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학과)] [목차] == 개요 == '''자유전공'''([[自]][[由]][[專]][[攻]])은 [[대학교]]의 [[학부생]]들이 1학년 때에 자유롭게 수업을 듣고 여러 전공에 대해서 탐색을 한 후 2학년부터 전공을 정하는 제도를 말한다. 쉽게 생각하자면 [[학부제]]를 연관된 일부 학과가 아닌 대부분의 계열로 넓힌 것으로 보면 된다. 대학마다 자유전공학부, 자율전공학과 등의 여러 명칭으로 부른다. 그래서 영문표기도 다 제각각이다. 09학번이 첫 신입생인 학교가 많은데, 이는 [[법학전문대학원]]이 문을 열면서 해당 대학에서는 [[법과대학|법학부]]를 폐지하여야 했기 때문에[* 법학부의 학부과정은 완전히 폐지된 것이 아니라, 법학전문대학원이 있는 학교들에서만 없어진 것이다. 그 외의 대학들은 법대가 그대로 존속하고 있다. 그리고 로스쿨이 생긴 대학에서도 학부 법학사 과정이 아닌 일반대학원 법학석사, 법학박사 과정은 여전히 존치되어 있다.] 법학부에 속했던 정원을 채우기 위해 만들어진 경우이다. 물론 그 이전부터 있던 대학들도 있다. 법학전문대학원이 개설된 학교들은 대부분 메이저급 대학들이거나 [[거점국립대학교]]이고, 이런 학교에서 자유전공학부가 생겼기 때문에, 대부분의 자유전공학부가 강력해지는 상황이 되었다. 메이저 대학에서 어떤 학과든 갈 수 있다는 것이 큰 매력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국제대학]][* [[단과대학]] 단위이다.] 소속 학부(과)나 그 단과대학 전체가 자유전공의 성격을 띠고 있는 경우도 많이 존재한다. == 전공 선택 == 학교마다 제도가 다르지만 보통 1학년 2학기 말에 전공을 정하는데, 학점경쟁 없이 원하는 대로 정해주는 곳이 있는 반면(ex: [[경희대학교]], [[서울대학교]]) 정원을 정해두어 사람이 몰릴 경우 성적순으로 자르는 곳(ex: [[고려대학교]])도 있다. 전자의 경우 과가 쏠리는 경우 정원 미달이 되는 학과가 생겨서 문제이고 후자는 성적이 낮으면 원하는 과에 못 가니 문제이다. 특히 후자의 경우 경쟁이 치열하여 이를 "고등학교 4학년"이라고 비꼬기도 한다.[* 사실 자유전공뿐만 아니라 학부제인데 인기 전공이 확고하게 존재하는 경우라면 어디서든 이런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과거 [[서울대학교]] 사회과학계열 학과들이 대표적인 예시였다.] 여차해서 원하는 과에 못 가면 재수 내지는 재입학이라는 강수까지 두어야 한다. 그나마 [[전과(학교)|전과]]에 성공한다면 한 시름 덜 수 있다. == 이모저모 == * 인문계열 수능 응시자는 인문계열로 / 자연계열 수능 응시자는 자연계열로만 진입하도록 제한을 두는 대학도 있고, 이러한 제한이 없는 대학도 있다. [[서울대학교]]와 [[홍익대학교]]는 예체능 계열로의 전공진입도 가능하다. * [[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 [[수의대]], [[간호대]], 그 외 보건계열[* [[보건대학]] 참고 ([[물리치료학과]], [[작업치료학과]], [[임상병리학과]] 등)], [[사범대학]][* 자리가 남아 있으면 자유전공학부 학생도 사범대학으로 갈 수 있는 대학이 2020년 현재에도 있다.] 등은 졸업한 후 국가시험[* 교직 무시험검정(교육부)을 제외하고 모두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주관. 응시 자격은 해당 학과 졸업생이나 졸업예정자만 응시 가능] 등 특정 방법으로 '면허'가 주어지는 특수학과에 해당하기 때문에 형평성 문제가 생겨 전공진입이 불가능하다. 당연히 해당 학과로의 [[복수전공]], [[부전공]]은 불가능하며 보건계열 학과 학생의 일반 학과로의 전출제한을 걸어놓는 경우도 많다.[* 서울대 의대 4명 등. 아예 전과를 못하게 막는 경우도 있다.] * 다만, [[사범대학]]의 경우 [[고려대]], [[서울대]] 등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고려대]]는 사범대 > 비사범대는 가능하나 비사범대 > 사범대는 불가능하며, [[서울대]]는 전과 자체가 사범대 > 사범대, 비사범대 > 비사범대로만 가능하다.] 여석에 한한 전과를 받으며, 보건계열의 경우 정원이 남았을 때 전과가 가능한 대학이 있고 불가능한 대학이 있다. * 만약, 내가 들어간 대학이 정원이 남아도 [[의치한약수]]로의 전과가 불가능하다면 편입을 해야만 한다. 단, 편입 여석의 경우 해당 학과 자퇴생 TO로 나오기 때문에 지금 [[의치한약수]]의 인기를 생각하면 당연히 인원이 많을 수가 없다. * 전공을 선택한 이후에는 '자유전공/자율전공'소속에서 자신이 택한 전공의 학과로 바뀌는 경우(예: [[가천대학교]], [[경희대학교]], [[명지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등)가 있고, 전공을 선택한 이후에도 '자유전공학부/자율전공학부' 소속으로 남아있는 경우(예: [[고려대학교]][* [[고려대]]의 경우는 조금 애매하다. 학적상으로는 전공을 선택한 학부 소속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출석부 등에는 전공배정받은 학부 학생으로 뜨지만, 학생회는 자유전공학부 학생회에 속하게 된다.],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등)가 있다. * 과의 결속력은 어디는 강하기도 하고 어디는 부족하기도 하며 케바케이다. * 일부 학교에서는 졸업 시 '자유전공'이나 그 외 비슷한 이름으로 졸업장이 나온다. 예를 들면 '''XX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경영학과''' 나 혹은 '''XX대학교 자율전공학부 경제학과'''[* 전공 진입 후에도 자유전공학부/자율전공학부 소속으로 되었으면 대개 이렇다.]라는 식으로 나온다. 그래서 조금 텃세가 있는 학과에 소속되는 경우 내가 이 과에 소속되어 있는가 하는 정체성의 혼란이 오기도 한다. 1학년부터 알던 사이도 아니라 서먹하기도 하고. 그 대신 같은 계열에서 내가 어디를 가야할까 고민 할 시간을 버는 것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 있어서는 좋은 부분. 물론 자기가 어디로 갈까 처음부터 정해버리면 그런 장점도 없어지는 것이다.[* 보통 자기 성적이 자기가 원하는 과의 커트라인보다는 낮지만 자유전공 쪽 커트라인보다는 높아 자유전공으로 지원 가능한 경우가 해당된다. 하지만 자유전공학부는 사실상 커트라인이 굉장히 높은 학과 중의 하나이며 처음 등장했던 2009년 당시에는 그 인기 좋다던 경영대들도 한 수 접어줄 정도의 막강한 입결을 자랑했다.] == 문제점 == 자율전공학부의 도입은 저학년 때 다양한 학문을 경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전공을 선택하거나 여러 학문을 전공하는 인재를 육성한다는 취지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자율전공학부는 이런 취지와는 맞지 않게 운영되고 있는 경우가 대단히 많다. 실제로 자율전공학부로 진학해서 여러 과목을 듣고 복수전공을 하기 보다는 인기학과로 전과하기 위한 일종의 밑바탕으로 삼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에 저학년에서 고학년이 될수록 정체성이 모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자율전공의 특기를 잘 살리면 복수전공도 하고 학문간 편제를 뛰어넘는 것도 가능하지만 선호하는 복수전공학과는 매우 높은 학점과 어학성적이 필요하다. 한편으로 전공을 선택하면서 소속변경이 되는 학교에서는 상위학년 선배가 없기 때문에 과 생활 자체가 아예 없을 수도 있다. 1학년 때에 자유롭게 수강하면서 2학년때 전공을 고르는데에는 분명 도움이 되지만, 나쁘게 보자면 1학년 때 시간을 상대적으로 날리게 된다. 또한 전공 진입을 학점컷으로 자르는 학교들에서는 본인이 상경계열이나 공학계열 등 특정 인기학과를 목표로 두고 있을 경우 학기 중 공부 압박이 남들보다 심해질 수 있다. 거기다 전과에 대한 어떠한 혜택이 없다고 하면 말 그대로 붕뜨기 때문에, 고학년이 될수록 복수전공에 목숨을 걸어야 한다.[* 최악의 경우 요구 학점을 다 이수했지만 복수전공을 하지 못해서 관련 학위가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다.] 특히 문과 전형인 자유전공은 물론이고 이과 전형도 이공계의 경우는 딱히 메리트가 없을 수 있다.[* 더구나 복수전공에서 유리함이 있다고 쳐도 공학인증 같은 건 복수전공을 못 하게 하는 경우도 많다.] 이공계의 경우 1학년 때부터 요구하는 필수과목이 인문/상경계에 비해 많은 편이기 때문. 물론 이공계에서 복수전공을 했다는 것은 성실한 학생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성적이 낮은 경우 이도저도 아니게 배운 학생이라는 평가를 받을수 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하여 2010년대 중반 이후로는 인원 수를 줄이거나 모집을 중단하는 식으로 자율전공학과를 폐지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리고 이 인원을 상경, 공학쪽으로 돌리거나 주력학과에 흡수시켜 운영하고 있다. == 개설 대학교 == === 서울 === *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학부/자율전공학부|자율전공학부]] *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자유전공학부|자유전공학부]], [[고려대학교/학부/국제대학|국제대학]] 글로벌자율학부 * [[덕성여자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학부#s-2|글로벌융합대학]], [[덕성여자대학교/학부#s-3|과학기술대학]], [[덕성여자대학교/학부#s-5|Art&Design대학]] * [[명지대학교]] [[명지대학교/학부#s-3.1|전공자유학부]], [[명지대학교/학부#s-3.2|융합전공학부]]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자유전공학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자유융합대학|자유전공학부]] * [[서울여자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학과#s-1.6|자율전공학부]] * [[숭실대학교]] [[숭실대학교/학부#s-10|융합특성화자유전공학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학부/스크랜튼대학#s-2|스크랜튼학부]] * [[태재대학교]] 혁신기초학부 * [[한성대학교]] [[한성대학교/학부/창의융합대학#s-2|상상력인재학부]] * [[홍익대학교]] [[홍익대학교/학부/서울캠퍼스자율전공|서울캠퍼스자율전공]] / [[홍익대학교/학부/미술대학#s-2.11|미술대학 자율전공]] === 인천, 경기 === * [[인하대학교]] [[인하대학교/학부/프런티어학부대학|프런티어학부대학]] 자유전공학부 * [[가천대학교]] [[가천대학교/학부#s-2.11.1|자유전공학부]] * [[수원대학교]] [[수원대학교/학부#s-10|자유전공학부]] * [[유한대학교#s-5.1]] [[유한대학교#s-5.1|자유전공학과]] * [[한국항공대학교]] [[한국항공대학교/학부#자유전공학부|자유전공학부]] *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글로벌자유전공학부|글로벌자유전공학부]] === 강원 === * [[가톨릭관동대학교]] [[가톨릭관동대학교/학부/트리니티융합대학|트리니티자유대학]] * [[강원대학교]] [[강원대학교/학부#s-2.16|자유전공학부(춘천)]], [[강원대학교/학부#s-3.4|자유전공학부(도계)]] * [[상지대학교]] [[https://www.sangji.ac.kr/op/index.do|자유전공학부]] *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의료계열 학과들을 제외하면 전부 자유전공계열로 선발한다.] === 충남, 충북, 대전 === * [[세한대학교]] 자유전공학과[* 정원 61명으로 2023년 신설] * [[우송대학교]] [[우송대학교/학부#앤디컷국제대학|Endicott 자율융합학부]] * [[충남대학교]] [[충남대학교/학부#s-3.1|자유전공학부]] * [[충북대학교]] [[충북대학교/학부#s-2.12|자율전공학부]] * [[한국과학기술원]][* 무학과로 선발하고 입학한 후에 본인이 원하는 전공을 선택하는 방식이다.] * [[한국교통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학부#자유전공학부|자유전공학부]] * [[한남대학교]] [[한남대학교/학과#s-2.11|자유전공학부]] * [[홍익대학교]] [[홍익대학교/학부/세종캠퍼스자율전공|세종캠퍼스자율전공]], [[홍익대학교/학부/과학기술대학#s-2.1|과학기술대학 자율전공]] === 전남, 전북, 광주 === * [[광주과학기술원]] * [[송원대학교]] [[https://liberal.songwon.ac.kr/|자율전공학과]] * [[순천대학교]] [[순천대학교#s-3.1|자유전공학부]] * [[우석대학교]] [[https://liberal.songwon.ac.kr/|자율전공학과]] * [[전남대학교]] [[전남대학교/학부 및 대학원#s-2.15|자율전공학부 4년]] *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학부 및 대학원#s-4.12|자유전공학부]] * [[초당대학교]] 자율전공학부 === 대구, 경북 === *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학부/자율전공부|자율전공부]] * [[경일대학교]] [[https://lae.kiu.ac.kr/|자율전공학부]] * [[계명대학교]] [[계명대학교/학부/Tabula Rasa College|Tabula Rasa College]] * [[대구가톨릭대학교]] [[http://academics.cu.ac.kr/home/detail/franc/open/|자율전공학부]] * [[대구경북과학기술원]]'''[*참고 학생들이 원하는 전공 과목들을 수강함으로써, 전공을 자유롭게 추가하거나 바꿀 수 있다. 사실상 [[전과(학교)|전과]]나 [[복수전공]]이 완전히 자유로운 셈이다.]''' * [[대구대학교]] [[대구대학교/학부#s-2.1|자유전공학부]] * [[대구예술대학교]]: 자율전공 * [[동국대학교/WISE캠퍼스|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동국대학교/WISE캠퍼스/학부#s-2.9|자율전공학부]] * [[안동대학교]] [[https://convergence.anu.ac.kr/|창의융합학부]][* 2019년에 신설된 자율전공학부다. 1학년때에는 학문의 기초가 되는 교양교과를 이수하고, 2학년 때 음악과, 미술학과, 체육학과, 간호학과, 사범대학를 제외한 원하는 전공으로 전과하거나 창의융합학부에 남아 창의융합학부 산하의 융합전공을 선택할 수 있다.] * [[영남대학교]] 천마학부대학 전공자유선택학부 * [[위덕대학교]] [[https://sdm.uu.ac.kr/|자율전공학부]][* 성인학습자 전용 자유전공이다.] * [[포항공과대학교]] * [[한동대학교]] === 부산, 울산, 경남 === * [[경남대학교]] [[https://www.kyungnam.ac.kr/sites/sols/index.do|자유전공학부]] * [[동명대학교]] [[https://www.tu.ac.kr/free/index.do|자율전공학부]][* 간호학과, 유아교육과 제외 자유 선택], [[https://www.tu.ac.kr/freemajor/index.do|자율융합공학부]][* 기계공학부, 전자및의용공학부, 조선해양공학부, 디지털미디어공학부 중 한 학부 선택] * [[부경대학교]] [[부경대학교/학부#s-3.9|글로벌자율전공학부]] * [[영산대학교]] [[https://ysu.ac.kr/ucol/Main.do|자유전공학부]] * [[울산과학기술원]] * [[인제대학교]] [[https://freemajor.inje.ac.kr/freemajor/index.do|자유전공학부]] === 폐지 ===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자유전공학부 인문사회계열 * [[연세대학교]]: 연세대 자유전공학부는 09년도부터 14년도까지 존재했으며 자전생 대부분이 경영, 경제 등 상경계열 전공을 선택하고 졸업하였다. ~~경영예과, 경제예과라는 별명이 붙었었다~~.16년도 이후 [[언더우드국제대학]]으로 흡수되었다. 자유전공학부의 흔적인지 언더우드 또한 계열 내 자유로운 전공선택이 가능하다.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특이하게도 두 번 존재했었다. 2004년에 처음 개설되어 서울캠퍼스 내 모든 전공을 선택할 수 있는 구조였다가 상경계열과 영어대, 법대 등 특정 인기 전공으로 지나치게 쏠리자 2008년에 폐지되었다. 그러나 [[법학전문대학원]] 제도의 도입으로 법과대학 신입생 모집이 중단되자 2009년에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사회과학대학]] [[자유전공학부]]로 다시 신설되어 2013년까지 존재했다. 2009년까지는 서울캠퍼스 전공 전체를 선택할 수 있었으나, 1학년 때 사회과학 전공수업을 듣고, 2학년에 사회과학대학 내 전공을 선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LD학부|학교를 대표할]]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LT학부|새로운 특성화 학과]]를 만들겠다는 학교의 계획 아래 학생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폐지가 결정되었으며, 학과 인원과 학생회 등은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LD학부|LD학부]]가 계승하게 되었다. [*참고 일단 계승이라고 표현은 했으나 사실 이 또한 꽤나 사정이 복잡했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LD학부|LD학부]] 문서 참조.] * [[삼육대학교]]: 자유전공학부. 이쪽은 2015학년도에 학부가 신설되었다. 1학년 2학기 말에 학과를 결정하고, 2학년 1학기부터 자유전공학부 소속에서 해당 학과로 소속이 변경된다. * [[상명대학교]]: 자유전공학부 * [[군산대학교]]: 자율전공학과 * [[한신대학교]]: 인문콘텐츠학부 자유전공. 2016년에 잠시 생겼다가 2018년도 경에 폐지하였다. * [[창원대학교]]: 2009학년도부터, 자율전공학부로 인문대학에 편입, 신설되었으나, 2015학년도부터 문화테크노학과로 이름을 개칭하며 학부 자체가 폐지되었음. 현재 문화테크노학과는 인문대학에서 2021학년도부터 미래융합대학으로 이관되며 인문사회계열과는 완전히 무관해졌다. * [[부산대학교]]: 학칙을 보면 과거에 100명 정도의 정원으로 자유전공학부가 존재하였으나 법학과, 예술문화영상학과 등의 증원을 위해서 2004년도 쯤에 폐과되었다. 그 후 학생 자율선택형 전공이수프로그램으로 2020학년도부터 운영중이나, 인문대학과 사회과학대 일부 학과 학생에 한해 신청 자체가 불가능하고, 공과대학과 사회과학대학 내 일부학과의 수업 교과목을 자율부 학과 학생에 한해 신청 자체가 불가능하며, 공과대학과 사회과학대학 내 일부학과의 수업 교과목을 자율전공 교과목으로 학생이 지정할 수 없도록 크게 제약을 걸어두었다. * [[전북대학교]]: 2009년 [[법학전문대학원]]의 설치로 인하여 자율전공학부가 신설되었으나, [[정책학과|공공인재학부]]로 이름을 바꾸었다. 다만, 로스쿨 특성화학과라는 점에 있어서는 동일하기 때문에 교육과정에 있어서 큰 변화는 없었으며, 이후 자율전공학부의 인적, 물적자산은 [[정책학과|공공인재학부]]로 승계되었다. [[분류: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