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평구의 법정동)] ||<-2> '''[[부평구|{{{#000000,#dddddd 부평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일신동}}}'''[br]日新洞 | Ilsi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부평구 일신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부평구 || || '''행정표준코드''' || 3540040 || || '''관할 법정동''' || 일신동, 구산동 || || '''하위 행정구역''' || 20통 120반 || || '''면적''' || 4.30㎢ || || '''인구''' || 11,987명[* 2023년 4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2,787.67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부평구 갑''' || ||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이성만]] ,,(초선),, || ||<-2> '''인천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유경희]] ,,(초선),, || ||<-2> '''부평구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동민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여명자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익성]] ,,(5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경인로1148번길 6[* 일신동 110-8] || || [[https://www.icbp.go.kr/dong/index.jsp?dong=ilsin|일신동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일신동은 해방 후 모든 것이 새로워진 동네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구한말에는 부평군 동소정면 항동리였으나, [[1914년]] 부천군 부내면 항동리로 바뀐 뒤 [[1940년]]에 인천부로 편입되면서 향취정이 되었고, 1946년에 일신동으로 바뀌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1946년]]부터 [[1982년]]까지 [[부개동|부개1동]]의 관할로 존속되었다가, 1982년에 부개1동에서 분리되었다. 동쪽으로는 [[구산동(인천)|구산동]], 서쪽으로는 [[부개동]]과 [[부평동(부평구)|부평동]][* 가족공원으로 통하는 산길이 존재하지만 막혀있어 갈 수 없어 돌아서 들어가야 한다.], 남쪽으로는 [[남동구]] [[만수동]][* 만수동과는 산으로 막혀있어 교류가 전혀 없다. 가기 위해서는 구산동과 장수동을 경유해서 가야 한다.], 북쪽으로는 [[경기도]] [[부천시]]에 접한다. === 특징 === 동의 면적 50% 정도가 녹지와 군부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풍림산업|풍림아파트]], 일신[[주공아파트]]가 위치해 있다. 뿐만 아니라 부평구장애인종합복지관, 인천노동복지합동청사, [[안전보건공단]] 중부지역본부, [[근로복지공단]] 인천북부지사 경인업무상질병판정위원회, 직업성폐질환연구소,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인천지사, 학교법인 [[한국폴리텍대학|한국폴리텍]] 본부, 근로복지공단 인천병원, 글로벌숙련기술진흥원 등 업무기관과 의료시설이 들어서 있다.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송내IC]]가 경인로를 통하여 연결돼 있다 보니 주유소 및 LPG충전소가 많은 편이다. === 부대 ===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50%가 군부대다. ([[제17보병사단]], [[제10항공단]], [[수도군수지원단]][* 구 [[제61보병사단]]]과 [[제1군수지원여단]]이 위치해있다.)가 위치해 있다. == 관할 법정동 == === 일신동 === ||<-2> '''[[부평구|{{{#000000,#dddddd 부평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일신동}}}'''[br]日新洞 | Ilsi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부평구 일신dong,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부평구 || || '''행정표준코드''' || 2823710800 || || '''관할 행정동''' || 일신동 || || '''면적''' || 1.83㎢ || [clearfix] === 구산동 === ||<-2> '''[[부평구|{{{#000000,#dddddd 부평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구산동}}}'''[br]九山洞 | Gusa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부평구 구산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부평구 || || '''행정표준코드''' || 2823710900 || || '''관할 행정동''' || 일신동 || || '''면적''' || 2.48㎢ || [clearfix] == 교통 == * [[인천 버스 11]] * [[인천 버스 12]] * [[인천 버스 14-1]] * [[인천 버스 37]] * [[인천 버스 47]] * [[부천 버스 88]] * [[인천 버스 103-1]] * [[인천 버스 526]] * [[인천 버스 급행97]] * [[인천 버스 인천e음61]] == 여담 == 구산동에 비하면 교통은 양호하다. 경인로가 지나가 [[부천시|부천]], [[수원시|수원]], [[안양시|안양]] 등지로 가는 시외버스도 운행했었다.[* 현재는 시외버스가 전부 폐선되고 [[부천 버스 88|부천 88번]]만 남았다.] [[허윤미]]가 [[10대]] 초반에 이 지역에서 거주한 적이 있었다. [[구산중학교(인천)|구산중학교]]는 구산동이 아닌 [[부개동]]에 있다. [[분류:부평구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