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식물족]]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잎의 요정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リーフ・フェアリー, 영어판명칭=Woodland Sprite, 속성=땅, 종족=식물족, 레벨=3, 공격력=2100, 수비력=2100, 효과1=공격: 악마족과의 배틀에서 2500 포인트 보너스!)] 본작의 오리지널 카드로 처음 등장. 레벨 3에 2000을 넘기는 능력치가 특징으로, 악마족 몬스터와 전투에 들어가면 추가로 2500씩이나 파워업 한다. 이러다 보니 [[사이퍼 스카우터]], [[아머드 플라이]]와 더불어 정식 입수는 불가능하고 [[데스티니 드로우]] 전용 카드로 설정되어 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WoodlandSprite-BE2-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잎의 요정, 일어판명칭=リーフ・フェアリー, 영어판명칭=Woodland Sprite, 속성=땅, 종족=식물족, 레벨=3, 공격력=900, 수비력=400, 효과1=이 카드에 장착된 장착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한다. 상대 라이프에 500 포인트 데미지를 준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듀얼링크스=제한됨 1)] >'''"와줘, 잎의 요정!"''' > ---- >[[루카(유희왕)|루카]],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자신에게 장착된 장착 카드를 1장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효과 데미지를 주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기동 효과|기동 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능력치, 효과 모두 진DM2와 딴판이 되었다. [[사출]] 대상을 장착 카드로 바꾼 [[캐논 솔저]]라 할 수 있는 효과로, 데미지 수치도 동일하지만 장착 카드는 몬스터보다 늘리기 힘들어 효과의 활용도가 크게 밀린다. TCG판 이름이 [[우드랜드의 아처]]를 연상시키지만, 효과는 별로 접점이 없으며 좋은 효과라고 보기도 어렵다. 다만, 효과 발동에 턴 제한이 없다는 점을 이용해 [[왕립 마법도서관]] 3장을 놓고, [[집념의 검]]이나 [[유니콘의 뿔]] 등을 발동시켜 무한 루프를 만드는 실용성 없는 힘든 무한 루프가 존재한다. 금지 카드인 [[나비의 단검-엘마]]의 경우엔 '''파괴'''될 경우에 패로 돌아가는 효과이기 때문에 무한루프 조합을 상정해 보기도 어렵다. [[DNA 개조 수술]] 등으로 종족을 바꾸어 [[신검-피닉스 블레이드]]와의 콤보를 이용하면 이론상 연속으로 번 데미지를 줄 수 있겠지만, 필요한 카드가 너무 많아 번거로운데다가 소모되는 카드에 비해 데미지도 너무나 적다. 장착 카드는 '묘지로 보내는' 취급이므로 파괴가 아니라서, [[성급한 매장]]을 코스트로 하면 완전 부활이 가능하며, [[나비의 단검-엘마]] 등의 효과는 발동하지 않는다. 등장 초기에는 [[암흑 마족 길퍼 데몬]]과의 무한 루프 콤보로 [[원턴킬]]이 가능하다는 루머가 떠돈적이 있었다. 이 소동으로 인해 타이밍을 놓친다는 룰 개념이 세간에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선 [[죽도(유희왕)|죽도]]의 업데이트와 함께 사기카드로 부상했다. 라이프가 겨우 4000이고, 스피드 듀얼룰 상 덱에 20장만 넣어도 된다는 점, 스킬로 인한 잎의 요정을 서치하기 쉽다는 것 때문에 단숨에 1티어덱의 핵심을 장식했다. 이후 바로 제한을 먹었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1-11-2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MA-12 | '''[[소생 혼|Mythological Age - 蘇りし魂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04-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L5-058 | DUELIST LEGACY Volume 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12-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2-JP172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08-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02-JP138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2 [ 2011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06-0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OD-061 | '''[[어둠의 유산|LEGACY OF DARKNES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7-2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B2-EN172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10-1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LOD-KR061 | '''[[어둠의 유산]]'''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9-2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BP2-KR172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기타 === [[금색의 갓슈]] 연재 당시 마물 디자인 콘테스트에 이 몬스터의 디자인을 그대로 베껴 그린 것이 투고된 적이 있다. [[http://animemories.net/wp-content/uploads/2014/07/img1406197563.jpeg|증거자료]] 후에 작가인 [[라이쿠 마코토]]가 이런 사례에 관해 독자들에게 주의를 요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