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인페르니티)] [[파일:インフェルニティ・ドワーフ.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드워프,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ドワーフ, 영어판명칭=Infernity Dwarf, 속성=어둠, 레벨=2, 공격력=800, 수비력=500, 종족=전사족, 효과1=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이 카드가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때\,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었으면\, 그 수치만큼 상대 라이프에 전투 데미지를 준다.)] 조건만 갖추면 자신의 모든 몬스터에게 [[관통(유희왕)|관통]] 효과를 부여한다. 하지만 능력치가 너무 낮아서 유지하기가 곤란하고 인페르니티에선 썩 도움이 되진 않기에 채용되진 않는 편. 우수한 서포트 카드가 많은 어둠 속성, [[전사족]]인 점을 이용해 낮은 공격력으로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의 코스트, [[리미트 리버스]]로 소생, [[증원(유희왕)|증원]]으로 서치, [[트루스 리인포스]], [[전사의 생환]], [[다크 버스트]]로 회수가 가능하며 [[연합군]]으로 패가 적어지기 쉬운 전사족의 전력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레벨도 낮아 [[정크 싱크론]], [[엔젤 리프트]]의 소생 효과도 사용 가능. [[종말의 기사]], [[불사 무사]], [[다크 그레퍼]]와 같이 사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원작에서는 [[키류 쿄스케]]가 [[후도 유세이]]와의 1차, 2차전과 [[로튼]]과의 듀얼에서 모두 사용한다. 유세이와의 듀얼에서는 2번 다 등장하자마자 [[다크 싱크로 소환]]의 소재로서 고통스럽게 사라져 묘지에서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에게 관통 효과를 부여했다. 생김새는 그냥 피부색이 어두운 친근한 아저씨가 도끼를 들고 있는 정도일 뿐인데 다크 싱크로 시의 얼굴이 무척이나 괴로워 보여서 상당히 씁쓸하다. 니코동 같은 데 보면 이 카드 나올때마다 "아저씨!" 등의 코멘트가 달린다. 로튼과의 듀얼에서는 [[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의 싱크로 소재가 된 후 인페르니티 브레이크의 효과로 제외되었다. 원작과 OCG카드의 일러스트가 다르다.[* 유세이vs키류 1차전과 유세이&키류 vs 로튼 전에서 뭔가 모습이 다른 일러스트를 썼고 유세이vs키류 2차전에서는 실제 카드 모습의 일러스트가 나왔다. ~~일관성이 없다.~~] 이런 일 자체는 일러스트가 썰렁한 원작의 모습을 OCG로 어레인지하면서 자주 일어나는 현상이다. 신기하게도 [[드워프]]를 모티브로 한 카드 중에 최초로 드워프의 이름을 들고 나왔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유희왕 5D's 스타더스트 엑셀러레이터]] 프로모 || WC09-KR002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유희왕 5D's 스타더스트 엑셀러레이터|遊☆戯☆王 5D's STARDUST ACCELERATOR]] 프로모 || WC09-JP002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유희왕 5D's 스타더스트 엑셀러레이터|Yu-Gi-Oh! 5D's Stardust Accelerator]] 프로모 || WC09-EN002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Gold Series 3 || GLD3-EN028 || [[노멀]] || 미국 || || [[분류:유희왕/OCG/전사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