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남아프리카 공화국 의회의 원내 구성)] ||<-2> [[파일:CDDA90DC-1CC3-43AF-98D3-964CA172A0BE.png|width=200]] || ||<-2> {{{#fff '''Freedom Front Plus[br]Vryheidsfront Plus'''}}} || || {{{#fff '''약칭'''}}} ||FF Plus, VF Plus|| || {{{#fff '''한글명칭'''}}} ||자유전선 플러스|| || {{{#fff '''상징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ED702D; border: #;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주황색}}}}}}[br]{{{#!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08000; border: #;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녹색}}}}}} (보조색) || || {{{#fff '''창당일'''}}} ||[[1994년]] [[3월 1일]] || || {{{#fff '''이념'''}}} ||아프리카너 내셔널리즘[br][[기독교 민주주의]][br][[경제적 자유주의]][br][[사회보수주의]][br][[국민보수주의]][br]우익대중주의 || || {{{#fff '''정치적 스펙트럼'''}}} ||[[우익]] || || {{{#fff '''주소'''}}} ||Highveld Office Park[br]Charles de Gaulle Crescent, Centurion || || {{{#fff '''당 대표'''}}} ||피터 그로네발트 || || {{{#fff '''국제 조직'''}}} ||[[대표 없는 국가 민족 기구]][* 아프리카너 민족 대표로 참석하고 있다.] || || {{{#fff '''청년 조직'''}}} ||청년 자유전선 플러스 || || {{{#fff '''슬로건'''}}} ||''이곳에 희망이 있습니다! (Daar is hoop)'' || || {{{#fff '''상원 의석 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702D calc(3*100%/90), #fff 0%)" {{{#000 '''3석 / 90석'''}}}}}} || || {{{#fff '''하원 의석 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702D calc(10*100%/400), #fff 0%)" {{{#000 '''10석 / 400석'''}}}}}} || || {{{#fff '''웹사이트'''}}} ||[[http://www.vfplus.org.za/|[[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facebook.com/VFplus?fref=t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VFplus, 크기=25)] [[https://www.youtube.com/user/VRYHEIDSFRONTplu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남아공의 [[보수주의]] [[우파]], [[빅 텐트]] 정당. 1994년 [[보어인]] 계통의 여러 중도우파~극우 정당들이 합쳐져서 만들어졌다. [[민주동맹]]이 중도나 넓게 잡아도 중도우파가 포함된 빅텐트 정당으로 간주되는 데 비해 이 당은 확실히 보수 색채가 강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일각에서는 극우정당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그래서인지 실제로 민주동맹은 흑인 중산층의 지지도 그리 적지만은 않지만, 이 정당은 거의 백인, 보어인들만 지지한다. 보수 [[포퓰리즘]] 정당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경제자유투사당]] 반대 버전?-- == 상세 == 남아공 [[보어인]](아프리카너)들의 지지를 받는 정당이다. 보어인들은 아파르트헤이트 당시에는 명확히 기득권층이었지만, 남아공엔 엄연히 보어인 계통 빈민도 존재하고[* 다만 흑인 빈곤층의 비율이 너무 높기 때문에 별 관심을 못 받고 있다. 아무리 백인이 차별받는다하지만 2010년대 청년실업률이 절반에 육박한다는 소리도 있는 남아공 상황에서 메이드일이나 일용직이라도 구하면 일단 상위(?) 50%엔 해당되기 때문이다. 물론 그나마 보조금을 받는다하지만 입에 딱 풀칠할 정도이고 풍족하게 먹고 살 정도는 못된다.], 아파르트헤이트 종결 이후 흑인 중산층도 늘어나면서 미국/유럽과 달리 머릿수에서부터 흑인에 밀리는 보어인들은, 기득권을 쥔 나이든 아프리카너와 달리 특히 '''청년 아프리카너들은 역으로 자신들이 흑인들에게 차별을 받는다'''고 느끼기도 하는 모양. 그래서 이들은 아이러니하게도 '''백인 [[아프리카너]]에 대한 [[어퍼머티브 액션]]을 강력하게 주장한다.''' 다만 아파르트헤이트 붕괴 이후 많은 아프리카너들은 [[민주동맹]]을 더 선호하는 지라 당 차원에서 그렇게 큰 지지를 얻진 못하고 있다. 2010년대 이후로는 민주동맹에 실망한 지지층 중 일부가 조금씩 흡수되는 모양새도 보이고 있다. 2021년에는 [[https://en.wikipedia.org/wiki/Cape_Independence#Growth|케이프 독립]]을 주장하는 강령을 채택하였다.[[https://www.dailymaverick.co.za/article/2020-11-10-our-future-lies-in-an-independent-western-cape-says-corne-mulder-of-ff/|#]] [[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정당]][[분류:1994년 정당]][[분류:소수자 정당]][[분류:국민보수주의 정당]][[분류:사회보수주의 정당]][[분류:아프리카너 내셔널리즘]][[분류:우익대중주의 정당]][[분류:나무위키 정당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