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이집트 파라오)]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DB76B 0%, #DECD87 20%, #DECD87 80%, #BDB76B)" {{{#A0522D '''이집트 제1중간기 제11왕조 3대 파라오[br]{{{+1 인테프 2세}}}[br]Intep II'''}}}}}}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ela_of_King_Intef_II_Wahankh_MET_13.182.3_detail.jpg|width=100%]][br]{{{-2 인테프 2세의 장례 기념비,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 전시중이다.}}}}}} || ||<-2> '''휘''' ||와한크 인테프(Wahankh Intef)[* 혹은 Inyotef, Antef라고 표현되기도 한다. 또한 Wahankh는 인생이 지속됨을 의미한다.] || ||<-2> '''부왕''' ||[[멘투호테프 1세]] || ||<-2> '''선대''' ||[[인테프 1세]] || ||<-2> '''후대''' ||[[인테프 3세]] || ||<-2> '''묘지''' ||엘-타리프(El-Tarif) || ||<-2> '''왕비''' ||네페루카예트(Neferukayet)[*추정] || ||<-2> '''자녀''' ||[[인테프 3세]](Intef I)♂[br]이아(Iah)♀ || ||<-2><|2> '''재위''' || '''{{{#000 이집트 파라오}}}''' || ||[[기원전]] 2112~[[기원전]] 2063년, 재위기간 49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집트 중왕국]] 11왕조의 3대 파라오이다. == 통치 == 인테프 2세는 즉위하고 나서 [[상이집트]]를 모두 통일했다. 또한 [[아비도스]]를 얻기 위해서 10왕조와 전쟁을 하였고, 결국 승리했다. 또한 즉위 30년이 되기 전에 누비아 남부 지역까지 통합했고[* 누비아 남부 지역에서 세드 축제가 행해진 것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를 후대에 알 수 있었다.],헤라클레오폴리스 지역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아비도스]]를 점령하는 등 10왕조에 비해 강력한 왕권을 얻었다. 또한 엘레판틴 지역에 사원을 재건하고 크눔(Khnum) 지역에 사원을 세웠다.[* 이 사원에서 [[아문]]에 대해 처음으로 언급된다.] 그리고 카르나크(Karnak) 지역에 자신의 이름을 새긴 팔각형 기둥을 세웠고 해당 지역에 최초로 [[아문]] 신을 전파하였으며, [[테베]]의 엘 타리프 지역에 자신의 무덤을 만들었다. 또한 그의 무덤 입구에 자신이 50년 가까이 통치했고 통치기간동안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설명하는 비석을 세워 기록이 풍성한 편이다. == 엘-타리프 무덤 == 인테프 1세는 [[테베]] 지역의 [[나일강]] 반대편 엘-타리프 언덕에 위치한 무덤에 묻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언덕은 세 개의 대형 무덤이 위치해 있는데, 이중 한 개의 무덤에서 인테프 2세의 글귀가 써져있어 인테프 2세의 무덤으로 밝혀졌다. 인테프 2세의 무덤은 20왕조 시절 [[람세스 4세]]의 명령에 따라 해당 무덤을 약탈하였다고 한다.[* 즉 기원전 3100여년 전 인물이 기원전 4100여년 전의 건축물을 오래된 건축물로 판단하고 약탈하라고 한 것이다.] 아보트(Abbott) 파피루스에 따르면 해당 무덤은 손상 정도가 적다고 보고하였는데, 해당 파피루스에 따르면 인테프 2세의 무덤은 피라미드 양식이라고 하였지만 사실 여부는 현재까지도 밝혀지지 않았다. [[분류:파라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