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black,#white 林卓}}}}}}''' [목차] [clearfix] == 개요 == '''임탁''' 또는 __감무공(監務公) 휘 탁__은 [[고려]] 말의 [[인물]]이다. 본관은 [[나주 임씨|나주]]로, [[임비]](林庇)의 9세손이고, 나주 임씨 대종가의 터를 잡은 [[중시조|중조]]이다. == 생애 == [[고려]] 말에 해남감무(海南監務)를 역임했다. 고려가 멸망하고 [[이성계]]가 [[조선]]을 개국하자 관직을 그만둬버리고 ‘충신 불사이군’(忠臣 不事二君)의 절의, 즉,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忠節)을 굳게 지키기를 맹세하고, 동지들과 함께 [[송도]] 인근 [[해남]](海南)의 나지막한 산에 올라 소나무에 관복을 벗어 걸고 북방사배(北方四拜) 후 부조현을 넘어 두문동으로 들어갔다. 이후 [[태조(조선)|태조]]가 여러 번 불렀으나 응하지 않고 오늘날의 [[금성]] 회진(會津)으로 낙향하여 은둔, 끝까지 벼슬을 사양하고 회진에 터를 잡았다. 이후에 관향 본관을 회진으로 하였으나, 그 후에 회진현이 [[나주]]에 귀속됨에 따라 본관을 나주로 바꾸어 고쳤다. == 일화 == 감무공은 한 [[스님]]에게 집터를 잡아달라고 부탁했다. 그 때 이 스님은 “재물이 모이는 터를 원하는가, 자손이 번창하는 터를 원하는가”를 물었고, 감무공은 가난해도 자손이 번창하는 [[터]]를 잡아 달라고 해 [[현재]]의 종가터에 자리잡게 됐다는 [[일화]]가 전한다. == 묘소 == [[파일:도선묘 사적비 9세 감무공 관=금은공호=휘 탁 묘소.jpg|width=600]] [[파일:도선묘 9세 감무공(監務公) 휘(諱) 탁(卓) 묘소.jpg|width=600]] [[파일:도선묘 9세 감무공 휘(諱) 탁(卓) 묘소.jpg|width=600]] == 기타 == [[파일:나주임씨 본관지 회진 9세 감무공 휘 탁 입향 집성촌(마을 중앙).jpg|width=100%]] [[파일:9세 감무공 휘 탁 제각(영수제).jpg|width=100%]] [[파일:옥산서원(9세 감무공 휘 탁 18세 의사 휘 억을 모신 서원).jpg|width=100%]] == 참조 == * [[http://www.ggb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720|금강신문]] [[분류:고려의 인물]][[분류:나주 임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