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장착 마법]] [[유희왕]]의 장착 마법 카드. [[파일:使い捨て学習装置.jpg]] || 한글판 명칭 ||'''일회용 러닝머신'''|| || 일어판 명칭 ||'''[ruby(使, ruby=つか)]い[ruby(捨, ruby=す)]て[ruby(学習装置, ruby=ラーニングマシン)]'''|| || 영어판 명칭 ||'''Disposable Learner Device'''|| ||<-2> 장착 마법 || ||<-2>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br]①: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자신 묘지의 몬스터의 수 × 200 올린다.[br]②: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진 턴의 엔드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이 효과로 세트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묘지의 몬스터 수에 비례해 공격력을 강화하는 장착 마법. 공격력 상승 수치는 유사 효과인 [[단결의 힘]]이나 [[마도사의 힘]]보단 떨어지지만, 후반부엔 2000 이상의 공격력을 확보할 수 있고, 필드에 영향을 안 받으며 ②의 효과로 스스로를 재생해 세팅하는 것으로 차별화할 수 있다.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지기만 하면 되므로, 장착 몬스터가 어떻게 필드를 벗어나든 바로 재생이 가능하지만, 이 카드 자체가 제외되거나 패 / 덱으로 되돌아가면 재생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데몬의 도끼]]를 넘으려면 묘지에 몬스터가 6장 이상 있어야 하니, 묘지 자원의 마련이 쉬운 덱에서 쓸 것이다. [[라이트로드]] 덱이나 [[추리게이트]] 덱 외에도 리크루터 이용을 통해 묘지에 몬스터를 쌓아놓기 쉽다. 다만 묘지를 늘리는 과정에서 이 카드도 묘지로 보내질 수도 있으니 그 경우의 대책도 생각해야 한다. [[기어 브리드]]나 [[암즈 홀]]로 샐비지하는 게 가장 빠른 방법이며, [[기고당당]]으로 직접 장착하는 방법도 있다. 특히 기고당당의 디메리트를 ②의 효과로 보조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진 턴의 엔드 페이즈에 묘지에서 세트되는 효과. 장착 몬스터가 제거될 때의 보험이 된다. 사용 후엔 제외되니 [[갓피닉스 기어프리드]]의 특수 소환 코스트로 쓰는 것도 좋다. 일러스트에서 이 카드를 장착하고 봉변을 당하는 건 [[고블린의 돌격 부대]]. 아이러니한 건 '일회용'인데도 묘지로 보내지면 재활용이 가능한 점. 일러스트를 보면 알겠지만 사실 일회용은 러닝머신이 아니라 고블린 쪽이었던 것이다. 장비의 형태 자체는 [[인조인간 -사이코 쇼커-]] 전용 장착 마법인 [[인조인간 -사이코 쇼커-|전뇌증폭기]]와 닮았다. 정작 이 카드 자체는 디메리트가 없다. 한국어로는 이해가 잘 안 갈 수도 있는데 일본어로 재활용을 이르는 '使い捨て'는 직역하자면 '(한 번)쓰고 버린다'. 러닝머신 하면 보통 [[트레드밀]]을 생각하지만 여기서의 러닝머신은 '''running이 아닌 learning''' machine 즉, 학습장치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이그니션 어썰트]] || IGAS-KR065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이그니션 어썰트|IGNITION ASSAULT]] || IGAS-JP065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이그니션 어썰트|Ignition Assault]] || IGAS-EN065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