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카게로우 프로젝트/시리즈)]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3ff00 50%, #ff89c9 50%)" '''{{{#373a3c {{{+2 忘れてしまった{{{#fff 夏の終わりに}}}}}}}}}'''[br]{{{#373a3c (Fireworks In Th{{{#fff e Summer End)}}}[br](잊어버리고 만 {{{#fff 여름의 끝에)}}}}}}}}} || || '''가수''' || [[하츠네 미쿠]] || || '''작곡가''' ||<|3>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진(프로듀서)|[[파일:진로고B.png|width=80]][br]{{{#373a3c 진(자연의 적P)}}}]]}}} || || '''작사가''' || || '''조교자''' || || '''영상''' ||<|3> 미존재[*A [[메카쿠시티 리로드(음반)|메카쿠시티 리로드]] 앨범 수록곡] || || '''페이지''' || || '''투고일''' || || '''주인공'''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ff07; font-size: 1em" [[코코노세 하루카|{{{#373a3c 코코노세 하루카}}}]]}}}}}}{{{#!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89c9; font-size: 1em" [[코자쿠라 마리|{{{#FFFFFF 코자쿠라 마리}}}]]}}}''' || || '''앨범 발매일''' || 2018년 11월 7일 || ||<-5> {{{#fff '''[[카게로우 프로젝트|{{{#fff 카게프로}}}]]의 수록곡'''}}} || ||<-5> '''미투고''' || || [[로스트 데이 아워]] || → || [[잊어버리고 만 여름의 끝에]] || → || [[굿바이 서머 워즈]] || ||<-5> '''번외편''' || || [[로스트 데이 아워]] || → || [[잊어버리고 만 여름의 끝에]] || → || [[굿바이 서머 워즈]] || [목차] [clearfix] == 상세 == >''「모두와 함께, 내일로 가고 싶어」'' >'''「눈에 비친 이야기」''' [[카게로우 프로젝트]]의 수록곡이자, [[진(프로듀서)|진]]이 작곡한 [[VOCALOID 오리지널 곡]]이다. 2018년 10월 18일 진의 유튜브 edword records에 업로드된 [[메카쿠시티 리로드(음반)|메카쿠시티 리로드]] [[https://www.youtube.com/watch?v=ukq_Wosf_3M|앨범 티저 영상]]에서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2018년 11월 7일에 발매된 [[메카쿠시티 리로드(음반)|메카쿠시티 리로드]]에 8번 트랙으로 수록되어 있다. 참고로 영어명과 일본명이 다른데, 일본명은 잊어버리고 만 여름의 끝이지만 영어명은 '''여름의 끝의 불꽃놀이'''이다. 사실 카게프로의 곡 중 애니메이션 OST 정도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화자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크로스페이드에 비친 상징색으로 미루어 추측해서 하루카가 화자라고 보는 쪽과, 소설의 내용으로 미루어 추측해서 마리가 화자라고 보는 쪽으로 나뉜다. 마지막에 피아노 소리가 어색하게 끊기는데, 사실 [[굿바이 서머 워즈]]와 한 세트로 연결해서 들어야 곡이 완성된다. === [[메카쿠시티 리로드(음반)|메카쿠시티 리로드]]에서의 설명 === ||
'''「찰나의 계절에 피는 꽃이, 너의 눈동자에 비치고 있었어」''' 「나」를 바꿔 주었던 사람이 있습니다. 「나」를 살게 해 주었던 사람이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 앞에선, 어떤 말을 해도 부족합니다. 「고마워」를 반복해봐도, 분명 이 마음은 다 전할 수 없겠죠. 이제, 만날 수 없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제, 돌아갈 수 없는 나날이 있습니다. 뒤를 돌아보며 걸을 수 없는 우리들은, 앞을 향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니까, 분명 「미래」를 꿈꾸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언젠가, 또」 라고 바라며, 계속 걷는 당신에게. 길었던 여름의 마지막에, 이 곡을 바칩니다. || == 영상 == [youtube(7qpDsCEXk2Y)] == 미디어 믹스 == === 앨범 수록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메카쿠시티리로드_통상.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번역명'''}}} || [[MEKAKUCITYRELOAD|메카쿠시티 리로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원제'''}}} || [[MEKAKUCITYRELOAD]]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트랙'''}}} || 08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발매일'''}}} || 2018년 11월 7일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링크'''}}} || - || == 가사 == ||
[[http://m.dcinside.}}}com/board/kagerou/2468|출처]] || || || || {{{#ffffff 俯くのを止めて 君の目を見つめて}}} || || 우츠무쿠노오 야메테 키미노 메오 미츠메테 || || 고개를 숙이는 걸 멈추고 너의 눈을 바라보고 || || {{{#373a3c 「ごめんね」と 「ありがとう」を}}} || || 「고멘네」토「아리가토우」오 || || 「미안해」와「고마워」를 || || {{{#ffffff 繰り返した}}} || || 쿠리카에시타 || || 반복했어 || || {{{#373a3c 遠回りの先 これが最後の話}}} || || 토오마와리노 사키 코레가 사이고노 하나시 || || 멀리 돌아가는 길의 앞, 이게 마지막 이야기 || || {{{#ffffff 閉ざす様に 綴じる様に}}} || || 토자스요우니 토지루요우니 || || 잠그듯이, 꿰매듯이 || || {{{#373a3c さよならをした}}} || || 사요나라오 시타 || || 작별 인사를 했어 || || {{{#ffffff 月の下 思い出すのは}}} || || 츠키노 시타 오모이다스노와 || || 달 아래에서 떠올린 건 || || {{{#373a3c 楽しいこと ばかりだから}}} || || 타노시이 코토 바카리다카라 || || 즐거운 것들뿐이니까 || || {{{#ffffff せめて、悲しまないで}}} || || 세메테, 카나시마나이데 || || 적어도, 슬퍼하지 말아줘 || || {{{#373a3c お別れまで、手を繋いで}}} || || 오와카레마데, 테오 츠나이데 || || 헤어질 때까지, 손을 마주 잡고 || || {{{#ffffff 息を止めて 見上げたのは}}} || || 이키오 토메테 미아게타노와 || || 숨을 참고 바라본 것은 || || {{{#373a3c 灯る花の 綺麗な色}}} || || 토모루 하나노 키레이나 이로 || || 아름답게 물든 꽃의 색 || || {{{#ffffff 刹那の日々を 過ごした記憶が}}} || || 세츠나노 히비오 스고시타 키오쿠가 || || 순간의 나날들을 보냈던 기억이 || || {{{#373a3c 握った手を伝う}}} || || 니깃타 테오 츠타우 || || 잡았던 손을 보내 || || {{{#ffffff 星の海を 飾り立てた}}} || || 호시노 우미오 카자리타테타 || || 별의 바다를 화려하게 장식한 || || {{{#373a3c 夏の花を 望ていたことを}}} || || 나츠노 하나오 미테이타코토[* 특이하게도 望를 のぞむ가 아니라 み라고 읽는다.] || || 여름의 꽃을 바라보고 있었던 것 || || {{{#ffffff 今日のことを}}} || || 쿄우노 코토오 || || 오늘에 관한 걸 || || {{{#373a3c また、話せたら嬉しい}}} || || 마타, 하나세타라 우레시이 || || 다시, 이야기할 수 있다면 좋겠어 || == 기타 == [include(틀:스포일러)] 역대 카게로우 프로젝트의 곡들 중 유일하게 인명, 영단어 그 무엇도 들어가 있지 않은 곡명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곡명에서부터 서정적인 느낌이 묻어 나오는 편.[* 한국어로 번역했을 때는 전부 고유어로 쓰여지기 때문에 더더욱 그러한 느낌을 준다.] [[서머타임 레코드]]와 비슷하게 과거를 회고하는 느낌이 들고 크로스페이드 영상에서 하늘색이 비쳤으니 [[코코노세 하루카|이 사람]]의 곡일 확률이 있다. 혹은 [[코자쿠라 마리|마리]]의 곡일 확률도 있다. 가사나 멜로디가 마리의 느낌을 물씬 풍기기 때문.{{{#!folding [그런데 이 곡에는 소설의 줄거리와 엮인 스포일러가 들어 있다.] 마지막 가사를 보면 "여름의 꽃"이란 단어가 나오는데, 소설 마지막권에서 마리가 세계를 루프시키기 전 세토와 '''여름 축제의 불꽃놀이'''를 보며 '''커다란 꽃'''이라는 단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마리가 화자일 가능성도 적지 않다.}}} [[분류:VOCALOID 오리지널 곡/2018년]][[분류:카게로우 프로젝트/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