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의 대외관계)] [include(틀:지부티의 대외관계)] || [[파일:일본 국기.svg|width=100%]] || [[파일:지부티 국기.svg|width=100%]] || || [[일본|{{{#ffffff '''일본'''}}}]] || [[지부티|{{{#fff '''지부티'''}}}]]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과 [[지부티]]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지부티는 [[자위대]] 기지가 위치해 있으며 지부티내에는 [[미군]], [[프랑스군]], [[중국군]]의 기지도 존재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064031?sid=104|#]] 일본은 자위대 기지를 두고 있다보니 지부티 내의 중국 영향력을 견제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069248?sid=104|#]] == 역사적 관계 == === 21세기 === 2009년 5월 15일, 방위성은 소말리아 해역에 P3P 초계기를 투입했다고 밝혔고, 지부티 공항을 P3P 초계기의 거점으로 이용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2674548?sid=104|#]] ==== 2010년대 ==== 2011년 5월 30일, 일본 정부는 지부티에 지위대 기지를 첫 설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5088547?sid=100|#]] 2013년 4월 24일, 일본 정부는 지부티에 330만 달러를 지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2429915?sid=104|#]] 2014년 1월 17일, 일본 정부는 방위관을 에티오피아, 지부티를 포함한 7개국에 파견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6705314?sid=104|#]] 7월 26일, 일본 정부는 지부티에 자위대 정보수집요원을 파견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035946?sid=104|#]] 2015년 1월 19일, 일본 정부는 지부티의 자위대 기지를 사실상의 '''해외기지'''로 만드는 방안을 검토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2/0000099505?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362523?sid=100|#2]] 2016년 1월 13일, 일본 정부는 지부티 주둔 자위대 기지의 거점 기능을 강화하기 시작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8113990?sid=104|#]] 7월 14일, 남수단에 체류중이던 일본인들이 지부티의 자위대 기지에서 출발한 수송선을 타고 지부티에 도착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2167148?sid=104|#]] 8월 13일, 일본 방위상이 지부티를 방문하기로 했다.[[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160813010006952|#]] 8월 23일, 일본 자위대는 지부티에서 해외 체류 일본인들의 유사시 대피 훈련을 실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2239137?sid=104|#]] 2017년, 일본이 지부티 대통령의 방중전에 자위대 기지를 확충할 계획을 검토한다고 홍콩 언론이 보도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705096?sid=104|#]] 8월 1일, 지부티에서 중국 군함에 일본 자위대 잠수부가 접근(!)해 소동이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8100154?sid=104|#]] 11월 19일, 일본 정부는 중국군 대형기지에 대응해 지부티 자위대 기지를 확장하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8295439?sid=104|#]] 2018년 5월 6일, 일본은 지부티 주둔 자위대 임무를 확대해 중국을 견제하기 시작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069248?sid=104|#]] 8월 30일, 일본 정부는 지부티와 해상안보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310777?sid=104|#]] 2019년 12월 28일, 고노 방위상은 지부티의 자위대 기지를 방문한 뒤, 오만을 방문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9629711?sid=104|#1]][[https://www.voakorea.com/a/5223942.html|#2]] ==== 2020년대 ==== 2020년 초부터 [[코로나19]]가 전세계로 퍼지기 시작했다. 지부티 정부는 외국인들의 입국을 막으면서 자위대 병력이 들어가지 못하자 방위성이 지부티 정부와 교섭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9847396?sid=104|#]] 11월 4일, 지부티에 주둔중인 자위대 임무 기한이 1년 연장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991736?sid=104|#]] 2021년 4월 8일, 일본 방위성은 지부티의 자위대 기지의 자위대원들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317543?sid=104|#]] 11월 28일, 일본 정부는 에티오피아 내전 사태를 조사하기 위해 지부티에 자위대를 파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843307?sid=104|#]] 하지만 지부티의 자위대 파견에 대해 일본에서 논란이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3993593?sid=104|#]] == 관련 문서 == * [[일본/외교]] / [[일본-아프리카 관계]] * [[지부티/외교]]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프리카 국가/동아프리카 국가]] [[분류:일본의 대국관계]][[분류:지부티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