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심리치료와 상담)] [목차] == 개요 == CBT /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인지행동치료는 개인(클라이언트)이 정신건강적 문제에 대응하여 인지 왜곡 현상을 보다 합리적으로 수정하여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인지적 접근방법이다. 사람의 행동이 인지 과정과 밀접한 관계에 놓여있다는 대전제 하에 이루어지며 환경을 새롭게 지각하고 재해석하는 과정이 따르며, [[행동주의 심리학]] 그리고 [[인지심리학]]등과 관련있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이나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CT),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의 기술을 응용한 유전자 비교 등 현대의 과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행동주의적인 과학적 입장에서 인지심리학의 개념과 모델들 역시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받아들여지게 됨으로써 오늘날 인지행동치료의 발달을 가져오게 되었다. 아론 벡(Aaron T. Beck), 알버트 엘리스(Albert Ellis) 등이 여기에 기여하였다. == [[인지도식]] == [[인지도식]](認知圖式)은 '이러이러한 상황에서는 이렇게 생각하고, 저렇게 느끼며, 어떻게 행동해야 한다'고 각 개인의 의식 혹은 무의식에 내재되어 있는 일종의 규칙을 말한다. 스키마(schema) 혹은 쉐마라고도 한다. 또한 통념과는 달리 인지도식은 사고 - 감정 - 행동 사이, 또는 사고 - 감정 - 행동을 유발하는 최초 자극이나 모든 일이 끝난 뒤의 자기 반성 등, 어떤 위치에도 들어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심코' 화를 낸다고 해도 이 또한 인지도식 작용이 원인이란 것. 그래서 일정한 행동반응을 의미하는 인지양식과는 조금 다르게 쓰이며 [[아론 벡]](Aaron T. Beck)이 제안한 [[자동적 사고]](Automatic Thoughts)나 [[사회심리학]]에서 다루는 ACP(자동 및 제어 프로세스,Automatic and controlled processes)와도 밀접하게 연관있다.[* PLoS One. 2013; 8(5): e65910. Published online 2013 May 31. doi: 10.1371/journal.pone.0065910 PMCID: PMC3669239 PMID: 23741518 Masked Priming of Conceptual Features Reveals Differential Brain Activation during Unconscious Access to Conceptual Action and Sound Information Natalie M. Trumpp, Felix Traub, and Markus Kiefer * ] == 인지정서행동치료 == [[인지정서행동치료]](REBT;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는 인지행동치료(CBT)의 한 형태로 1950년대 중반에 [[알버트 엘리스]](Albert Ellis)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 오늘날 정신의학, 심리학, 상담학, 교육학, 아동학에 종사하고 있는 정신건강과 관련된 학자와 각종 전화상담소, 각종 사회 복지기관 및 심리상담소에 있는 상담전문가를 위한 인지행동 상담의 원리와 기법으로 활용되며 또한 개인 스스로 자신의 정서와 정신건강 상태를 점검해보고 자기조력 및 자기치료로 나아갈 수 있는 많은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인지 정서 행동치료 박경애 저 | 학지사 | 1997년 10월 31일 ISBN 9788975481581(8975481581)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mallGb=KOR&ejkGb=KOR&barcode=9788975481581]]] == 행동수정이론 == 오늘날 인지행동수정(또는 줄여서 행동수정)은 학습심리학, 인지신경과학(Cognitive neuroscience), 사회심리학 등 다양한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행동주의적 접근방법이나 인지주의적 접근방법이 서로 인지(사고와 인식) 그리고 행동(반응)간의 과정에서 절차적으로 상호 영향을 준다는 전제에서 보다 긍정적인 결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삶의 질을 수정할 수 있다는 견해를 지지하는 인간의 존엄성에 바탕을 둔 접근방법이다. === 행동수정이론의 예 === 이완훈련(relaxation training) 또는 [[체계적 둔감화]](Systematic desensitization), [[노출및반응방지]](exposure and response prevention, ERP)이나 [[자기주장훈련]](自己主張訓鍊,Assertiveness training) , [[귀인 이론]], [[토큰경제]](token economy) 모델, 역할수행이론(Role-taking theory), 자아존중감(自我尊重感, self-esteem), 계획된 행동 이론(TPB; theory of planned behaviour) 등이 있다.[* Comparison of desensitization and progressive relaxation in treating test anxiety. Journal Article Database: APA PsycArticles Johnson, Stephen M. Sechrest, Lee Citation Johnson, S. M., & Sechrest, L. (1968). Comparison of desensitization and progressive relaxation in treating test anxiet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2(3), 280–286. https://doi.org/10.1037/h0025922 ][* Exposure Therapy for Anxiety: Principles and Practice, Jonathan S. Abramowitz, Brett J. Deacon, Stephen P. H. Whiteside, Guilford Press, 2011. 3. 14 ISBN 1609180178, 9781609180171 [[https://books.google.co.kr/books/about/Exposure_Therapy_for_Anxiety.html?id=pnoznH2c7esC&redir_esc=y]]] [[분류:심리학]][[분류:정신질환/치료요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