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증권거래소/아시아)] ||<:><-2> 기업개요 || ||<-2> [[파일:일본거래소그룹 로고.svg|width=200]] || || 한글명칭 || 주식회사 일본거래소그룹 || || 영문명칭 || Japan Exchange Group, Inc. || || 일본어명칭 || 株式会社日本取引所グループ || || 설립일 || [[2013년]] [[1월 1일]] || || 업종명 || [[증권거래소]] || || 기업규모 || [[대기업]] || || 상장여부 || 상장기업 || || 상장시장 || [[도쿄증권거래소]]([[2013년]] ~) || || 종목코드 || [[https://www2.tse.or.jp/tseHpFront/StockSearch.do?topSearchStr=8697|JPX: 8697]] || || 상장기업 수 || 3,717개 ([[2020년]] [[9월 18일]] [[https://www.jpx.co.jp/english/listing/co/index.html|기준]])[br]1부: 2,176, 2부: 481[br]마더스: 325, [[자스닥]]: 662[br][[자스닥]]성장: 37, TSE프로: 36 || ||<-2> [[https://www.jpx.co.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jpx.co.jp/corporat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회사)^^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기업]]. [[도쿄증권거래소]], [[오사카증권거래소]], 도쿄공업품거래소, 일본거래소자율규제법인, 일본증권클리어링(증권청산), 일본상품청산기구(상품청산) 6개의 법인이 합병하여 세워진 통합 [[증권거래소]]이다. 본사는 〒103-8224 [[일본]] [[도쿄도]] [[주오구(도쿄도)|주오구]] 日本橋兜町2-1에 위치해 있다. 처음에는 [[오사카증권거래소]] 위치에 본사를 뒀으나 [[2018년]] [[도쿄증권거래소]]로 본사를 복귀했다. == 설명 == [[일본]]의 [[증권거래소]]는 [[도쿄증권거래소]], [[오사카증권거래소]], [[나고야증권거래소]], [[후쿠오카증권거래소]], [[삿포로증권거래소]]까지 5개가 있고 도쿄공업품거래소라는 상품거래소까지 딸려 있어서 통일이 안 되고 지방마다 증권거래소가 난립한 구조였다. 거래소판 [[전국시대(일본)|전국시대]](...) 결국 [[고이즈미 준이치로]] 정부때부터 도쿄증권거래소 위주로 일본의 거래소를 전부 통합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게 된다. 그러나 [[일본우정]] [[민영화]] 이후 [[고이즈미 준이치로]] 수상은 사직했고, [[아베 신조]](1차), [[후쿠다 야스오]], [[아소 다로]], [[하토야마 유키오]], [[간 나오토]], [[노다 요시히코]]까지 후임 [[내각총리대신]]들이 죄다 1년을 못 넘기고 사직하는 일이 반복되자 거래소 통합은 차일피일 밀렸다. 결국 [[2012년]] [[12월]] 집권한 [[아베 신조]](2차) 내각에서 거래소 통합 작업에 나서게 된다. 당시 도쿄도지사였던 [[이시하라 신타로]]도 아베 내각과 협조하여 [[2013년]] [[5월]] 도쿄증권거래소와 오사카증권거래소의 합병을 통해 일본거래소(JPX)를 세우게 된다. [[2013년]] [[8월]] JPX를 JPX에 상장시켰다. [[2013년]] [[9월]] 도쿄공업품거래소를 통합하였다. 문제는 그 이후인데, [[나고야증권거래소]]를 합병하려고 나고야 쪽에 아베가 접촉했으나 [[2014년]] 당시 [[나고야]] 시장인 [[카와무라 타카시]]가 '''"일본거래소에 나고야증권거래소 통합 반대!"'''라고 뻗대면서 JPX-나고야증권거래소 간 합병이 무산되고 말았다.(...) 그러자 [[후쿠오카증권거래소]]와 [[삿포로증권거래소]]도 나고야증권거래소처럼 통합 반대로 일관했고, 결국 어정쩡하게 도쿄-오사카만 통합한 JPX vs 나머지 쬐끄만(...) 지방 증권거래소가 찌꺼기처럼 남고 말았다. 지방도시의 경제력이 도쿄에 흡수당한다는 이유로 죄다 합병을 반대한 것인데, 이러다보니 일본거래소는 약 200여개의 기업들[* [[나고야증권거래소]], [[후쿠오카증권거래소]], [[삿포로증권거래소]] 종목 중 JPX에 이중상장을 하지 않은 기업. 나고야 130여개, 후쿠오카 70여개, 삿포로 8개가 있다. 이들은 지역의 [[중소기업]]들이다.]이 JPX에 포함되지 않았다. 일본 상장주권 거래 비중에서 일본거래소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99.3%'''이며 0.7%만을 지방 거래소에서 차지하고 있다. [[상하이증권거래소]]와 시가총액기준 '''아시아 1위, 세계 3위'''를 다투는 거대한 [[증권거래소]]이다. 2021년 1월 기준 전체 [[시가총액]]은 약 6조 3500억 달러, 상장사는 3754개이다. [include(틀:세계 증권거래소 시가총액)] [[2020년]] 연말 기준 세계 [[증권거래소]] [[시가총액]] 순위. == 구성 == === [[도쿄증권거래소]] === 오사카증권거래소한테서 주권거래 기능을 인수한 대신 도쿄증권거래소가 가지고 있던 파생상품거래 기능을 전부 오사카거래소에 넘겼다. [[2018년]] 본사를 도쿄증권거래소로 이전했다. === [[오사카증권거래소]] === 오사카증권거래소가 가지고 있던 주권 거래 기능을 전부 [[도쿄증권거래소]]로 넘기고 도쿄증권거래소가 가지고 있던 [[파생상품]] 거래 기능을 넘겨받았다. 이 과정에서 [[자스닥]]이 도쿄증권거래소 마더스그룹에 통합됐다. JPX 설립 초기에는 오사카거래소가 본사였으나 [[2018년]] 도쿄증권거래소로 본사 지위를 넘겼다. 대신에 [[파생상품]] 청산기능은 전부 오사카증권거래소에 통합됐다. === 도쿄공업품거래소 === [[일본]]에 있는 상품거래소이다. [[석유]], [[외환]], [[석탄]] 등이 거래된다. [[2013년]] [[9월]] JPX에 합병됐다. === 일본거래소자율규제법인 === 도쿄증권거래소와 오사카증권거래소 각각에 있던 시장감시법인을 통합한 회사이다. 도쿄증권거래소에 있다. === 일본증권클리어링 === 주권 청산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에서 주권거래 청산기능은 [[한국거래소]] 시장청산위원회에서 독점하고 있는데 일본은 증권클리어링이라는 자회사를 세웠다. 역시 [[도쿄증권거래소]]에 있다. === 일본상품청산기구 === 도쿄공업품거래소에 부속된 상품거래 청산기구. [[분류:일본의 금융회사]][[분류:증권거래소]][[분류:도쿄 증권거래소 상장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