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인페르니티)]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8307_1.jpg|width=400]]||[[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290_1.jpg|width=400]]|| || 내수판 || 해외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리로더,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リローダー, 영어판명칭=Infernity Randomizer,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900, 수비력=0, 종족=전사족, 효과외1=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1턴에 1번\, 자신의 덱에서 카드를 1장 드로우할 수 있다. 이 효과로 드로우한 카드를 서로 확인하고\, 몬스터 카드였을 경우\, 그 몬스터의 레벨 × 200 포인트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 준다. 마법/함정 카드였을 경우\, 자신은 500 포인트 데미지를 받는다.)] 몬스터 카드를 뽑으면 좋을 듯 하지만 적절하게 처리하지 못하면 핸드리스 콤보가 깨져버린다. [[인페르니티 데몬]]을 드로우해도 데미지 효과 처리 때문에 특수 소환할 타이밍을 놓친다. [[인페르니티 건]]을 미리 깔아둔 것이 아니라면 그냥 데미지를 감수하고 마법 / 함정 카드를 뽑는 것이 상책. 마법&함정 카드의 비중이 높은 덱에서 채용하거나, 아예 이 카드 위주로 덱을 구성할 수도 있다. 바로 리로더[[퍼미션]] 덱으로, 드로우한 견제 카드로 버티면서 인페르니티 전개의 필수 파츠인 [[인페르니티 데몬|데몬]],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네크로맨서]], 리벤저등의 몬스터가 묘지에 쌓이면 전개로 반격하는 덱. 종족과 레벨 덕에 [[증원]]은 물론 [[트루스 리인포스]]까지 받는다. 반대로 극 전개 인페르니티에서 사용될 경우에는 주로 리벤저와 함께 [[포뮬러 싱크론]]의 소재가 되어 [[슈팅 퀘이사 드래곤]]을 소환하는 발판이 되었다. 때문에 엑시즈 / 링크 몬스터의 퍼미션으로도 충분해진 현 시점에서는 전개용으로는 채용되지 않는다. 원작에서는 [[키류 쿄스케]]가 [[후도 유세이]]와의 듀얼에서 [[스피드 워리어]]에게 박살났다가 인페르니티 리플렉터의 효과로 부활해 효과로 [[인페르니티 디스트로이어]]를 드로우해 유세이에게 1200 데미지를 주었다. 키류가 사용할 때는 덱의 맨 위의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효과였는데 실제 텍스트는 드로우였다. 이 카드를 두고 유세이는 '''키류답지 않은 카드'''라고 평했다. 거기다 로튼과의 듀얼에서는 뜬금없이 '''튜너가 되어 분명 튜너인 인페르니티 비틀을 소재로 [[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을 싱크로 소환'''했다. --[[더블 튜닝]]-- 거기다가 공격력이 어째선지 700. ~~이러면 이름만 같지 전혀 다른 카드 아니야?~~ 더 웃긴건 이때 카드 모습을 보면 [전사족/효과]. 튜너라는 말이 쓰여있지 않다. --그냥 사기친거다.-- 정발판에서는 총기 탄압으로 총이 장난감이 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빛나는 어둠]] || TSHD-KR013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빛나는 어둠|THE SHINING DARKNESS]] || TSHD-JP013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빛나는 어둠|The Shining Darkness]] || TSHD-EN013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분류:유희왕/OCG/전사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