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프로레슬링의 기술, rd1=자이언트 스윙)]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시설)] [[분류: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의 놀이기구]][[분류:대한민국의 평지 놀이기구]] [include(틀:평지 놀이기구/대한민국)] ||<-2><:>{{{#!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6672d, #efc756)" [[파일:whitelotty.png|width=50]][br]'''{{{#ffffff {{{+1 자이언트 스윙}}}}}}'''[br]'''{{{#ffffff Giant Swing}}}'''[br]}}}||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자이언트 스윙.jpg|width=100%]]}}}|| || '''{{{#efc756 기종}}}''' ||[[자이언트 프리스비#사례|Giant Discovery]] || || '''{{{#efc756 위치}}}'''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 언더랜드 존 || || '''{{{#efc756 운행 상태}}}''' ||{{{#ffffff 정상 운행}}} || || '''{{{#efc756 제작사}}}''' ||Zamperla || || '''{{{#efc756 최고속력}}}''' ||110km/h || || '''{{{#efc756 높이}}}''' ||주축 높이[* Main axle height] 27m [br] 영업 최대 높이 42m[* 추정. 각도는 대략 110~115도 정도.] [br] 풀 스윙시 44.8m || || '''{{{#efc756 최고각도}}}''' ||120˚ || || '''{{{#efc756 운행시간}}}''' ||3분 10초 || || '''{{{#efc756 탑승인원}}}''' ||40명 || || '''{{{#efc756 탑승조건}}}''' ||130cm 이상 탑승가능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lK1G-OYr1k)]}}}|| || '''▲ 탑승 영상''' || || [[파일:자이언트스윙 입구.jpg|width=100%]] || >'''광산의 보석들을 가공하려면 이 무섭고 거대한 기계를 움직여야 한다구요!''' 부산 롯데월드의 3대 기함급 어트랙션들중 하나로, 3대 자이언트 시리즈 중 하나. 잠실 롯데월드의 [[자이로스윙]]의 완벽한 상위호환 기종으로 좌우로 왕복하며 진자 운동을 하는 프리스비 타입의 어트랙션이다. 인지도는 자이언트 디거와 자이언트 스플래쉬가 조금 더 높긴 하지만 이 어트랙션 역시 웅장한 크기와 각도로 가장 많은 구경객을 모으는 어트랙션이다. == 특징 == [[파일:자이언트 스윙 스펙.jpg]] 최고높이 44.8m, 최고속력은 무려 '''110km/h'''[* 구 [[대전광역시]]에 있는 [[꿈돌이랜드]]의 스윙드롭도 이와 비슷한 높이와 속도가 나왔던 것으로 보인다. 단, 이 놀이기구는 360도 회전하며, 이 때문인지 신장 제한이 150cm다.]로 괴물같은 스펙을 보여주고 있는데, 서울 [[롯데월드 어드벤처]] 매직아일랜드에 위치한 [[자이로스윙]]이 시속 75km고 [[경주월드]]의 [[크라크]], [[토네이도(경주월드)|토네이도]]가 시속 80km, [[에버랜드]]의 [[T 익스프레스]]가 시속 104km, [[부산 롯데월드]]의 [[자이언트 디거]], [[자이언트 스플래쉬]]가 각각 시속 105km/h, 시속 101km/h라는 걸 감안하면 굉장히 빠른 속도다.[* 최고각인 120°까지 올라가면 바로 뒤에 보이는 [[자이언트 디거]]보다 더 높다! 최고 높이일 때 발 밑에 자이언트 디거 트랙이 보인다.] 단, 해당 기종 제작사의 최신 기종은 더 높고 빠른 'Giga Discovery'[* 최고 높이는 52.5m에 달하고, 속도 역시 120km/h에 달한다. 비슷하게도 이 놀이기구의 신상제한은 132cm이지만, 한국 기준으로는 135 ~ 140cm에 해당되어 기존의 자이언트스윙보다 엄격한 편이다.]라는 기종인데 꽤 오래된 구형 기종이 들어온 것에 대한 실망감도 있었다. 여담으로 믿기 어렵겠지만 같은 기종이 이미 [[북한]]에 먼저 만들어졌다. 그것도 한두해 차이도 아닌 무려 12년이나 차이나는 2010년에 만들어진 [[개선청년공원]]의 '회전그네'다. 신기하게도, 처음에는 바닥이 있지만, 출발할때 바닥이 8등분으로 쪼개져서 바깥쪽으로 움직이는 방식으로 열린다.[* [[경주월드]]의 [[토네이도(경주월드)|토네이도]] 개장 이후부터 나온 국내의 [[자이로스윙]]계열의 어트랙션들은 거의 다 이런 방식이다.] [[이월드]]의 [[메가스윙 360]]과도 유사한데 같은 Zamperla의 기종이지만 엄연히 다른 기종으로 360도 회전하지는 않는 대신 높이가 더 높고 수용 인원이 많다. 애당초 [[메가스윙 360]]이 360도 회전이 가능한 이유가 해당 기종보다 규모가 많이 작으면서도 자이언트 스윙 급의 강력한 출력의 전기모터를 장착했기 때문. 애당초 180도로 완전히 뒤집어졌을 때조차 높이가 30m라는 걸 감안하면, 자이언트 스윙은 90도를 훌쩍 넘기면 최고 44.8m의 높이니 360도로 회전했다면 최고높이 56m에[* 56m는 [[에버랜드]]의 [[T 익스프레스]]와 같은 높이이다!!] 최고속력 130km/h까지 증가하여 [[드라켄(롤러코스터)|드라켄]]보다도 더 빠른 스윙이 되기 때문에 상상하기 싫어진다. 때문에 진짜 상위 기종인 Giga discovery가 나오기 전까지 Zamperla의 대표 프리스비 기종이었다. 실제로 탔을 때 [[하강감]]이 잘 느껴지지 않는다. 그 이유는 계속 돌고 있기 때문. 자이언트 디거를 타고 이용한 관람객들이 주로 이용하는데, 대기줄에서만 봐도 저걸 사람이 버틸 수 있을까 의문이 들 정도로 높이 올라가며, 진자 운동시 대기줄에 있는 관람객은 빠르게 들리는 비명 소리에 더욱 공포감을 느낀다. 광산 컨셉의 테밍이 훌륭해서 반응이 좋다. 자이언트 디거가 프리쇼의 맵핑영상으로 욕을 먹었지만, 이쪽은 대기라인의 맵핑 영상도 퀄리티가 좋다. 해당 어트랙션 담당 캐스트들도 광산 인부 컨셉의 옷을 입고있다. 특이하게 한 쪽은 자이언트 디거 2차 하강 코스와 맞닿고, 한 쪽은 어트랙션과 테밍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2층짜리 건물이 지어져 있는데 무려 [[롯데리아]]이다. 어트랙션이 지나가는 창가 자리에서는 '''110km/h로 날아오는 자이언트 스윙의 속도 때문에 매우 센 바람이 불고,'''[* 이게 얼마나 센 거냐면, 만약 놀이기구가 날아오는 타이밍에 냅킨을 창가에 갔다대고 있으면, '''냅킨이 엄청나게 날린다.'''] 가장 인기가 많아, SNS 등지에서 핫플로 불리며, 오거들은 광산에서 일하다 먹는 새참이 롯데리아 햄버거라는 우스갯소리가 나온다. 여담으로 [[자이언트 디거]]와 스토리라인이 이어진다. 자세한 건 [[자이언트 디거#s-4|해당 문단]] 참조. == 관련 사진 == || [[파일:자이언트 스윙.png|width=100%]] || || [[파일:매직포레스트자이언트스윙.jpg|width=100%]] || == 둘러보기 == [include(틀: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시설, paragraph=4.1.2, version=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