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MCN)] ||<-2><#fff>{{{#!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인챈트로고.png|width=100%]]}}}|| || '''법인명''' ||㈜인챈트 || || '''설립일''' ||[[2022년]] [[3월 24일]] ([age(2022-03-24)]주년) || || '''업종''' ||[[MCN]] || || '''대표자''' ||박규상 || || '''기업 규모''' ||[[중소기업]] || || '''상장 여부''' ||[[비상장 기업]] || || '''직원 수''' ||38명^^(2023년 10월)^^ || || '''자본금''' ||1억원^^(2022년)^^ || || '''매출액''' ||37억 453만원^^(2022년)^^ || || '''영업이익''' ||-3억 6563만원^^(2022년)^^ || || '''당기순이익''' ||-3억 8019만원^^(2022년)^^ || || '''자산총액''' ||17억 956만원^^(2022년)^^ || || '''모기업''' ||[[인벤]] || ||<|2> '''위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 331번길 9-9 석우재빌딩 5층 502호 ([[정자동(성남)|정자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 331번길 9-9 석우재빌딩 5층, 너비=100%)]}}}|| || '''홈페이지''' ||[[https://www.enchantenter.c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https://cafe.naver.com/enchantenter|[[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width=24]]]] || || '''자낳대 위키''' ||[[https://www.enchantenter.tea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 '''관련 사이트''' ||[[https://www.twitch.tv/enchantenter|[[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twitch.tv/team/enchant|[[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TEAM^^ | [[http://afreeca.com/teaminven|[[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75jvA3fNwaZ-dh4Q83Hjt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user/invenbroad|[[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SNS''' ||[[https://instagram.com/enchant_ent|[[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discord.com/invite/enchantenter|[[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MCN]]. 2021년 12월 [[인벤방송국]] 소속 사업팀이 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12월 2일, [[따효니]]의 개인 방송을 통해 처음 공개되었다. == 상세 == 경영쪽은 네클릿이, 영입쪽은 따효니의 의견이 많이 반영된다고 한다. 네클릿이 밝힌 인챈트의 설립 배경엔, 구상 자체는 오래전부터 계획하고 있었는데 오히려 늦어진 케이스이며 네클릿이 오랜 기간동안 인벤저스를 하면서 [[이상호]], [[캬하하]], [[롤선생]] 같이 아프리카TV에서 잘나가는 애들과 오랜시간 방송을 했는데 남는게 없어서, 차라리 하나하나 하는걸 묶어서 같이 광고도 받고 불려나가면서 콘텐츠도 받으면 재밌겠다 생각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KOO TV|GE]]가 출범한다 하고, 북미를 보니 이미 [[MCN]] 사업이 활성화되고 있어서 '다른 사람도 똑같이 생각하는구나' 해서 빨리해야겠다 생각해서 회사에 말했는데, 그땐 말이 팀장이지 힘도 없었고, 회사에서 e스포츠에 투자할 때라 무슨 MCN이냐고 해서 빠꾸를 먹었다. 그 때 아프리카TV에서 잘 나가던 BJ들도 다 소속 없이 혼자였고, 그땐 네클릿도 방송규모도 커서 청자들도 많았고 같이하는 BJ들도 다 네클릿을 따를 때라 하면 좋지않을까 싶었는데 그 때 나가리 돼서 좀 삐졌었다고. 게다가 그 뒤엔 GE가 알다시피 [[KOO TV|폭삭 망해서]] 그 결과 흐름이 아닌 것 같다고 해서 오랜기간 묵혀두다가, 그러다 [[자낳대]]를 할때쯤에 88라인들(인간젤리-강퀴)과 만나서 술 먹다가 "마지막으로 한번 기회가 있을때 해보고 싶다" 하면서 얘기가 나와 다시 준비를 시작했고, 그러다 [[따효니]]를 만나서 얘기했는데 "어, 재밌을 것 같다. 같이 한번 해보자" 얘기가 돼서 효니를 이사직으로 세우고 설립했다고 한다. 효니가 사내이사인 이유는 다른 MCN도 크리에이터들이 다 사내이사로 있으니 별로 특별한 것은 아니라고. [[https://youtu.be/GG-KISWl5RQ|이사인 따효니가 푼 썰에 따르면]], 자신이 이사직을 받아든 이유는 "대회 '해 줘' 하면 해주는 MCN" 이 필요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애초에 따효니는 본인이 푹 빠진 게임이 있으면 본인 사비를 풀어서라도 '따효니배 대회'를 종종 열어서 동료들과 놀 정도로 대회 주최에 관심이 많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크리에이터가 합방 콘텐츠인 대회나 이벤트를 기획하면 제작사 > MCN > 다른 크리에이터의 순서를 거쳐서 섭외가 이루어져야 하니 시간을 많이 뺏기고, 이외에도 MC(캐스터)와 해설, 방송장비, 스태프, 대회용 UI제작, 촬영장소, 스폰서 모집 등의 문제가 제작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데, 문제는 여기서 소모된 시간으로 인해 수명이 짧은 게임의 경우 막상 대회를 준비해서 열릴즈음이 되면 유행이 다 지나가 관심도가 떨어지게 된다. 허나, 인챈트는 전신인 [[인벤방송국]]에서 기원해 자체적으로 보유한 방송장비, 스태프, 촬영장소, 다량의 콘텐츠를 제작해온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으며 MC, 플레이어 등 다양한 역할의 크리에이터와 계약하여 인챈트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모든게 가능하게 만들어 시간을 절약함으로써 빠른 콘텐츠 제작이 가능하게끔 설립된 MCN이라는게 따효니의 설명이다. 실제로 그런 취지에 맞게 뱀파이어 서바이버, 수박 게임 같은 수명 짧은 미니게임류 게임이 유행한다 싶으면 그 유행이 다 식기 전에 초스피드로 대회를 열며 대회 취지를 잘 살리고 있다. == 대표 제작 콘텐츠 == *[[자낳대]]: 인벤 방송국에 이어서 [[2022 자낳대 시즌 1]]부터 제작. *따효니배 TFT 서열정리: 인챈트 결성 후 첫 대회.[* 초대 우승자는 [[한동숙]]] *즐겜부[* 즐거운 게임 부탁드립니다]: [[구스 구스 덕]] 대회, [[수박게임]] 대회 *[[뱀파이어 서바이버즈]] 스트리머 서.열.정.리 *켠김에 [[장현재|던]]까지: [[켠김에 왕까지]] 던 버전. 던이 [[슈마메2]]의 [[슈퍼 마리오 메이커 2/스토리 모드|스토리 모드]] 플레이하는 것이 클립으로 돌아다닌 이후 아예 콘텐츠화 시킨 것이다. *인챈트 대운동회 *[[폴 가이즈]]: 에픽게임즈의 후원을 받아 열린 스트리머 친목 대회. 총 3회 개최.[* 대회 진행을 위해 에픽게임즈의 승인을 위해 문의를 하였는데 에픽게임즈 측에서 덤으로 후원까지 진행해줬다고 한다] *[[포트나이트]]: *[[2023 따효니배 발낮대]] *TFT 뒤집개 쟁탈전 돌아온전략가 == 구성원 == === 소속 크리에이터 === [include(틀:인챈트 엔터테인먼트 소속 크리에이터)] === 크리에이터 외 주요 인물 === *[[네클릿(인터넷 방송인)|네클릿]] - 인챈트 이사 [[분류:인챈트 엔터테인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