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물리학자]][[분류:이학 교수]][[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51년 출생]] ||<-2> [[파일:임지순.jpg]] || || '''성명''' ||임지순(任志淳) || ||<|2> '''출생''' ||[[1951년]] || ||[[경상남도]] [[부산시]] (現 부산광역시) || || '''학력'''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2 (물리학 / 학사)}}}[* 現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자연과학대학]] 물리천문학부 물리학전공][br][[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캠퍼스|UC 버클리]] 대학원 {{{-2 (물리학 / 석사·박사)}}} || || '''현직''' ||[[포항공과대학교]] 석학교수 || || '''약력''' ||[[AT&T]] [[벨 연구소]] 연구원[br][[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천문학부 석좌교수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물리학자]], [[교수]]이다. == 생애 == 1951년 [[부산]]에서 출생, [[서울]]에서 성장했다. 1970학년도 [[대학입학 예비고사]]에서 전국 수석을 차지하고, [[경기고등학교]] 수석 졸업에 이어 [[서울대학교]]에 전체 수석으로 합격했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캠퍼스|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 포스트닥 과정을 마치고 벨연구소에서 연구원을 지냈다. 1986년부터 서울대 교수로 재직하여 2009년 석좌교수가 되었고, 정년을 1년 앞두고 [[포항공과대학교]]의 석학교수로 자리를 옮겼다.[* 서울대 정년은 65세이나, 포스텍 석학교수는 70세까지 근무할 수 있다.] 경기고 재학 시절에 3선 개헌 반대시위를 준비하다 정학을 당했고, 후일 [[경실련]] 창립 멤버일 정도로 사회운동에도 관심이 깊었다. 탄소반도체 특허에 대한 기술을 98년 LG반도체(현 [[하이닉스]])에 무상으로 양도한 것도 이 같은 사회의식에서 나온 것이다. 2000년대 이후의 인터뷰에서 보기 드문 균형감각과 소신이 엿보이기도 했는데, 광우병/천안함 괴담에 대해서는 조심스럽게 정부 입장에 동의하지만 동시에 정부도 소통이 부족했다는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5520082|#]] == 업적 == [[나노과학|나노]] 소재 기술(1mm의 10억분의 1수준에서 물체를 만드는 초미세술) 분야에서 한국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린 것으로 평가받는다. [[탄소나노튜브]]를 다발로 묶으면 반도체가 된다는 사실을 1996년 처음으로 밝혀내고 그 응용에 힘쓰고 있다. 또 1979년에 발표한 고체에너지 논문으로 계산재료물리학이라는 새로운 학문 분야를 개척한 공로로 한국 물리학자로는 최초로 2011년 미국과학학술원(NAS) 외국인 종신회원으로 추대됐다. == 여담 == * 당시 동기생들의 증언에 따르면 전국의 수재가 다 모이는 경기고에서도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1등이어서 대입시험을 치루기 전에도 서울 인문계고 위 아래 5개 학년까지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였다고 한다. * 당시 예비고사는 자격고사였고 서울대는 [[본고사]] 성적만으로 선발했는데, 550점 만점의 본고사에서 410점을 받아 법과대학 수석 360, 상과대학 수석 360점, 공과대학 수석 368점보다 무려 50점 가까이 높았다. 여담으로 당시 법과대학 수석이 [[양창수]]다. == 수상 == * 2023 [[삼성호암상]] * 2012 에쓰-오일 과학문화재단 선도과학자 펠로십 * 2009 제5회 아시아전산재료과학총회 총회상 * 2007 미국 물리학회 석학회원 * 2007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 2007 포스코 청암상 과학상 * 2004 제18회 인촌상 자연과학부문 * 1999 제5회 운경상 산업기술부문 * 1996 한국과학상 == 가족 == 부인 박종경과의 사이에 1남 1녀를 두고 있다. 전 [[법무부장관]] [[김종구(법조인)|김종구]]가 그의 손윗동서이다. [[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평택 임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