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천광역시의 버스 터미널)] [목차] = 개요 = [[인천광역시]] [[서구(인천광역시)|서구]] [[검암동]]에 지어질 [[버스 터미널]]이다. = 상세 = 계획 초기에는 제2종합터미널로 불린 적도 있었으나, 현재는 "서북부터미널"로 불리고 있다. '[[인천검암역세권 공공주택지구|인천검암역세권 공공주택지구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 및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검암역]] 바로 맞은편에 지어질 예정이며 [[복합환승센터]] 형식으로 지어질 확률이 높고, 2021년 착공, [[2023년]] 준공 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타당성 조사 결과 한해마다 5억원에 적자가 발생하는 등 경제성 부족으로 착공이 지연되고 있다. 현재 사업화 방안을 모색하는 중이며 2023년 착공, [[2027년]] 준공으로 계획이 미뤄졌다.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2330549|관련 기사]] 지방 주요 도시와 인천공항과의 교통편 연계 역할을 하거나[* 물론 [[인천공항터미널/지방버스|인천공항 버스터미널과 지방 주요 도시를 잇는 버스 노선은 현재도 있다.]]] [[인천종합터미널]]까지 다소 거리가 먼 [[인천광역시]] [[서구(인천광역시)|서구]]와 [[계양구]], [[경기도]] [[김포시]] 등[* 물론 서구와 계양구에서도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을 통해 [[인천터미널역|인천종합터미널]]까지 접근이 가능하지만 결코 가깝지는 않다. [[부평구]]와 [[계양구]]는 비교적 가까운 [[부천종합터미널]]에서 버스를 탈 수 있지만 부천발 고속버스 노선은 턱없이 부족하고 시외버스 노선은 타 지역 경유 노선이 많다. 특히 [[경인아라뱃길]] 북쪽의 [[검단신도시]]에서는 관교동 터미널까지 약 50분, 길게는 1시간 정도 가야 한다. 더구나 김포시는 [[김포시외버스터미널]]이 있기는 하지만 터미널이라고 하기에도 뭐한 수준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또 이 터미널에서 출발하는 시외버스 노선은 [[청주시외버스터미널|청주행]]과 [[유스퀘어|광주행]] 뿐이다. 이외 지역으로 버스를 타고 가려면 인천터미널 또는 [[고양종합터미널]]로 가거나 아예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까지 가야한다.]]] 인천 서북부와 인근 지역 주민들의 시외교통수단 수요를 충족시킨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인천광역시는 본래 [[계양구]]에 있는 [[롯데마트 계양점]] 옆 부지에 제2터미널을 지으려고 했으나 인근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던 흑역사가 있다. 이후 이 부지에는 계양 [[코아루]] 센트럴파크 아파트가 들어섰다.][* 비슷한 규모의 도시들에 비해 인천은 버스터미널의 숫자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었다. 인구 330만명의 부산은 3개의 터미널을 보유하고 있고 인구 240만의 대구도 3개의 버스터미널이 있다. 심지어 인구 140만인 대전도 [[대전복합터미널|4개의]] [[유성고속버스터미널|버스]][[유성시외버스정류소|터미널이]] [[대전서남부터미널|존재한다]].] 물론 인천에도 [[U-복합환승센터|송도환승센터]]나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강화도의]] [[화도공용버스터미널|두 터미널]], [[인천공항터미널]]이 있기는 하지만 종합터미널이라고 하기에는 규모와 역할이 한정적이다. 결론적으로 거의 300만명의 인구가 사는 수도권 제2의 도시임에도 종합터미널이 고작 1개라는 것은 시민의 교통 편의에 상당한 문제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또한 이 터미널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 폐막 이후 사라진 [[인천국제공항선 KTX|검암역 경유 KTX]]을 대체하는 역할도 된다. = 구조 = = 노선 = 타 도시행 직통노선을 신설하거나 기존 [[인천종합터미널]] 출발 노선을 인천서북부터미널로 연장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노선을 유치할 예정이라고 한다. == [[고속버스]] == == [[시외버스]] == = 기타 = [[분류:인천광역시의 버스 터미널]][[분류:인천광역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