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등(신체)]][[분류:팔]][[분류:근육]] [include(틀:근육)] ||||
{{{#ffffff ''' ''rhomboid minor'' '''}}}[br]{{{#ffffff ''' ''(작은마름근, 소능형근)'' '''}}} || |||| [[파일:작은마름근1.jpg|width=100%]] || || 이는 곳[br](origin) || 일곱째목뼈와 첫째등뼈의 가시돌기[br](spinous processes of C7, T1) || || 닿는 곳[br](insertion) || 어깨뼈의 안쪽모서리[br](medial border of scapula) || || 동맥[br](artery) || 등쪽어깨동맥[br](dorsal scapular artery) || || 신경[br](nerve) || 등쪽어깨신경[br](dorsal scapular nerve) || || 기능[br](action) || 어깨뼈를 들임[br](retrusion of scapula) || [목차] [clearfix] == 개요 == 작은마름근(rhomboid minor muscle)은 목뼈와 등뼈에서 일어나 어깨뼈에 닿는 등 얕은층(superficial group)의 근육이다. 바로 위의 큰마름근과 합쳐져 있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마름근]]이라고 묶여서 불리는 경우도 많다. 개정 이전 용어는 소능형근([[小]][[菱]][[形]][[筋]])[* [[작을 소]], [[마름 릉]], [[모양 형]], [[힘줄 근]].]. == 구조 == || [[파일:등판1.webp|width=100%]][* 마름근들을 보여주기 위해 오른쪽의 등세모근은 제거되었다.] || [[파일:등얕은층해부.jpg|width=100%]][* 양쪽 등세모근이 제거된 상태이며, rhomboid major가 2개인데, 위쪽의 rhomboid major는 rhomboid minor이다.] || || 등의 얕은층 그림 || 등의 얕은층 해부 || 큰마름근은 위쪽의 작은마름근보다 두 배 정도 넓은 면적을 가지지만, 두께는 더 얇은 편이다. 작은마름근을 등의 근육으로 생각하면, 닿는곳이 등이 아니라 팔이음부위인 어깨뼈이므로 바깥기원근육(extrinsic mm.)[* 이는곳과 닿는곳 둘 중 하나가 등이 아닌 경우. 등의 얕은층과 중간층이 이에 속한다.]에 속하고, 그 중에서도 [[등세모근]](trapezius m.), [[넓은등근]](latissimus dorsi m.), [[어깨올림근]](levator scapulae m.), [[큰마름근]](rhomboid major m.)과 함께 얕은층 근육에 속한다. 반면 팔의 근육 기준에서는 역시 이는곳이 팔이 아닌 등이므로 바깥기원근육이고, 그 중에서는 깊은쪽이라 어깨올림근, 큰마름근과 함께 깊은뒤팔이음근육(deep posterior thoracoappendicular mm.)에 속한다. 마름근 둘은 모두 등세모근에 덮여 있어서 겉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어깨올림근은 주로 C7, T1의 가시돌기[* 척추뼈의 뒤쪽 돌기.]에서 일어난 후, 어깨뼈 안쪽모서리 위쪽 1/3 정도[* 위각에서 어깨뼈가시(scapular spine, 어깨뼈 뒷면의 튀어나온 능선)까지]에 닿는다. 이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가지 중 하나인 [[등쪽어깨신경]](dorsal scapular n.)은 C5의 가지로, 어깨올림근 깊은쪽을 지나간다.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은 [[등쪽어깨동맥]](dorsal scapular a.)이다. == 기능 == * 마름근은 어깨뼈가 몸통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근의 역할을 하며, 이는 [[앞톱니근]](serratus anterior m.)이나 [[작은가슴근]](pectoralis minor m.)과의 협동으로 이루어진다. * 어깨뼈를 뒤로 빼는 들임(retrusion; retraction)을 일으킨다. 어깨뼈를 내밀게 하는 앞톱니근과는 여기서 대항근이 된다. * 또한, 위팔뼈와 어깨관절을 이루는 어깨뼈의 접시오목을 아래로 돌린다. 이 작용에서 작은마름근은 [[어깨올림근]]과는 [[협동근]], [[앞톱니근]]이나 [[등세모근]] 오름부분과는 [[대항근]] 관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