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민주공화당 정책위원회 의장)]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764 0%, #003764 20%, #003764 80%, #003764)"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ffffff 대한민국 제7대 재무부 장관}}}]][br]{{{#ffffff {{{+1 인태식}}}[br]印泰植 | In Tae-si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4412353b-e9a3-43f9-b3e7-da1197cf884d4.jpg|width=100%]]}}} || ||<|2> '''출생''' ||[[1902년]] [[12월 17일]] || ||[[충청남도]] 당진군 외맹면 통정리[br](現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통정리) || ||<|2> '''사망''' ||[[1975년]] [[5월 22일]] (향년 72세)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망원동]] 264-5 || || '''묘소''' ||[[경기도]] [[양주시]] 운경공원묘지 || || '''본관''' ||[[교동 인씨]] || ||<|4> '''재임기간''' ||제3대 관재청장 || ||[[1953년]] [[9월]] ~ [[1954년]] [[2월]] || ||제7대 재무부 장관 || ||[[1956년]] [[5월 26일]] ~ [[1957년]] [[6월 9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경기고등학교|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2 (졸업)}}}[br][[야마구치대학|야마구치고등학교]] {{{-2 (졸업)}}}[br][[도호쿠제국대학]] 법문학부 {{{-2 (법학 / 학사)}}} || || '''의원 선수''' ||'''3''' || || '''의원 대수''' ||'''[[제3대 국회의원|3]], [[제4대 국회의원|4]], [[제6대 국회의원|6]]''' || || '''약력''' ||홍천세무서장[br]청주세무서장[br]강원도 재무국 간세과장[br]재무부 사세국장[br]관재청장[br]아세아극동경제회의 수석대표[br]재무부 장관[br]민주공화당 정책위원회 의장[br]민주공화당 국회 예산결산위원장[br]동아중건설 사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공무원]], [[정치인]]이다. 본관은 [[인(성씨)|교동]](喬桐)[* 참의공파 61세 식(植) 항렬.]. == 생애 == 1902년 [[충청남도]] [[당진시|당진군]] 외맹면 통정리(현 [[당진시]] 석문면 통정리)[[http://m.dj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967|#]]에서 아버지 인익수(印益洙)[* 초명 인창수(印昌洙).]와 어머니 [[한양 조씨]] 조석원(趙石瑗) 사이의 5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경기고등학교|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일본]] [[야마구치대학|야마구치고등학교]]를 거쳐 [[도호쿠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귀국 후 1930년 [[조선총독부]] 재무국 세무과에 속(屬)으로 근무하기 시작하면서 세무공무원 생활을 시작하였고 1934년까지 동 부서에서 근무하였다. 1935년부터 1936년까지는 경성세무서, 1937년 [[강경읍|강경]]세무서, 1938년부터 1940년까지 홍천세무서 등지에서 속(屬)으로 근무하였으며[[http://db.history.go.kr/search/searchResultList.do?sort=&dir=&limit=20&page=1&pre_page=1&setId=12&totalCount=12&kristalProtocol=&itemId=jw&synonym=off&chinessChar=on&searchTermImages=%E5%8D%B0%E6%B3%B0%E6%A4%8D&brokerPagingInfo=SnUpYrZZuHIxMzHLMdPQRSi0k0mUUpCDsHuCGHyKLMNd0f0h&selectedTypes=&selectedSujectClass=&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5%8D%B0%E6%B3%B0%E6%A4%8D&searchKeywordConjunction=AND|#]], 이후 [[홍천군|홍천]]세무서장, [[청주시|청주]]세무서장 등을 역임하였다. [[8.15 광복]] 후에도 세무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강원도]] 재무국 간세과장, 재무부(현 [[기획재정부]]) 사세국장 등을 역임하고 1953년 9월부터 1954년 2월까지 관재청(현 [[관세청]]) 청장을 역임하였다. 당시 아침 10시 반쯤 출근해서 모든 업무를 차관에게 알아서 하라고 일임하는 스타일이었다고 한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충청남도 당진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6년 5월부터 1957년 6월까지 재무부 [[장관]]을 겸직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충청남도 당진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1955년)|민주당]] [[이규영(정치인)|이규영]]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충청남도 당진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4년 민주공화당 정책위원회 의장, [[대한민국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공천]]에서 [[김두현(정치인)|김두현]]에 밀려 탈락하고 자유당 [[전국구]] 국회의원 제2번으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이후 정계에서 은퇴하였고 [[동아건설산업]] [[사장]]을 역임하였다.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관료 부문에 선정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공화국의 국무위원)] [include(틀:제4대 국회의원/충청남도)] [include(틀:제6대 국회의원/충청남도)] [[분류:1902년 출생]][[분류:1975년 사망]][[분류:제3대 국회의원]][[분류:제4대 국회의원]][[분류:제6대 국회의원]][[분류:자유당 국회의원]][[분류:민주공화당(1963년) 국회의원]][[분류:당진시 출신 인물]][[분류:교동 인씨]][[분류:도호쿠대학 출신]][[분류:이승만 정부/인사]][[분류:재무부 장관]][[분류:관세청장]][[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공무원 출신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