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정치지리]] [목차] {{{+3 自然国境 / Natural Border }}} == 개요 == [[국경]]은 [[자연]]적으로 정해져 있다는 뜻이다. 아래에서 보듯 슬로건의 성향이 짙어 '자연국경설', '자연국경론'이라고도 한다. [[섬나라]]에서는 거의 자명한 사실이다. [[국경]]으로 나뉜 섬도 있으나 대다수 섬나라는 특정 [[섬]]을 [[영토]]로 지니며 국경은 해안선으로 정해져있다. 당연한 소리지만 [[바다]]에는 사람이 살 수 없기 때문이다.[* 즉, 미래에 [[수상도시]]가 보편화된다면 섬나라의 이런 특성도 변화할 가능성은 있다.] 한편 [[대륙]]국가에서는 그렇지 않다. 거대한 [[강]]이나 [[산맥]]을 통해 국경선이 정해지는 것이 보통이기는 하나, 대륙국가의 국경선은 역사적 상황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며 정해진 국경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때문에 오늘날 국제 체제에서는 [[현상 유지의 원칙]]이라고 해서 자연국경 등 "차지해야 마땅한 국경" 같은 것은 없고 지금 현 상태를 유지하자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삼고 있다.] 때문에 대륙국가에서 자연국경이란 '여기까지는 우리 [[국가]]의 고유한 [[영토]]이다!' 라는 슬로건으로 기능하게 된다. [[독일]]에서도 [[독일 통일]]이 이루어지던 시절 독일계 민족이 사는 곳을 모두 모아 한 나라로 만들어야 한다는 [[범게르만주의]]의 열망이 있었다. [[Deutschlandlied]]에서 Von der Maas bis an die Memel, Von der Etsch bis an den Belt.(마스에서 메멜까지, 에치에서 벨트까지)라는 가사가 유명하다. == 프랑스에서 == 역사적으로 자연국경설을 주장한 것으로 유명한 예는 [[프랑스]]이다. [[라인강]], [[대서양]], [[지중해]], [[피레네 산맥]], [[알프스 산맥]]으로 이루어진 영역을 프랑스의 영역으로 삼아야 한다는 이론이다. 프랑스어로는 Frontières naturelle이라고 한다. 이 중 대서양/지중해 같은 바다야 별 논란이 없고 [[피레네 산맥]] 너머 [[스페인]], [[알프스 산맥]] 너머 [[이탈리아]]와는 일찍이 중세 말에 경계가 잘 정리가 되었지만[* 알프스 산맥 이서의 [[신성 로마 제국]] 구성국이었던 [[부르군트 왕국]]은 16세기에 프랑스 왕국에 속하게 되었다. [[니스]] 일대는 프랑스의 공격을 지속적으로 받았고 1860년 최종적으로 프랑스의 영토가 되었다.] [[라인강]]을 맞댄 [[알자스-로렌]] 지역은 독일계 주민이 살고 있었기 때문에 18 - 19세기에 [[프로이센 왕국]]과 지속적인 마찰 대상이 되었다. 흔히 [[루이 14세]]가 고대 [[갈리아]]의 영토와 같은 자연국경을 프랑스의 국경으로 삼고자 공격적인 팽창을 했다는 말이 계속 나오는데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rome&no=470748|#]] 이 이론은 "19세기에" 알베르 소렐이 주장한 이론이고, 이 주장은 이후 연구자들에 의해 잘못된 것으로 밝혀졌다. 소렐의 연구 이후 학자들은 루이 14세의 국경 정책이 국경을 따라 방어하며 오갈 수 있는 지역을 확보하는 것에 가깝다고 판단했다. 즉 루이 14세 시절의 '자연국경'이라는 용어는 필립스부르크와 [[스트라스부르]]가 있는 라인 강이나 포 강의 카살레처럼 강 건너편에 대한 영토를 확보하고자 하는 욕구를 암시하는 것으로 봐야 하며 오히려 라인 강을 통째로 프랑스 국경으로 삼자는 자연국경설은 부르봉 왕조를 무너트린 [[프랑스 제1공화국|프랑스 혁명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주장했다. 존 린(John Lynn)은 루이 14세가 주도한 다섯 번의 전쟁을 비롯한 프랑스의 대외정책 전반이 당시 국제정치체제의 틀 내에서 이루어졌음을 강조한다. 즉 '갈리아 국경 복원'이라는 원대한 목표는 루이 14세에게 존재하지 않았다.[*참조 Cathal Nolan, Wars of the age of Louis xiv 1650-1715(2008), John Lynn, The wars of louis xiv,1667-1714(1999)]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루이 14세, version=866, paragraph=2.3)] == 실제 자연국경 목록 == === 수상 경계 === * 하천 국경(River boundary): [[강]], 하천을 따라 획정된 국경. *\ [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국경([[백두산]] 일대를 제외한 [[압록강]], [[두만강]]) *\ [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국경(두만강)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국경([[아무르강|흑룡강]])[* 참고로 중국 - 러시아 국경은 [[상임이사국]]끼리 맞대고 있는 국경 중 '''도보로 넘을 수 있는''' 세계 유일의 육상 국경이다. 상임이사국끼리의 국경 중 영국 - 프랑스도 [[채널 터널|사실상의 육상 국경]]이 있긴 한데 도버 해협을 지나가는 [[채널 터널|해저터널]]이 [[유로스타|철도]]/자동차 전용 터널이라 도보로는 못 간다.] *\ [include(틀:국기, 국명=태국)] - [include(틀:국기, 국명=라오스)] 국경([[메콩 강]]) *\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 [include(틀:국기, 국명=폴란드)] 국경[[오데르-나이세 선|(오데르 강, 나이세 강)]] *\ [include(틀:국기, 국명=체코)] - [include(틀:국기, 국명=폴란드)] 국경(올자 강) *\ [include(틀:국기, 국명=그리스)] - [include(틀:국기, 국명=튀르키예)] 국경, 그리스-[[불가리아]] 동쪽 국경([[마리차 강|마리차 강/에브로스 강]])[* 지도에 잘 표기되어 있지 않아서 그렇지 그리스와 터키의 국경은 하천 국경이다.[[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en/7/7c/Maritsa.png|#]] 다만 [[에디르네]] 부근에서는 에브로스 강에서 좀 비껴나가 그리스 쪽으로 국경이 그어져 있다. 이 강 이름은 그리스어로는 에브로스, 터키어로는 메리치, 불가리아어로는 마리짜로 각각 다르다.] *\ [include(틀:국기, 국명=잠비아)] - [include(틀:국기, 국명=짐바브웨)] 국경([[잠베지 강]]) *\ [include(틀:국기, 국명=세네갈)] - [include(틀:국기, 국명=모리타니)] 국경(세네갈 강) *\ [include(틀:국기, 국명=남아프리카 공화국)] - [include(틀:국기, 국명=나미비아)] 국경([[오렌지 강]]) *\ [include(틀:국기, 국명=루마니아)] - [include(틀:국기, 국명=불가리아)] 국경([[도나우 강]]) *\ [include(틀:국기, 국명=멕시코)]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동부 국경([[리오그란데 강]]) *\ [include(틀:국기, 국명=멕시코)] - [include(틀:국기, 국명=과테말라)] 국경(수치아테 강) *\ [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 [include(틀:국기, 국명=아르헨티나)] - [include(틀:국기, 국명=우루과이)] 국경(우루과이 강) *\ [include(틀:국기, 국명=니카라과)] - [include(틀:국기, 국명=코스타리카)] 국경(산후안 강) *\ [include(틀:국기, 국명=우즈베키스탄)] - [include(틀:국기, 국명=아프가니스탄)] - [include(틀:국기, 국명=타지키스탄)] 국경([[아무다리야 강]]) *\ [include(틀:국기, 국명=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include(틀:국기, 국명=세르비아)] 국경(드리나 강) *\ [include(틀:국기, 국명=크로아티아)] - [include(틀:국기, 국명=헝가리)] 국경([[드라바 강]]) *\ [include(틀:국기, 국명=베네수엘라)] - [include(틀:국기, 국명=콜롬비아)] 국경(오리노코강, 메타강) *\ [include(틀:국기, 국명=콜롬비아)] - [include(틀:국기, 국명=페루)] 국경(푸투마요 강) *\ [include(틀:국기, 국명=페루)] - [include(틀:국기, 국명=에콰도르)] 국경(자루밀라 강) *\ [include(틀:국기, 국명=요르단)] - [include(틀:국기, 국명=팔레스타인)] - [include(틀:국기, 국명=이스라엘)] 국경([[요르단 강]]) *\ [include(틀:국기, 국명=시리아)] - [include(틀:국기, 국명=요르단)] 국경(야르무크 강)[* 시리아 남부 일부 지역에만 한정되어 있다.] *\ [include(틀:국기, 국명=이라크)] - [include(틀:국기, 국명=이란)] 국경(샤트 알 아랍 강) 등. *\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네시아)] - [include(틀:국기, 국명=파푸아뉴기니)] 국경[* 대표적인 수리적 국경이지만, 동경 141도 선을 따라 그어진 국경 중간부분에 툭 튀어나온 부분이 있는데, 플리 강의 일부를 따라 획정된 것이다.] ---- * 호수 국경(Lake boundary): [[호수]]를 경계로 하여 형성된 국경. *\ [include(틀:국기, 국명=콩고민주공화국)] - [include(틀:국기, 국명=탄자니아)] 국경(탕가니카 호) *\ [include(틀:국기, 국명=탄자니아)] - [include(틀:국기, 국명=우간다)] - [include(틀:국기, 국명=케냐)] 국경(빅토리아 호) *\ [include(틀:국기, 국명=말라위)] - [include(틀:국기, 국명=모잠비크)] 국경(말라위 호)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include(틀:국기, 국명=아제르바이잔)] - [include(틀:국기, 국명=카자흐스탄)] - [include(틀:국기, 국명=투르크메니스탄)] - [include(틀:국기, 국명=이란)] 국경([[카스피해]][* 카스피해가 호수치고는 워낙에 넓고 여러 나라가 맞대고 있기 때문에 [[영해]] 설정 관련해서 바다로 볼지 호수로 볼지에 대한 논란은 있다. 바다로 보느냐 호수로 보느냐에 따라서 카스피해와 맞닿아있는 여러 국가들이 얻을 수 있는 석유 매장지 등의 영역이 많이 차이나기 때문.])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국경([[오대호]]) *\ [include(틀:국기, 국명=페루)] - [include(틀:국기, 국명=볼리비아)] 국경(티티카카 호)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include(틀:국기, 국명=에스토니아)] 국경(추트스코예호) *\ [include(틀:국기, 국명=알바니아)] - [include(틀:국기, 국명=몬테네그로)] 국경(스쿠타리 호) *\ [include(틀:국기, 국명=북마케도니아)] - [include(틀:국기, 국명=알바니아)] 국경(오흐리드 호) *\ [include(틀:국기, 국명=알바니아)] - [include(틀:국기, 국명=북마케도니아)] - [include(틀:국기, 국명=그리스)] 국경(프레스파 호) *\ [include(틀:국기, 국명=이스라엘)] - [include(틀:국기, 국명=시리아)] 국경(갈릴리 호)[* 갈릴리 호수를 경계로 국경을 맞대고 있지만 두 나라 국경 사이에 놓여 있는 이스라엘과 시리아간 영토분쟁지역인 [[골란고원]] 때문에 공식적인 호수 국경으로 보기에는 애매한 감이 있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 참조] *\ [include(틀:국기, 국명=이스라엘)] - [include(틀:국기, 국명=팔레스타인)] - [include(틀:국기, 국명=요르단)] 국경([[사해]]) *\ [include(틀:국기, 국명=카자흐스탄)] - [include(틀:국기, 국명=우즈베키스탄)] 국경([[아랄해]])[* 원래 호수 국경인데 그 호수가 점점 없어지고 있다... [[아랄해]] 문서 참조.] 등. === 육상 경계 === * 산지 국경(Mountain boundary): [[산맥]], 산지를 따라 획정된 국경. *\ [include(틀:국기, 국명=아르헨티나)] - [include(틀:국기, 국명=칠레)] 국경([[안데스 산맥]])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 [include(틀:국기, 국명=네팔)], [include(틀:국기, 국명=부탄)] 국경([[히말라야 산맥]]) *\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국경(피레네 산맥) *\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include(틀:국기, 국명=스위스)] - [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 국경([[알프스 산맥]]) *\ [include(틀:국기, 국명=노르웨이)] - [include(틀:국기, 국명=스웨덴)] 국경(스칸디나비아 산맥)[* 쵤렌 산맥이라고도 한다.] *\ [include(틀:국기, 국명=베트남)] - [include(틀:국기, 국명=라오스)] 국경(안남 산맥)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include(틀:국기, 국명=조지아)], [include(틀:국기, 국명=아제르바이잔)] 국경([[캅카스]] 산맥) *\ [include(틀:국기, 국명=그리스)] - [include(틀:국기, 국명=불가리아)] 국경(로도피 산맥) *\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네시아)] - [include(틀:국기, 국명=말레이시아)] 국경([[보르네오]]섬 카푸아스 산맥,이란 산맥) *\ [include(틀:국기, 국명=폴란드)] - [include(틀:국기, 국명=슬로바키아)] 국경(카르파티아 산맥) *\ [include(틀:국기, 국명=세르비아)] - [include(틀:국기, 국명=불가리아)] 국경(발칸 산맥) *\ [include(틀:국기, 국명=시리아)] - [include(틀:국기, 국명=레바논)] 국경(안티 레바논 산맥)등. ---- * 삼림 국경(Forest boundary): 삼림을 경계로 하여 형성된 국경.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include(틀:국기, 국명=핀란드)] 국경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국경[* [[브리티시컬럼비아주|브리티시 컬럼비아]] - [[아이다호주|아이다호]] 국경, [[로키산맥]] 지역] *\ [include(틀:국기, 국명=페루)] - [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국경 *\ [include(틀:국기, 국명=에콰도르)] - [include(틀:국기, 국명=페루)] 국경 ---- * 습지 국경(Marsh boundary): 습지를 경계로 하여 형성된 국경. *\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 [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국경 *\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 [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국경 *\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 - [include(틀:국기, 국명=방글라데시)] 국경 *\ [include(틀:국기, 국명=콜롬비아)] - [include(틀:국기, 국명=파나마)] 국경[* [[다리엔 갭]] 문서 참조] *\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 [include(틀:국기, 국명=벨라루스)] 국경 ---- * 사막 국경(Desert boundary): 사막을 경계로 하여 형성된 국경. *\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 - [include(틀:국기, 국명=파키스탄)](타르 사막)[* 단 [[카슈미르]] 지방 일대는 산지 국경이다.] *\ [include(틀:국기, 국명=사우디아라비아)] - [include(틀:국기, 국명=아랍에미리트)], [[오만]], [[예멘]] 국경(룹알할리 사막) *\ [include(틀:국기, 국명=시리아)] - [include(틀:국기, 국명=이라크)] 국경([[시리아 사막]]) *\ [include(틀:국기, 국명=몽골)]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국경([[고비 사막]]) *\ [include(틀:국기, 국명=이집트)] - [include(틀:국기, 국명=리비아)] - [include(틀:국기, 국명=알제리)] 국경([[사하라 사막]]) *\ [include(틀:국기, 국명=이라크)] - [include(틀:국기, 국명=쿠웨이트)] 국경 등.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국경, version=682, paragraph=3.2.1)] == 외부 링크 == * [[한국어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C%97%B0%EA%B5%AD%EA%B2%BD%EB%A1%A0|자연국경론]] 문서 * [[영어 위키백과]] [[https://en.wikipedia.org/wiki/Natural_border|자연 국경(Natural border)]] 문서 *\ [[영어 위키백과]] [[https://en.wikipedia.org/wiki/Natural_borders_of_France|프랑스의 자연국경(Natural borders of France)]]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