런치가 없고 주 40시간 근무를 정확히 지킨다고 한다.] [[마블 스파이더맨]] 게임의 히트에 성공하면서 [[울버린(마블 코믹스)|울버린]] 등 [[마블 코믹스]]의 다른 히어로 IP로 세계관을 점차 확장시키는 움직임이 나오고 있다. == 관련 회사 == 스파이로가 탄생하기 전, 당시 유니버설 인터랙티브 대표로서 망해가던 인섬니악의 가치를 알아보고 투자와 지원을 지시한 인물이 있었으니 그가 바로 플레이스테이션 4와 5의 수석 설계자인 [[마크 서니]]다. 그는 이후에도 라쳇 앤 클랭크나 스파이로, 레지스탕스, 스파이더맨 시리즈에서 디자이너나 프로듀서로서 개발에 크고 작은 도움을 주었다. 너티 독과는 한때 같은 건물에 입주하기도 했고 지금도 같은 [[로스엔젤레스]] 카운티에 위치하는 등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서 종종 서로 기술을 공유하기도 한다. 이렇듯 소니와 접점이 꽤 많은 지라 오래 전부터 플레이스테이션 퍼스트 파티 합류 대상 1순위로 거론되고 있었었는데, 결국 2019년 8월 20일, 설립 후 21년이라는 긴 세월 끝에 정식으로 [[PlayStation|플레이스테이션]]의 퍼스트 파티 스튜디오가 되었다. 인섬니악의 전 직원들이 하이 임팩트 게임즈라는 회사를 설립했다. 라쳇 & 클랭크 시리즈, 잭 & 덱스터 시리즈 등의 외주 개발을 주로 맡고 있다. [[후니 팝]]의 디자이너인 라이언 쿤스가 인섬니악 출신 개발자이다. == 개발 작품 == ||||
<:><#74a9b3><-3>{{{#ffffff {{{+2 '''인섬니악 게임즈'''}}}}}} || ||<:>{{{#000000 '''발매연도'''}}}||<:>{{{#000000 '''제목'''}}}||<:>{{{#000000 '''발매기종'''}}}|| ||<:>1996년 ||<:>디스럽터 ||<|4><:>[[PlayStation(콘솔)|PS]] || ||<:>1998년 ||<:>[[스파이로 시리즈|스파이로 더 드래곤]] || ||<:>1999년 ||<:>[[스파이로 시리즈|스파이로 2: 립토스 레이지!]] || ||<:>2000년 ||<:>[[스파이로 시리즈|스파이로: 이어 오브 더 드래곤]] || ||<:>2002년 ||<:>[[라쳇 & 클랭크 시리즈|라쳇 & 클랭크]] ||<|4><:>[[PlayStation 2|PS2]] || ||<:>2003년 ||<:>[[라쳇 & 클랭크: 공구전사 대박몰이]] || ||<:>2004년 ||<:>[[라쳇 & 클랭크 시리즈|라쳇 & 클랭크: 공구전사 리로디드]] || ||<:>2005년 ||<:>[[라쳇 & 클랭크 시리즈|라쳇 & 클랭크: 공구전사 위기일발]] || ||<:>2006년 ||<:>[[레지스탕스 시리즈#s-2|레지스탕스: 인류 몰락의 날]] ||<|8><:>[[PlayStation 3|PS3]] || ||<:>2007년 ||<:>[[라쳇 & 클랭크 시리즈|라쳇 & 클랭크 퓨쳐: 파괴의 도구]] || ||<|2><:>2008년 ||<:>[[라쳇 & 클랭크 시리즈|라쳇 & 클랭크 퓨쳐: 해적 다크워터의 보물]] || ||<:>[[레지스탕스 시리즈#s-3|레지스탕스 2]] || ||<:>2009년 ||<:>[[라쳇 & 클랭크 시리즈|라쳇 & 클랭크 퓨쳐: 시간의 틈새]] || ||<|2><:>2011년 ||<:>[[레지스탕스 시리즈#s-5|레지스탕스 3]] || ||<:>[[라쳇 & 클랭크 시리즈|라쳇 & 클랭크: 올 포 원]] || ||<|2><:>2012년 ||<:>[[라쳇 & 클랭크 시리즈|라쳇 & 클랭크: Q 포스]] || ||<:>아우터너츠 ||<:>[[iOS]] || ||<|2><:>2013년 ||<:>[[FUSE|퓨즈]] ||<:>PS3, [[엑스박스 360|Xbox 360]] || ||<:>[[라쳇 & 클랭크 시리즈|라쳇 & 클랭크: 인투 더 넥서스]] ||<:>PS3 || ||<:>2014년 ||<:>[[선셋 오버드라이브]] ||<:>[[엑스박스 원|Xbox One]], [[PC]] || ||<|4><:>2015년 ||<:>슬로우 다운, 불 ||<:>Windows || ||<:>프루트 퓨전 ||<|2><:>iOS, Android || ||<:>배드 다이노스 || ||<:>디짓 & 대쉬 ||<:>iOS || ||<|5><:>2016년 ||<:>[[라쳇 & 클랭크(리부트)]] ||<:>[[PlayStation 4|PS4]] || ||<:>송 오브 더 딥 ||<:>Windows, PS4, Xbox One || ||<:>엣지 오브 노웨어 ||<:><|3>Oculus Rift || ||<:>디 언스포큰 || ||<:>피어럴 라이츠 || ||<:>2018년 ||<:>[[Marvel's Spider-Man]] ||<:>PS4 || ||<:>2020년 ||<:> [[Marvel's Spider-Man: Miles Morales]] ||<:> PS4, [[PlayStation 5|PS5]] || ||<:>2020년 ||<:> [[Marvel's Spider-Man|Marvel's Spider-Man 리마스터]] ||<:><|4>PS5 || ||<:>2021년 ||<:>[[라쳇 & 클랭크: 리프트 어파트]] || ||<:>2023년 ||<:>[[Marvel's Spider-Man 2]] || ||<:>미정 ||<:>[[Marvel's Wolverine]] || ==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