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임한 직위'''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대한애국당|[[파일:대한애국당 흰색 로고.svg|width=70]]]] '''{{{#FFFFFF 정책위원회 의장}}}'''|| ||<:>초대[br][[변희재]]||<:>→||<:>'''권한대행[br]인지연'''||<:>→||<:>''당명변경''[br]^^[[우리공화당(2019년)|우리공화당]]^^|| ---- ||<-5><:>[[우리공화당(2019년)|[[파일:우리공화당(2019년) 흰색 로고.svg|width=70]]]] '''{{{#FFFFFF 정책위원회 의장}}}'''|| ||<:>''당명변경''[br]^^[[대한애국당]]^^||<:>→||<:>'''권한대행[br]인지연'''||<:>→||<:>''해산''[br]^^[[자유공화당]]^^|| ---- ||<-5><:>[[자유공화당|[[파일:자유공화당 흰색 로고.svg|width=70]]]]'''{{{#FFFFFF 정책위원회 의장}}}'''|| ||<:>''창당''[br]^^[[우리공화당(2019년)|우리공화당]]^^||<:>→||<:>'''권한대행[br]인지연'''||<:>→||<:>''당명변경''[br]^^[[우리공화당(2020년)|우리공화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인지연(신).jpg |width=100%]]}}} || ||<:>{{{#FFFFFF '''이름'''}}} ||인지연(印志涓) || ||<:>{{{#FFFFFF '''본관'''}}} ||[[인(성씨)|교동 인씨]][* 참의공파 64세.] || ||<|2><:>{{{#FFFFFF '''출생'''}}} ||[[1973년]] [[1월 14일]] ([age(1973-01-14)]세) || ||[[인천광역시]] || ||<:>{{{#FFFFFF '''신체'''}}} ||156cm 61kg|| ||<:>{{{#FFFFFF '''국적'''}}}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FFFFFF '''학력'''}}} ||[[여의도여자고등학교]][br][[이화여자대학교]] {{{-2 (의류직물학 / 학사)}}}[br][[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 ([[정치외교학]] / 석사)}}}[br][[한동대학교]] 국제법률대학원 {{{-2 (미국법학 / 석사)}}} || ||<:>{{{#FFFFFF '''소속 정당'''}}} ||[include(틀:무소속)] || ||<:>{{{#FFFFFF '''현직'''}}} ||자유인 대표 || ||<:>{{{#FFFFFF '''외부 링크'''}}} ||[[https://youtube.com/c/%EC%9D%B8%EC%A7%80%EC%97%B0T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m.blog.naver.com/PostList.naver?blogId=ihnjiyeon|[[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미국 변호사 출신 정치인으로, [[우리공화당(2020년)|우리공화당]]의 수석대변인이었다. 부친이 [[뉴라이트(대한민국)|뉴라이트]] 계열 언론사인 '''[[뉴데일리]]'''의 회장 인보길(印輔吉)이며, 그래서인지 정치 성향도 [[극우]]를 지향하고 있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대한애국당]] 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에 출마했으나 뒤에서 2번째로 낙선했다. 특이하게 미국 변호사 자격증을 취득했는데, 인지연이 다녔던 [[https://www.handong.edu/major/gradschool/inter-law/|한동대 로스쿨]]이 한국이 아니라 미국 변호사 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교육기관이다. == 생애 == 대학 졸업 후 영어 번역가로 활동하던 중 2006년 뮤지컬 [[요덕스토리]]를 보았고, 북한 인권 개선과 자유통일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고 한다. 이후 미국에서 변호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북한]] 인권 운동가로 활동했었는데 일명 "[[북한인권법]] 통과를 위한 모임"이라는 단체의 대표를 지낸 적이 있었다. 2016년에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비례대표 후보로 접수 하였으나 공천에서 탈락하였다.[* 그리고는 [[전희경]]의 논문 표절 사건을 알렸다.] 이후 [[새누리당]]을 탈당하고 2017년 2월 자유통일대한민국당 창당을 선포했으나, 결국 미완의 계획으로 끝났다. [[박근혜]]의 탄핵을 반대하는 [[친박]] 인사로서, 탄핵 정국이던 당시 [[새누리당]]-[[자유한국당]]으로 이어지는 기존의 보수정당에서 탈피해 정통 [[친박]] 정당을 창당하려던 것으로 보이나, 정작 다른 친박 인사들은 별로 관심을 갖지 않은 듯 하다. 이렇게 잊혀지는 듯 싶었으나 동년 8월 [[조원진]]을 대표로 한 [[대한애국당]]이 창당되자 여기에 입당하였다. 입당 직후인 9월 당의 정책위원회 부의장이 되었고 11월에는 대변인으로 선출되었다. 계파상 [[친박]] 중에서도 [[친조]]에 해당되는데, 당내에 [[정미홍]], [[변희재]] 등의 계파들이 모두 자진탈당이나 출당 형태로 쫓겨나면서 미국 변호사라는 스펙이 있었던 인지연이 바로 중책을 맡게 된 것으로 보인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서울특별시장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당 내에 다른 입후보자가 없었기 때문에 그대로 [[대한애국당]]의 서울시장 후보로 확정되었다. 출마선언 후 [[광화문광장]]에 [[이승만]], [[박정희]] 동상 설립, [[THAAD]] 수도권 배치, [[박근혜 대통령 탄핵|박근혜 탄핵]] 진상규명, 미세먼지 줄이기 위한 초대형 공기청정기 설치, 동성애 관련 각종 지원 폐지을 담은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ihnjiyeon&logNo=221288857324&navType=tl|공약을 발표하였다.]] 또한 선거 포스터에는 '''북진자유통일'''이라는 문구를 적어놓았는데, 공약과 구호만 보면 서울특별시장에 출마한 건지 대선에 출마한 건지 알 수 없는 상황.[* 어차피 인지연과 같이 당선 가능성이 사실상 없는 군소후보들은 현실적인 공약보다는 홍보 차원에서 자신의 정치철학이나 소속 정당의 강령을 내거는 경우가 많다.] 2018년 6월 7일 지방선거 전 마지막으로 공표된 [[리얼미터]] 여론조사에서는 인지연 서울특별시장 후보의 지지율이 1.2%를 기록했다.[[http://www.topstar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25678#hi|#]] 하지만 6월 13일 지방선거 출구조사에서는 이보다 훨씬 낮은 0.3% 득표율이 [[http://m.businesspost.co.kr/BP?command=mobile_view&num=85494|예상되었고]] 실제 득표율은 이보다 더 낮은 0.22%(11,222표)를 기록하여[*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새누리당(2017년)|새누리당]] [[조원진]] 후보는 평소 여론조사상 예상 득표율이 1% 안팎이었지만, 개표 결과 0.13%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6위로 낙선했다.] 9명의 후보[* [[더불어민주당]] [[박원순]] 후보, [[자유한국당]] [[김문수]] 후보, [[바른미래당]] [[안철수]] 후보, [[정의당]] [[김종민(1970)|김종민]] 후보, [[민중당(2017년)|민중당]] 김진숙 후보, 대한애국당 인지연 후보,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 [[신지예]] 후보, [[미래당|우리미래]] [[우인철]] 후보, [[친박연대(2017년)|친박연대]] 최태현 후보] 가운데 8위로 낙선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원순]] 후보가 1위로 당선되었고, [[자유한국당]] [[김문수]] 후보가 2위, [[바른미래당]] [[안철수]] 후보가 3위,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 [[신지예]] 후보가 4위, [[정의당]] [[김종민(1970)|김종민]] 후보가 5위, [[민중당(2017년)|민중당]] 김진숙 후보가 6위, [[미래당|우리미래]] [[우인철]] 후보가 7위, [[대한애국당]] 인지연 후보가 8위, [[친박연대(2017년)|친박연대]] 최태현 후보가 꼴찌인 9위로 낙선했다. 이 중에서 선거비용 전액보전은 더불어민주당 박원순 후보, 자유한국당 김문수 후보, 바른미래당 안철수 후보만 가능했다. 선거비용 반액보전이 가능한 후보는 없었으며, 나머지는 선거비용 보전이 불가능했다.] 2020년 2월 5일에 [[21대 총선]] [[서초구 갑]] [[선거구]]에 예비후보 등록을 했다. 그러나 [[우리공화당]] 비례대표 3번으로 공천되어 지역구를 포기하고 비례대표로 출마했다. 총선 결과, [[우리공화당]]은 득표율 0.74%를 기록했으며 봉쇄조항 3%에 미치지 못해서 낙선했다. 이후, 우리공화당의 전당대회에 출마하여 1위로 최고위원에 당선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11월 27일, 우리공화당의 최고위원을 사퇴했으며, 2021년 6월 30일 우리공화당을 탈당하였고 이후 본인의 유튜브 채널 [[https://youtube.com/c/%EC%9D%B8%EC%A7%80%EC%97%B0TV|인지연TV]]에서 활동을 하고 있다. 2022년 2월 28일 [[제20대 대통령 선거]] 앞두고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를 공개 지지선언하자 윤석열에 반감있는 우리공화당 지지자들은 반발하며 인지연을 비난하며 공격하였고 이에 인지연은 자신의 SNS를 통해 법적대응을 진행하겠다고 선언했다. == 여담 == * [[말더듬이]]이다. 친박집회를 제외하면 거의 언론에 노출될 일이 없어서 크게 이슈가 되지는 않으나 다른 정당의 대변인이나 후보들은 공식석상이나 토론회에서 뚜렷하게 큰 목소리로 논평을 읽으며 주장을 펼칠 때 인지연 혼자서 버벅거리고 소심한 경우가 많다. 예시를 들자면 국회 원내정당들이 논평을 읽거나 제7대 지방선거 서울시장 후보 토론을 할 때 이런 모습을 볼 수 있다. * [[싸이]], [[이수지]]를 닮았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장]]) || [include(틀:대한애국당)] || 11,222 (0.2%) || 낙선 (8위) ||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 [include(틀:우리공화당)] || 208,719 (0.74%) || 낙선 (3번) || || [[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정치인]][[분류:미국의 변호사]][[분류:법조인 출신 정치인]][[분류:1973년 출생]][[분류:교동 인씨]][[분류:인천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여의도여자고등학교 출신]][[분류:이화여자대학교 출신]][[분류: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무소속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유튜버]][[분류:정치 유튜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