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에티오피아 황제]][[분류:아프리카의 여제]][[분류:1876년 출생]][[분류:1930년 사망]] [include(틀:역대 에티오피아 제국 황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228B22 70%, #228B22 80%, #FCDD09 80%, #FCDD09 90%, #DA121A 90%, #DA121A);" '''{{{#fff,#fff 에티오피아 제국 솔로몬 왕조 제63대 여제}}}[br]{{{#fff,#fff {{{+1 자우디투}}}[br]ዘውዲቱ}}}'''}}}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759_7431_1844.jpg|width=100%]]}}} || ||<|2> '''출생''' ||[[1876년]] [[4월 29일]]|| ||에티오피아 제국 월로주 웨레히메누|| ||<|2> '''사망''' ||[[1930년]] [[4월 2일]] (향년 53세)|| ||에티오피아 제국 아디스아바바|| ||<|2> '''재위기간''' ||에티오피아 여제|| ||[[1916년]] [[9월 27일]] ~ [[1930년]] [[4월 2일]]|| [목차] [clearfix] == 개요 == [[에티오피아 제국]] 역사상 유일한 [[여제]]. == 생애 == [[메넬리크 2세]]의 딸로 태어났다. 부황 메넬리크 2세가 죽고 언니의 아들인 [[이야수 5세]]가 즉위하나 1916년에 6촌 동생 [[하일레 셀라시에|터퍼리]]가 [[이야수 5세]]를 폐위시키고, 자우디투를 여제로 옹립했다. 자우디투는 에티오피아 제국의 군주 칭호인 '[[느구서 너거스트]]'[* [[왕중왕]]]을 개정한 '왕중여왕(Nəgəstä Nägäst)'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터퍼리는 [[황태자]] 겸 [[섭정]]이 되어 제국의 실권을 장악했고, 여제는 그의 꼭두각시에 불과했다. 결국 1930년에 여제의 [[국서]](國壻)인 구그사 웰레(Gugsa Welle)가 터퍼리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키나 전투에서 패배하며 전사했고, 남편의 사망 소식을 들은 여제도 충격으로 급사했다. 여제가 죽자 예정대로 터퍼리가 그 다음 황제 [[하일레 셀라시에]]로 즉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