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전두환)] || [[파일:external/img.gioo.com/group_42619.jpg|width=100%]] || [[파일:external/ojsfile.ohmynews.com/IE000998841_STD.jpg|width=100%]] || || 전면부 || 뒷면(제작중 모습)[* 저 하얀 부분은 글씨를 새기기 위해 종이에 같은 내용의 글씨를 모양과 크기도 똑같이 써 놓고 붙인 것으로, 제작이 완료된 뒤에는 사라졌다.] || |||| 전두환 친필 표지석. 6500만원이 든 공원정비예산에서 이것만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039551|3천만원]]이다. || [목차] == 개요 == [[경상남도]] [[합천군]]에서 당시 합천군수였던 [[심의조]]의 주도로 기존에 존재하던 '새천년 생명의 숲' [[공원]]을 이 곳 출신인 [[전두환]] 전 대통령의 호 '일해(日海)'를 따서 2007년 개명한 공원이다. 아예 친필 휘호 표지석도 설치했다. 주소는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문화로(합천)|문화로]] 34 (합천리)이다. 당연하다면 당연하지만 개명 당시부터 지금까지 공원 명칭을 다시 바꾸라는 지역내 요구가 있으며, 다 떠나 합천군 자체가 인구가 적은 시골이다 보니 다른 지역 사람들은 이런 공원이 있는지조차 모르는 경우도 많다. 사실 2023년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도 역대 대통령 중 가장 비호감도가 높은[* 공이 더 많다 18%, 과가 더 많다 71%.] 대통령으로 조사된 전두환을 기리는 공원을 떡하니 만든 거 보면 전국 민심과 괴리된 공원이긴 하다. == 개명 과정과 반응 == [[파일:/pds/200701/30/11/b0016211_12012897.jpg]] 위 만평의 역사 교과서에 '5.18 쿠데타'로 적힌 것은 [[5.17 내란]]을 의미한다. 5.17 내란은 자정 0시에 시행되어서 5.18 내란이라고도 부르며 [[1997년]] 당시 전두환에 대해 반란죄 판결이 나올 때에도 재판 기록에 5.18 내란으로 언급되어 있다. 다만 텍스트를 함축적으로 적는 만평의 특성상, '5.18 쿠테타'가 아닌 '[[5.18 민주화운동|5.18]]', 그리고 '[[12.12 군사반란|쿠테타]]'로 적힌 것일 가능성도 상당하다. 당시 [[심의조]] 합천군수가 일해공원으로 이름을 바꾸었을 때 합천군 사람들 중 사실 소수의 인물들을[* 전사모나 [[http://image.ohmynews.com/down/images/1/cjnews_345152_1[583769].jpg|율곡면 사람들]] 등.] 제외한 상당수 시민단체는 개명 반대 입장을 밝혔다. [[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0392077|합천군내 시민단체의 반대]], 전두환의 연희동 자택에 찾아간 사람들, [[http://jabo.co.kr/sub_read.html?uid=18894§ion=sectio|한나라당 당사에서 시위한 사람들]] 등 상당히 다양했다. 특히 젊은 층에서 반발이 컸다. ~~사실 젊은 층 자체가 별로 없는 깡촌이긴 하지만.~~ 그들은 일해공원보다 정치색 없는 '생명의 숲'이라는 명칭을 더 선호했다. 당시 원경고 학생회장이 합천군수에게 성토하는 글을 보내 화제가 되기도 했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197473.html|기사 보기]]. 당시 2000년도 기념으로 만들어진 새천년 생명의 숲의 개명을 위해 4가지 정도의 이름이 거론되었으나 [[답정너|그 중 1번이었던 일해 공원에는 말도 안되는 장점을 수십개 갖다 붙이고 나머지는 그냥 이런게 있다 수준으로 보여줌으로써 고의적으로 일해공원이 되도록 조장한 셈]]이다. 심지어 당시 공간정보관리법과 국토부의 지적까지 무시하고 졸속으로 강행했다는 사실도 [[https://www.youtube.com/watch?v=-gft8uBypPs|보도]]되었다. 이를 싸잡아 일부에서는 합천군을 '''일해군(日海郡)'''이라고 비하하여 부르기도 하였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7회 지선]]에서는 심의조 전 군수가 지지한([[http://www.gn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170218|#]]) 자유한국당 [[문준희(정치인)|문준희]] 후보가 합천군수에 당선되었다. 아니나 다를까, 2021년 [[전두환]]이 사망했을 때 서울의 주요 인사들은 조문도 안하는 와중에 여기에 무단으로 설치된 분향소를 찾아 조문하여 논란이 되었다. [[https://youtu.be/QBy8XBLn3ZI|뉴스 영상]]. 이후 정치자금법 위반 유죄 확정으로 2022년 3월 17일에 군수직을 상실했다. == 여담 == || [[파일:external/photo-media.hanmail.net/20070812160806.710.2.jpg|width=100%]] || [[파일:external/ojsfile.ohmynews.com/IE000821588_STD.jpg|width=100%]] || 일해공원이라는 명칭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수시로 레이드를 하는 것이 공원안내 푯말의 공원 이름. 한창 레이드가 심할 때는 전사모에서 이름 못 떼도록 릴레이로 불침번(...)을 서기도 했다. 사실 이 피곤한 짓을 서로 하게 조장한 심의조 전 합천군수가 이 사태의 주범이다. ||[[파일:external/www.siminsori.com/57783_14561_5014.jpg]]|| 이 공원에 [[3.1 운동|3.1 독립운동]] 기념탑이 서있다. 정확하게는 원래부터 존재하던 탑이다. --그 와중에 I S2 전두환.-- 2020년 2월, 확진자가 다녀가진 않았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임시 폐쇄 상태가 되었다. 이후 임시 폐쇄가 풀려 사람들이 평소처럼 이용하고 있다. 2007년 이후 14년째 이어온 이름 논란에 합천군내에서도 명칭 변경 찬성 비율이 더 높다는 여론조사까지 발표되자 결국 2021년 합천군에서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277&aid=0004949384|자체 의뢰 군민 여론조사]]를 통해 결정하기로 했지만, 조사 결과 찬반 비율이 엇비슷한 것으로 나와 이름 변경 문제는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상태이다.[[http://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2404|#]] [[분류:경상남도의 공원]][[분류:전두환]][[분류:합천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