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 [목차] == 퀸 버드 == [[파일:external/www.nanet5.com/MR_09.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퀸 버드'''|| || 일어판 명칭 ||<-4>'''クイーン・バード'''|| || 영어판 명칭 ||<-4>'''Queen Bird'''||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바람|바람]] || [[비행야수족]] || 1200 || 2000 || ||<-5>커다란 부리로 상대를 쪼아대며 공격한다. 수비력이 높다.|| 확실히 수비력이 높은 편이긴 하지만 레벨 5에 걸맞는 스탯은 아니다. 레벨이 1 낮은 [[물의 조종자]]와 공격력/수비력이 일치한다. 7기 중반에 [[BF(유희왕)#BF-탱구바람 히렌|BF-탱구바람 히렌]]이 등장하기 전까지 OCG 발매 후 10여년동안 가장 수비력이 가장 높은 비행야수족 몬스터였다. 그만큼 비행야수족의 수비력이 전체적으로 낮은 편이었지만, 그렇다고 공격력이 높은 것도 아니기에 전체적으로 불우한 종족이었다. == 3만 년 된 흰 거북이 ==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30000YearWhiteTurtle-B05-JP-C.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3만 년 된 흰거북'''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3万年の白亀'''|| || 영어판 명칭 ||<-4>'''30,000-Year White Turtle''' (미발매)||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물|물]] || [[물족]] || 1250 || 2100 || ||<-5>3만 년이나 살아온 거대 거북이. 수비력이 높다.|| 레벨 5의 물족 일반 몬스터 중에서는 수비력이 가장 높다. 하지만 물족은 [[습지초원]]으로 대표되는 낮은 레벨을 주력으로 하는 전술이 특기이기에, 이 카드를 거기에 맞추기엔 어렵다. 그래도 공격력이 낮아 리크루트 해오기는 쉬우며, [[No.94 극빙희 크리스탈 제로]] 등의 엑시즈 소재로 쓰는 것도 가능. == 볼트 에스카르고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oltEscargot-V6-JP-C.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볼트 에스카르고'''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ボルト・エスカルゴ'''|| || 영어판 명칭 ||<-4>'''Bolt Escargot'''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물|물]] || [[번개족]] || 1400 || 1500 || ||<-5>끈적끈적한 액체를 뿌려서 움직이지 못하는 틈에 전기 충격으로 공격한다.|| 얼마 되지 않는 물 속성 번개족 몬스터. 번개족 [[일반 몬스터]] 중 상급 몬스터는 아직까지 이 카드 1장 뿐이다. 거기다 제 1기 등장 시절부터 제 7기에 [[젬나이트#젬나이트 르말린|젬나이트 르말린]]이 등장하기까지, 무려 '''10년 이상'''이나 번개족 [[일반 몬스터]] 중에서는 최고의 능력치를 지켜오던 카드였다. 상급 몬스터지만, 하급 몬스터로서도 능력치가 높지 않은 이 카드가 그렇게까지 긴 시간 동안 그 입지를 다져온 것이 OCG에서의 번개족의 입지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종족만 다르고 레벨도 1 낮은 [[활을 쏘는 인어]]와 능력치가 일치하는 시점에서 이 카드 자체의 비참함도 알 수 있다. 그래도 속성과 종족 조합 덕에 [[샐비지(유희왕)|샐비지]], [[배터리 리사이클]], [[어둠의 양산공장]], [[보충요원]] 등의 서포트를 받을 수 있으며 [[소환사의 스킬]]로도 서치해 올 수 있기에 패 코스트로 활용할 기회는 많다. == 탄생의 천사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WingedEggofNewLife-B2-JP-C.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탄생의 천사'''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誕生の天使'''|| || 영어판 명칭 ||<-4>'''Winged Egg of New Life''' (미발매)||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빛|빛]] || [[천사족]] || 1400 || 1700 || ||<-5>생명이 잉태한 소식을 알려주는 천사.|| 비슷한 시기에 등장한 같은 레벨의 [[발키리(유희왕)|발키리]]와 싸움의 신 오리온, 그리고 레벨이 1 낮은 [[듀나미스 발키리어]]와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4#샤인 어비스|샤인 어비스]]의 하위호환이지만, 오히려 1500 미만인 공격력 덕분에 [[샤이닝 엔젤]]로 리크루트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팔레트 스왑]] 카드로 [[엘프(유희왕)|윙 에그 엘프]]가 존재한다. == 화염을 삼키는 거대 거북 == [[파일:external/www.nanet5.com/MR_22.jpg]] || 한글판 명칭 ||<-4>'''화염을 삼키는 거대 거북'''|| || 일어판 명칭 ||<-4>'''炎を食らう大亀'''|| || 영어판 명칭 ||<-4>'''Giant Turtle Who Feeds on Flames'''||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물|물]] || [[물족]] || 1400 || 1800 || ||<-5>새빨간 갑옷이 특징인 거북. 화염을 먹는다고 전해진다.|| 같은 팩에 등장한 [[파이어 크라켄]]이 화염 속성인 것과는 달리, 이 몬스터는 속성, 종족 전부 화염과 연관성을 찾아볼 수 없다. 단순히 화염을 먹을 뿐이라 당연할지도 모르지만. [[카오스 엔드 마스터]]나 속성 리크루터에 대응하며, [[전설의 도시 아틀란티스]] 등의 혜택도 받을 수 있지만, 어드밴티지에 직접 이어지지 않아서 취급하기가 힘들다. 물속성 [[일반 몬스터]]라는 요소를 살리려 해도 같은 레벨의 [[가가기고#기가 가가기고|기가 가가기고]]를 쓰는 편이 더 쓰기가 쉽다는 것이 문제. 거기다 능력치를 제외하고 모든 것이 동일한 3만년의 흰 거북은 수비력이라도 내세울 수 있다. == 트렌트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Trent-V4-JP-C.jpg]] || 한글판 명칭 ||<-4>'''트렌트'''|| || 일어판 명칭 ||<-4>'''トレント'''|| || 영어판 명칭 ||<-4>'''Trent'''||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식물족]] || 1500 || 1800 || ||<-5>아직도 계속해서 자라고 있는 거목으로, 숲을 지키는 신이다.|| [[숲의 영혼왕|단풍의 여왕]]의 능력치를 뒤집은 몬스터. 식물족 중에서는 [[숲의 영혼왕|단풍의 여왕]], [[만돌래곤]]과 더불어 얼마 되지 않는 식물족 상급 [[일반 몬스터]]이며, 이들 중 유일하게 속성 리크루터나 [[지옥의 폭주소환]]에 대응한다. 모티브는 [[던전 앤 드래곤]]에 등장하는 동명의 몬스터. 동시에 비슷한 시기에 등장한 일반 몬스터인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3#깨달음의 노수|깨달음의 노수]]'의 [[팔레트 스왑]] 버전이다. == 사냥 거미 == [[파일:external/www.torecolo.jp/OCG-1130.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사냥 거미'''|| || 일어판 명칭 ||<-4>'''ハンター・スパイダー'''|| || 영어판 명칭 ||<-4>'''Hunter Spider'''||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곤충족]] || 1600 || 1400 || ||<-5>거미 줄로 함정을 쳐서 먹이를 사냥한다. 함정에 걸려든 것들은 절대 놓치지 않고 먹어치운다.|| 거미 인간의 [[팔레트 스왑]] 버전. [[땅을 기는 드래곤]]과 종족을 제외하면 전부 동일한 능력치를 가진 카드. [[던전 웜]]보다 공격력이 떨어지며, 안정성 또한 [[헤라클레스 비틀]]에 비하면 밀린다. 거미 인간과 마찬가지로 하반신의 다리를 확인하기 어려웠는데, [[유희왕 듀얼링크스]]의 이벤트를 통해 [[https://twitter.com/mizukame_MHF/status/1521313603109937156?t=H6IiduF-N1FVdb3wKYnNMQ&s=19|전신샷]]이 공개되었다. 그와는 별개로 아주 일반적인 사람의 다리(...)를 하고 있었단 것에 놀라는 팬들이 상당수 됐다. 오히려 빈약한 상반신의 다리와는 대조되게 아주 근육이 탄탄하게 잡혀있는 게 언밸런스하게 보일 정도. 원본인 거미 인간의 다리는 [[G 볼파크]]에 나온다. == 문어인어 == [[파일:external/www.suruga-ya.jp/g8805199.jpg]] || 한글판 명칭 ||<-4>'''문어인어'''|| || 일어판 명칭 ||<-4>'''オクトバーサー'''|| || 영어판 명칭 ||<-4>'''Octoberser'''||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물|물]] || [[물족]] || 1600 || 1400 || ||<-5>물고기 머리에 문어 다리. 무진장 이상한 생물. 창으로 공격한다.|| [[마법의 지배자]]에 나왔던 [[일반 몬스터]]. 일본판은 파라오의 사도에서 발매되었다. 물속성 레벨 5 덕분에, [[전설의 도시 아틀란티스]] 하에서는 제물 없이 소환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1기때 나온 캑터스보다 공격력이 100점 낮지만, 그 덕분에 [[카오스 엔드 마스터]]에 대응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화염을 삼키는 거대 거북이나 3만년의 흰거북보다 수비력이 더 낮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투입할 필요는 없다. == 크래시맨 == [[파일:external/www.media-world.jp/000000072938.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크래시맨''' (미발매, 게임판 공식명칭)|| || 일어판 명칭 ||<-4>'''クラッシュマン'''|| || 영어판 명칭 ||<-4>'''Togex''' (미발매, 게임판 공식명칭)||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야수족]] || 1600 || 1800 || ||<-5>의외로 재빠르게 돌아다니며, 둥글게 말아 몸으로 부딪혀 온다.|| 1기 후반에 등장한 상급 몬스터지만 초반에 등장한 몬스터들처럼 릴리스가 필요한 레벨임에도 능력치가 낮다. 이 정도 공격력으론 부딪혀봤자 본인이 크래시당할 수준. [[씨호스(유희왕)|씨호스]], 레오군과 종족 / 속성 / 레벨 등이 일치하므로 상호호환 관계에 속한다. 또한 [[카오스 엔드 마스터]]의 리크루트 효과에 대응하는 야수족 몬스터 중에서는 공격력이 가장 높다. 경우에 따라 [[썬더 유니콘|라이트닝 트라이콘]] 등의 싱크로 소재로 쓸 수 있을지도 모른다. 야수족 / 야수전사족 중에서는 땅 속성이나 능력치 높은 [[일반 몬스터]]가 많으므로, 서포트 카드도 취급하기 쉽다. 또한 야수족 / 야수전사족 하급 몬스터와 비교하면 공격력과 수비력의 합계치가 약간이나마 높다. 일단 [[야성해방]]의 효과를 받으면 공격력 3400이 되며, 이는 몬스터 효과를 발동한 [[주사천사 리리]]와 무승부를 낼 수 있는 능력치가 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1화에서는 [[카이바 세토]]가 [[무토우 스고로쿠]]의 [[푸른 눈의 백룡]]과 교환하기 위해 제시한 가방의 카드들 중 하나로 등장한다. [[유희왕 VRAINS]] 66화에서 [[후지키 유사쿠]]가 보고있던 인터넷 게시판의 닉네임 중 하나가 '[[사일런트(유희왕)|사일런트]] 크래시맨 LV4'로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어판 명칭이 동일한 [[크래시맨]]과는 전혀 관련 없다. == 야마도란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Yamadron-LCYW-EN-SR-1E.jpg]] || 한글판 명칭 ||<-4>'''야마도란'''|| || 일어판 명칭 ||<-4>'''ヤマドラン'''|| || 영어판 명칭 ||<-4>'''Yamadron'''||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화염|화염]] || [[드래곤족]] || 1600 || 1800 || ||<-5>세 개의 머리로 차례차례 화염을 내뿐어 그 일대를 불바다로 만든다.|| 형편없는 능력치지만 [[카오스 엔드 마스터]]로 리쿠르트 가능한 드래곤 중에서는 가장 좋다. [[땅을 기는 드래곤]]보다 수비력이 400 높기 때문. [[연쇄 제외]]로 전부 털리기 십상이라 [[성각]]에서는 가끔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애초에 성각은 5랭크 엑시즈는 별로 선호하지 않는데다가 [[커스 오브 드래곤]]도 있고 패롯 드래곤도 있어서 경쟁력은 거의 없다. 드문 화염 속성 드래곤이기 때문에 시너지가 부족한 면도 있고. 토너먼트 팩으로 많이 풀린지라 구하려면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다. 3개의 머리는 사이가 좋다고 한다. 하지만 일본판은 초기 몬스터 답게 이유는 알수 없지만 레어도가 높은 카드. 참고로 유희왕 [[게임보이]]에서는 무려 의식 몬스터였으며 그것도 무려 드래곤족, 야수전사족, 화염족 세 장을 필요로 했다. 쉽게 말해 패에 이놈 뽑으려면 다섯 장, 그것도 지정된 종족의 소재가 필요하다는 소리. 당연하지만 스탯도 지금이랑 똑같았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기사 가이아]]덱에 [[소환사 알레이스터]]를 섞는 연구에서 잠깐 사용되었던 적이 있다. 당시 듀얼링크스에 존재하는 유일한 화염속성/레벨 5/드래곤족 몬스터였기에 주목받았던 것이었는데, [[주파하는 가이아]]로 레벨 5 드래곤족인 이 카드를 서치하고, 화염속성인 걸 이용해서 알레이스터와 융합해 푸르가트리오를 뽑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결국 이 빌드는 큰 주목을 받지 못하고 사장되며 더 이상 사용되지 못했다. == 메탈 휘시 ==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41RmQLQ01GL.jpg]] || 한글판 명칭 ||<-4>'''메탈 휘시'''|| || 일어판 명칭 ||<-4>'''メタル・フィッシュ'''|| || 영어판 명칭 ||<-4>'''Metal Fish'''||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물|물]] || [[기계족]] || 1600 || 1900 || ||<-5>금속 물고기. 예리한 칼날의 꼬리 지느러미로 상대를 위협한다.|| 사이보그 배스와 더불어 유이한 물속성/기계족 [[일반 몬스터]]. 공교롭게도 레벨마저 동일하다. 후에 나온 [[양철 금붕어]]의 디자인에 영향을 주었..을까?~~양철 금붕어 구형~~ == 다크 키메라 == [[파일:external/blog-imgs-44.fc2.com/20130109230316ed7.jpg]] || 한글판 명칭 ||<-4>'''다크 키메라'''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ダーク・キメラ'''|| || 영어판 명칭 ||<-4>'''Dark Chimera''' (미발매, 게임판 공식명칭)||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 [[악마족]] || 16'''1'''0 || 14'''6'''0 || ||<-5>마계에 서식하는 몬스터. 어둠의 화염을 뿜어 공격한다.||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듀얼리스트 킹덤 편|듀얼리스트 킹덤 편]]에서는 [[플레이어 킬러|어둠의 플레이어 킬러]]가 사용한 몬스터로 등장. 이 인물이 사용한 다른 카드들과 마찬가지로 능력치가 매우 애매한 카드로 유명하다. 원래는 공격력 2100, 수비력 1900이었으나 원작 룰에서 능력치가 30% 상승하는 보너스를 역으로 계산하다가 이상해져 버린 것. OCG용 카드 기준으로 30% 올려보면 공격력 2093, 수비력 1898로 대충 비슷한 숫자가 나온다. 이후에 나온 [[사이버 다크|사이버 다크 키메라]]와는 관계 없다. == 다이스 아르마딜로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DiceArmadillo-V6-JP-C.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다이스 아르마딜로'''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ダイス・アルマジロ'''|| || 영어판 명칭 ||<-4>'''Dice Armadillo'''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기계족]] || 1650 || 1800 || ||<-5>몸을 둥글게 말면 주사위 같은 형태가 되는 아르마딜로.|| 레벨 5 / 땅 속성 / 기계족 [[일반 몬스터]] 중에서는 가장 능력치가 높다. 하지만 지금 와서는 하급 몬스터 수준밖에 안되는데다 하급 몬스터인 [[대목인 18]]과 비교해도 큰 차이가 없다. 일러스트 상으론 단순히 철갑 같은 것을 두른 야수 형태의 몬스터지만 어째선지 기계족이다. [[플레이버 텍스트]]에도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로봇이라거나 기계로 개조되었다는 설명이 일절 쓰여있지 않다. [[주사위]] 형태가 된다고는 하지만 정작 OCG를 포함해 어떤 게임 시리즈에서도 주사위 관련 효과는 나온 적이 없다.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2]]에서는 전투시 공격 모션으로 몸을 둥글게 마는 모습을 볼 수 있지만 딱히 주사위처럼 생기지는 않았다. == 카쿠타스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Akihiron-V3-JP-R.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카쿠타스'''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마스터 듀얼]]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カクタス'''|| || 영어판 명칭 ||<-4>'''Akihiron''' (미발매)||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물|물]] || [[물족]] || 1700 || 1400 || ||<-5>수중에 숨어있는 정체불명의 모습을 지닌 괴물.|| == 마캐논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Mabarrel-V3-JP-R.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마캐논'''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マキャノン'''|| || 영어판 명칭 ||<-4>'''Mabarrel'''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 [[악마족]] || 1700 || 1400 || ||<-5>대포처럼 생긴 악마. 눈에 안 보이는 속도로 눈알 탄을 발사한다.|| 같은 조건 중에서는 [[암흑 마계의 패왕]]의 완전 하위호환. [[헬웨이 패트롤]]로 특수 소환이 가능하긴 하지만 이조차도 암흑 마계의 패왕한테 밀린다. 어정쩡한 공격력 때문에 서포트가 적으며, [[카오스 엔드 마스터]]의 서포트를 받을 수 없다는 점에서 [[모린팬]]보다도 딸린다. 비슷한 시기에 등장한 [[타이혼]]과 마찬가지로 [[대포]]를 모델로 한 몬스터. 또한 같은 종족에 마찬가지로 병기를 모델로 한 몬스터로 [[마인(유희왕)#마인총|마인총]]이 존재한다. == 아름다운 마물사 == [[파일:external/www.jesus4-25.com/2947.jpg]] || 한글판 명칭 ||<-4>'''아름다운 마물사''' ([[유희왕 듀얼링크스]]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美しき魔物使い'''|| || 영어판 명칭 ||<-4>'''Beautiful Beast Trainer''' (미발매)||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전사족]] || 1750 || 1500 || ||<-5>드문 여성 마물술사. 채찍을 손에 잡으면 성격이 바뀐다.|| [[부스터(유희왕)#s-2.7|같은 팩]]에 등장한 [[몬스터 테이머]]의 완전 하위 호환. 컨셉도 겹치는데다 능력치도 어중간한지라 차별할 만한 요소도 적다.[* 그나마 [[암살자#s-2.5|암살자]]보단 낫다.] 이중인격이나 아니면 채찍을 들었을 시 S가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레오군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Leogun-V5-JP-C.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레오군'''|| || 일어판 명칭 ||<-4>'''レオグン'''|| || 영어판 명칭 ||<-4>'''Leogun'''||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야수족]] || 1750 || 1550 || ||<-5>야수의 왕답게 훌륭한 갈기를 가진 사자. 체구도 상당히 크다.|| Vol.5에 등장한 4장의 상급 [[일반 몬스터]] 중 유일하게 레어도가 노멀인 카드. 당시 나머지 3장의 공격력은 1800 이상이었으므로 제일 낮은 위치에 있는 것은 당연할 듯 하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죠노우치 카츠야]]가 [[듀얼리스트 킹덤]]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한다. [[다이노서 류자키]]의 [[두 머리의 킹렉스]]를 공격하려 꺼냈다가 환경 보너스에 의해 역관광당하고 파괴된다.[* 원작 코믹스에서는 [[헝그리 버거(유희왕)|황소마인]]을 소환했지만, 이렇게 되면 죠노우치의 필드에 있던 초원의 환경 보너스를 받게 되므로 카드를 변경한 듯 하다.] == 갈자스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Garoozis-BC-JP-C.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갈자스'''|| || 일어판 명칭 ||<-4>'''ガルーザス'''|| || 영어판 명칭 ||<-4>'''Garoozis'''||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화염|화염]] || [[야수전사족]] || 1800 || 1500 || ||<-5>용머리의 야수전사. 도끼의 공격은 꽤나 강력하다.||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듀얼리스트 킹덤 편|듀얼리스트 킹덤 편]]에서 [[죠노우치 카츠야]]가 사용한 몬스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편]]에서는 [[카지키 료타]]와의 듀얼에서 한 번 더 소환하지만 바로 [[격류장]]을 맞고 퇴장하게 된다. 듀얼리스트 킹덤 대회 동안 [[쇠사슬 부메랑]]과 인연이 많았던 몬스터로, 이 대회에서 죠노우치는 갈자스와 부메랑의 협공으로 벤디트 키스와 어둠의 유우기(애니메이션)에게 한 방 먹였다. 최초로 등장한 땅속성이 아닌 야수전사족 몬스터이기도 한데 생긴 것만 보면 파충류족이지만 야수전사족인 것도 특징이다. 이는 비슷한 카드인 루드 카이저도 해당되는 사실. [[익세스 레서 링커]]의 일러스트에 출연했다. 공격명은 '순살 5연속 베기' == 윙 이글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WingEagle-BC-JP-C.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윙 이글'''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ウイング・イーグル'''|| || 영어판 명칭 ||<-4>'''Wing Eagl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바람|바람]] || [[비행야수족]] || 1800 || 1500 || ||<-5>머나먼 상공에서 먹이를 찾으며, 노린 사냥감은 놓치지 않는다.|| 같은 속성, 종족에다 공격력 2000, 레벨 4인 [[환상의 그리폰]]이 있어 묻힌다. == 사이보그 배스 == ||
[[파일:external/auctions.c.yimg.jp/k33130210-img413x599-1451237231rdtky922078.jpg|width=100%]] || [[파일:external/yugioh-online-fan.de/377.png|width=100%]] || || 내수판 || 수출판 || || 한글판 명칭 ||<-4>'''사이보그 배스'''(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サイボーグ・バス'''|| || 영어판 명칭 ||<-4>'''Mech Bass'''(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물|물]] || [[기계족]] || 1800 || 1500 || ||<-5>허리에 붙어있는 포대에서 섬광의 플라즈마 캐논을 쏘아댄다.|| [[부스터(유희왕)|BOOSTER 4]] 및 R2에서 발매된 최초의 물속성 기계족 몬스터. 일본판에만 존재하는 카드지만 해외 게임판에서는 총기를 탄압받았다. == 전투의 신 오리온 == [[파일:external/s3-ap-northeast-1.amazonaws.com/7332B2-09.jpg]] || 한글판 명칭 ||<-4>'''전투의 신 오리온''' (미발매, 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戦, ruby=たたか)]いの[ruby(神, ruby=かみ)] オリオン'''|| || 영어판 명칭 ||<-4>'''Orion the Battle King''' (미발매, 공식 번역명)||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빛|빛]] || [[천사족]] || 1800 || 1500 || ||<-5>싸움의 신으로 알려져있는 천사. 그 싸움을 본 사람은 아무도 없다.|| 초기에 많았던 공격력, 수비력이 하급인 상급 몬스터였지만, 등장 당시에는 천사족 중에서 상당히 강한 몬스터였다. 애초에 큰 활약은 없었지만, 2기에 들어서 수비력이 200 더 높은 [[발키리(유희왕)|발키리]]의 등장으로 주춤하기 시작했다. 다만, 그 때까지만 해도 현역이었던 [[검은 숲의 마녀]]의 서치 범위에 들어간다는 이점은 존재했다. 또한 [[유희왕 프랜차이즈/비디오 게임|유희왕 폴스바운드 킹덤]]에서는 초기 능력치가 높고 [[초필살기]]도 배울 수 있기에, 싸움의 신이라는 명칭에 모자라지 않게 충분히 역할을 다 할 수가 있다. 공격명은 '''오리온의 분노.''' 초필살기명은 '''문라이트 익스팅,션''' == 루드 카이저 == [[파일:ルード・カイザー.jpg]]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RudeKaiser-JP-Manga-DM-NC.png]][br]이 카드의 구도는 원작인 13권의 60 페이지 쪽에 있는 구도.] || 한글판 명칭 ||<-4>'''루드 카이저'''|| || 일어판 명칭 ||<-4>'''ルード・カイザー'''|| || 영어판 명칭 ||<-4>'''Rude Kaiser'''||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야수전사족]] || 1800 || 1600 || ||<-5>양팔에 장착한 도끼의 파괴력은 상당히 강력하다!|| ||<-5>'''이 녀석의 도끼는 강력하지! 루드 카이저!''' -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모크바 전용 대사||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듀얼리스트 킹덤 편|듀얼리스트 킹덤 편]]에서는 [[카이바 세토]]가 [[페가수스 J. 크로포드]]와의 듀얼에서 사용. 페가수스의 [[툰 앨리게이터]], 패롯 드래곤을 파괴했으나, 이후 [[푸른 눈의 툰 드래곤]]의 공격에 파괴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어둠의 유우기]]가 [[카이바 세토]]와의 첫 듀얼에서 사용하는 것으로도 나왔으며,[* 어둠의 유우기가 손패의 [[엑조디아]] 파츠를 확인하는 장면에서 엑조디아 파츠와 함께 패에 들어있는 장면이 나왔으며, 이후 수비표시로 필드에 나와있었다가 카이바가 소환한 [[심판자(유희왕)|심판자]]에게 파괴되었다. 원작에서는 손패에 들려있던 카드는 이름모를 짐승형 몬스터였고, 심판자에게 파괴된 수비 몬스터는 [[루이즈]]였다.] [[죠노우치 카츠야]]도 카이바와의 듀얼에서 사용했으나 카이바의 [[미노켄타우로스]]에게 다른 카드들과 함께 순식간에 파괴되는 것으로 나왔다. 듀얼 퀘스트 편에서는 카이바의 덱을 빌린 [[카이바 모쿠바]]가 처음으로 소환한 카드였다. == 스파이크 헤드 == [[파일:external/s3-ap-northeast-1.amazonaws.com/2856TB-31.jpg]] || 한글판 명칭 ||<-4>'''스파이크 헤드'''|| || 일어판 명칭 ||<-4>'''スパイク・ヘッド'''|| || 영어판 명칭 ||<-4>'''Spikebot'''||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 [[기계족]] || 1800 || 1700 || ||<-5>지옥의 마술사가 만든 기계병. 양팔의 철퇴로 적군 아군 할 것 없이 마구 공격한다.|| 확실히 저 정도의 공격력으로 마구 공격하면 본인도 위험할 것 같다. 당연하지만 현재에는 쓰는 듀얼리스트가 없는 몬스터. 본래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에서 첫 등장한 카드로, 해당 작품에선 무려 통신 교환에 의한 돌연변이로만 입수 가능했다. 게임에서 다른 콘솔로 [[퓨저니스트]] 및 [[철완 골렘]]과 [[니들 볼]]을 보낸 것으로 탄생한다. 또한 당시엔 OCG의 [[플레이버 텍스트]]와는 달리 '1톤의 철구를 조종하는 몬스터로 명중률은 좋지 않다.'라고 쓰여있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오토기 류지]]가 [[죠노우치 카츠야]]와 즉석에서 뜯은 팩에서 나온 카드들로 덱을 구성해 듀얼할 때 뽑은 카드 중 하나로 출연. 소환 후 죠노우치의 [[맹진하는 검뿔소]]를 공격해 파괴했지만, 다음 턴 죠노우치가 소환한 [[고블린의 돌격 부대]]의 공격으로 파괴되었다. == 미스터 볼케이노 == [[파일:external/www.torecolo.jp/CA-45.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미스터 볼케이노'''|| || 일어판 명칭 ||<-4>'''ミスターボルケーノ'''|| || 영어판 명칭 ||<-4>'''Mr. Volcano'''||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화염|화염]] || [[화염족]] || 2100 || 1300 || ||<-5>화염을 조종하는 신사. 평상시에는 온화하지만 분노하면 무섭다.|| 미묘한 능력치처럼 보이지만 사실 이래봬도 동일 조건에서 가장 강한 몬스터다. 하지만 [[인스턴트 퓨전]]으로 나오는 [[주작(유희왕)|주작]]도 있는지라 일반 몬스터임을 살리지 못하면 역시 쓰는 의미가 없다. 레벨을 따지지 않는다면 [[화염의 케로베로스]], [[빅뱅 드래곤]]이라는 상위호환도 있다. 반대로 말해 레벨 5의 화염족 일반 몬스터라는 점을 살릴 수 있다면 이 카드는 그나마 쓸만한 축에 속하지만, 이걸 살릴 수 있을 만한 덱이 딱히 없다는 게 문제. 최강의 화염족 일반 몬스터인 빅뱅 드래곤도 실제로 써먹을 구석을 찾기 난감한 상황이다. [[듀얼(유희왕)|듀얼]] 몬스터 중 [[작열왕 파이론]]과 서포트를 많이 공유하긴 하지만, 작열왕 파이론도 별로 쓰기 좋은 몬스터는 아니다. 일러스트가 다른 카드들과 비해 꽤나 이질적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 version=647, paragraph=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