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해군의 작전사령부 예하함대)] ||<-2><#000080> '''{{{#fff {{{+1 잠수함사령부}}}}}}'''[br]'''{{{#fff 潛水艦司令部}}}'''[br]{{{#fff '''Submarine Force Command'''[* 'ROKN Submarine Force Command'은 '대한민국 해군 잠수함사령부'를 한국어순으로 번역한 것으로, 'Submarine Force Command, ROK Navy' 또는 U.S. 7th Fleet(미 [[7함대]])의 예처럼 ROK Submarine Force Command가 적절한 영어식 표기다.]}}} || ||<#ffffff,#191919><-7> [[파일:roknsfc-logo.png|width=300]] || ||<-7><#000080> '''{{{#fff }}}''' || ||<#000080> '''{{{#fff 창설일}}}''' ||<(> [[1990년]] [[6월 1일]](제57잠수함전대)[br][[1995년]] [[10월 1일]](제9잠수함전단)[br][[2015년]] [[2월 1일]](잠수함사령부) || ||<#000080> '''{{{#fff 약칭}}}''' ||<(> 잠수함사 || ||<#000080> '''{{{#fff 소속}}}''' ||<(> [[대한민국 해군]] || ||<#000080> '''{{{#fff 상급부대}}}''' ||<(> [[해군작전사령부]] || ||<#000080> '''{{{#fff 역할}}}''' ||<(> 해군의 잠수함작전을 수행 || ||<#000080> '''[[사령관|{{{#fff 사령관}}}]]''' ||<(> [[소장(계급)|소장]] [[강정호(군인)|강정호]] ([[해군사관학교|해사]] 47기) || ||<#000080> '''{{{#fff 위치}}}''' ||<(> [[경상남도]] [[창원시]][br] [[진해기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潜水艦ドッグ,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해군잠수함사령부령''' >'''제1조(설치 및 임무)''' ① 해군의 잠수함작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해군에 해군잠수함사령부(이하 "잠수함사령부"라 한다)를 둔다. >② 잠수함사령부는 예속부대(隸屬部隊) 또는 배속부대(配屬部隊)에 대한 작전·훈련과 군 행정에 관한 사항을 관장한다. [[대한민국 해군]]의 '''잠수함사령부'''는 [[해군작전사령부]] 예하의 [[함대]]급 [[잠수함]] 부대로, 사령관은 해군 [[소장(계급)|소장]]이다. 해군은 2015년 2월 제9잠수함[[전단(군대)|전단]](Submarine Flotilla Nine)이 잠수함사령부로 격상됨으로써 미국, 일본, 프랑스, 영국, 인도에 이어 세계에서 6번째로, 잠수함의 작전과 교육훈련, 정비 등을 종합적으로 지휘하는 잠수함사령부를 운영하게 됐다.[[https://www.yna.co.kr/view/AKR20150130128300043|#]][* 다만 이런 편제에 대해 실효성 논란이 있기도 하다. 위 다섯 개국은 특성상 해군의 비중이 적어도 대한민국 보단 높은 데다가 대양과 접하기 때문에 잠수함대의 작전, 교육, 군수가 유기적으로 함께 운용되는 부대가 필요한 반면 대한민국은 대양에 접하지도 해군의 비중이 그리 높지도 않으므로 굳이 부대를 그런 식으로 운용해야 되는가에 대해 비판이 일기도 했다. 하지만 원자력이냐 재래식이냐를 제외하고 미국, 일본을 뺀다면 다른 3개국 중 대한민국 보다 잠수함 보유 척수가 많은 국가도 없다. 애초 대한민국이 보유한 잠수함 수와 규모도 세계 기준으로 본다면 10위권 안이고, 또한 서방 최초로 [[SLBM]] 발사 가능한 [[도산안창호급 잠수함|중형 재래식 잠수함]]을 보유했다는 점에서 잠수함사령부 창설의 명분이 없던 것도 아니었다.] 잠수함사령부는 [[장보고급 잠수함|장보고급]]([[209급 잠수함|209급]]), [[손원일급 잠수함|손원일급]]([[214급 잠수함|214급]]), [[도산안창호급 잠수함]](KSS-III Batch-I) 등을 운용하고 있으며, [[진해 해군기지|진해]]와 [[제주 해군기지|제주도]]에 기지를 두고있다. == 상징 == === 부대가 === [youtube(jxsEuz5_F64)] >'''잠수함사령부가''' >(1절) >[[한반도]]의 [[동해|동]][[황해|서]][[남해|남]]해 찬란한 [[대양]]에서 >[[이순신|충무공]]의 크신뜻을 이어받은 [[대한민국 해군|우리들]] >일발필중 수중무적, 잠수함의 힘 >기운차게 전진하자, 세계를 향해! >나가자 바다로, 지키자 [[대한민국|내 조국]] >[[대한민국 해군|대한해군]] 선봉에는, 필승! 잠수함사령부 >(2절) >꿈을 꾸고 도전하는 창조적 정신으로 >우리 함께 하나되어 힘차게 나가리라 >일발 필중 수중무적, 잠수함의 힘 >큰소리로 외쳐보자, 무적 잠수함 >나가자 바다로, 지키자 내조국 >대한해군 선봉에는, 필승! 잠수함 사령부 == 연혁 == * 1983. 04. 02. : 대한민국 해군의 첫 국산 소형 잠수함 '[[돌고래급|돌고래 051호정]]'(SSM 51) 진수. * 1984. 12. 29. : 돌고래급 잠수정 최초 인수 * 1985. 03. 01. : SSM 051 돌고래 취역 * 1989. 12. 15. : SSM 052 돌고래 진수 * 1990. 06. 01. : [[제5성분전단]] 예하에 [[돌고래급]] 소형 잠수함으로 구성된 제57잠수함[[전대(군대)|전대]](제5809부대) 창설. * 1990. 11. 08. : SSM 052 돌고래 취역 * 1991. 08. 30 : SSM 053 돌고래 진수 * 1991. 09. 12. : SS 061 장보고함 진수 * 1991. 12. 12 : SSM 053 돌고래 취역 * 1992. 10. 12. : SS 062 이천함 진수 * 1993. 10. 14. : [[독일]]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HDW]] [[조선소]]에서 대한민국 해군 최초의 [[잠수함]] [[209급]] 1번함 '[[장보고함]]' 인수. * 1993. 01. 15. : 잠수함 교육훈련대 창설(현 교육훈련전대) * 1993. 02. 06. : 잠수함 기본과정 1기생 수료 * 1993. 06. 02. : 장보고함 취역 * 1993. 08. 07. : SS 063 최무선 진수 * 1994. 03. 01. : 잠수함 기지전대 창설 * 1994. 04. 02. : 잠수함 보급소 창설 * 1994. 05. 21. : SS 065 박위 진수 * 1994. 06. 20. : 국내에서 최초로 건조한 209급 2번함 '[[장보고급|이천함]]' 취역. * 1995. 02. 28. : SS 063 최무선 취역 * 1995. 05. 17. : SS 066 이종무 진수 * 1995. 08. 31. : SS 065 박위 취역 * 1995. 10. 01. : [[해군작전사령부|작전사령부]] 예하 제9잠수함[[전단(군대)|전단]]으로 승격. * 1996. 05. 07. : SS 067 정운 진수 * 1996. 08. 31. : SS 066 이종무 취역 * 1997. 08. 30. : SS 067 정운 취역 * 1998. 05. 13. : [[RIMPAC]]-98 이종무함 참가 (잠수함 최초 참가) * 1998. 05. 21. : SS 068 이순신 진수 * 1999. 03. 25. : 이천함, 美 순양함(OKLAHOMA CITY) 어뢰 1발로 격침(서태평양 훈련) * 1999. 06. 09. : SS 069 나대용 진수 * 2000. 02. 01. : SS 068 이순신 취역 * 2000. 05. 06. : SS 071 이억기 진수 * 2000 : SS 065 박위 RIMPAC훈련에서 11척9만6000톤 격침, 최후생존 * 2000 12. 01. : SS 069 나대용 취역 * 2001 12. 01 : SS 071 이억기 취역 * 2002 07. 08 : SS 069 나대용 RIMPAC훈련에서 하푼으로 퇴역구축함 격침(08시 46분) * 2003. 12. 31. : SSM 051 돌고래 퇴역(식 12월 29) * 2004 : 장보고함 RIMPAC 참가 * 2005. 10. 01. : 제9잠수함 전단 창설 10주년 * 2006. 06. 09. : [[214급]] 1번함 '[[손원일급|손원일함]]'(SS 072) [[진수]]. * 2006 : SS 067 정운 RIMPAC 참가 * 2006. 09. 01. : 손원일함 부대 창설 * 2007. 06. 13. : SS 073 정지 진수 * 2007. 12. 28. : SS 072 손원일 취역 * 2008. 06. 04. : SS 075 안중근 진수 * 2008 : SS 068 이순신 RIMPAC 참가 * 2008. 10. 17. : 잠수함 안전운항 100만NM(185.2만km) 달성 * 2008. 12. 02. : SS 073 정지 취역 * 2009. 12. 01. : SS 075 안중근 취역 * 2010 : SS 071 이억기 RIMPAC 참가 * 2012 : SS 069 나대용 RIMPAC 참가 * 2012. 10. 05. : 잠수함 안전운용 20주년 기념 행사 * 2013. 07. 01. : 국제잠수함과정(ISETP) 교육 개설 * 2013. 08. 13. : SS 076 김좌진 진수 * 2014 : SS-068 이순신 RIMPAC 참가 * 2014. 12. 31. : SS 076 김좌진 취역 * 2014. 07. 03. : SS 077 윤봉길 진수 * 2015. 02. 01. : 잠수함사령부로 승격. 초대 사령관 윤정상 [[소장(계급)|소장]].[* 해사 38기로, 잠수함사령관, 해군교육사령관, 해군본부 인사참모부장을 거쳐 해군 소장으로 예편하였다.][* 사령부는 한동안 [[진해기지사령부]] 관할 부지 내의 9전단 건물을 그대로 쓰다가, 2015년 12월에 진해기지 내 신청사 완공 후 이전했다.] * 2015. 05. 07. : SS 078 유관순 진수 * 2015. 12. 01 : 제주기지전대 창설 * 2016. 04. 05. : SS 079 홍범도 진수 * 2016. 06. 20. : SS 077 윤봉길 취역 * 2016. 11. 08 : SS 081 이범석 진수 * 2017. 02. 01 : 제97잠수함전대 창설 * 2017. 07. 11 : SS 078 유관순 취역 * 2017. 09. 07. : SS 082 신돌석 진수 * 2018. 01. 23. : SS 079 홍범도 취역 * 2018. 09. 14 : KSS-III Batch-I 선도함 [[도산안창호급 잠수함|도산안창호함]](SS 083) 진수 * 2020. 06. 01 : 잠수함부대 창설 30주년 * 2020. 11. 10. : SS 085 안무 진수 * 2021. 08. 13. : SS 083 도산안창호 취역 * 2021. 09. 28. : SS 086 신채호 진수 === 잠수함 역사관 === 사령부 부지 내에 잠수함 관련 박물관이 있다. 한국 해군의 각 잠수함이 심해로 잠항하면서 채취한 심층수 섞인 [[와인]]이나 외국 해군과 교류하며 얻은 기념품, 각 함정들의 모형, 제2차 세계대전 때의 독일 해군([[크릭스마리네]]) [[U보트]] 승조원의 복장 등 군 박물관치고는 전시물들이 충실한 편이다. 단, 민간에게 상시 개방하지 않고 일부 초청 행사 때에만 개방하고 있는 점이 아쉽다. == [[사령관]] == [include(틀:해군잠수함사령관)] 제9잠수함전단 전단장의 계급은 준장이었나, 사령부로 격상되면서 [[지휘관]]의 계급도 해역함대 [[사령관]]과 같은 [[소장(계급)|소장]]으로 격상됐다. 2023년, [[양용모(군인)|양용모]] 제독이 잠수함 출신 중 최초로 해군 [[대장(계급)|대장]]으로 진급하고 해군참모총장으로 임명됐다. ||||<-7><#000080> '''{{{#ffffff 역대 제9잠수함전단장}}}'''[* '''볼드'''로 강조된 이름은 [[대장(계급)|대장]] 진급이 된 사령관] || ||<#000080> '''{{{#ffffff 역대}}}''' ||<#000080> '''{{{#ffffff 이름}}}''' ||<#000080> '''{{{#ffffff 계급}}}''' ||<#000080> '''{{{#ffffff 임관}}}''' ||<#000080> '''{{{#ffffff 재임기간}}}''' ||<#000080> '''{{{#ffffff 비고}}}''' || || 초대 || 김혁수 || 예) 준장 || [[해군사관학교|해사]] 25기 || 1995.10~1998.1 ||前 해군작전사 부사령관, 現 잠수함연맹 회장 || || 2대 || 김종민 || 예) 준장 || 해사 26기 || 1998.1~1998.12 ||前 해군작전사 부사령관, 前 방위사업청 차장 || || 3대 || 전상중 || 예) 준장 || 해사 27기 || 1998.12~2000.1 ||초대 특수전여단장 || || 4대 || [[안병구]] || 예) 준장 || 해사 28기 || 2000.1~2000.12 ||초대 장보고함장, 前 대우조선해양 상무 || || 5대 || [[이홍희]] || 예) 중장 || 해사 29기 || 2000.12~2003.3 ||前 해군사관학교장 || || 6대 || 김정두 || 예) 중장 || 해사 31기 || 2003.3~2004.12 ||前 합동참모차장 || || 7대 || [[윤재갑]] || 예) 소장 || 해사 32기 || 2004.12~2005.12 ||前 해군군수사령관, 21대 국회의원 || || 8대 || 배일헌 || 예) 준장 || 해사 34기 || 2005.12~2007.11 ||前 초대 기초군사교육단장 || || 9대 || 김광석 || 예) 소장 || 해사 35기 || 2007.11~2008.12 ||前 1함대사령관, 국군복지단장 || || 10대 || 하진용 || 예) 준장 || 해사 36기 || 2008.12~2010.7 ||前 해본 전력분석시험평가단장 || || 11대 || [[김판규(해군)|김판규]] || 예) 중장 || 해사 37기 || 2010.7~2011.11.29 ||前 해군참모차장 || || 12대 || 윤정상 || 예) 소장 || 해사 38기 || 2011.11.29 ~ 2012.12.26[[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009294|#]] ||초대 잠수함사령관, 前 해군교육사령관 || || 13대 || 정우성 || 준장 || 해사 39기 || 2012.12.26~ ||前 차세대잠수함사업단장 || || 14대 || 이정모 || 준장 || 해사 40기 || ~2014.1.31 ||前 합동참모본부 군수부장 || ||||<-7><#000080> '''{{{#ffffff 역대 잠수함사령관}}}'''[* '''볼드'''로 강조된 이름은 [[대장(계급)|대장]] 진급이 된 사령관] || ||<#000080> '''{{{#ffffff 역대}}}''' ||<#000080> '''{{{#ffffff 이름}}}''' ||<#000080> '''{{{#ffffff 계급}}}''' ||<#000080> '''{{{#ffffff 임관}}}''' ||<#000080> '''{{{#ffffff 재임기간}}}''' ||<#000080> '''{{{#ffffff 비고}}}''' || || 초대 || 윤정상 || 예) [[소장(계급)|소장]] || [[해군사관학교|해사]] 38기 || 2015.02.01~2016.10.25 ||12대 9전단장, 前 해군교육사령관 || || 2대 || [[박노천(군인)|박노천]] || 예) [[소장(계급)|소장]] || [[해군사관학교|해사]] 41기 || 2016.10.25~2018.12.06 ||26대 [[해군군수사령관]] || || 3대 || [[정일식(군인)|정일식]] || [[소장(계급)|소장]] || [[해군사관학교|해사]] 43기 || 2018.12.06~2020.05 ||前 [[해군군수사령관]] || || 4대 || [[정승균]] || 예) [[중장]] || [[해군사관학교|해사]] 44기 || 2020.05~2020.12 ||28대 해군교육사령관 || || '''5대''' || '''[[양용모(군인)|양용모]]''' || '''[[대장]]''' || [[해군사관학교|해사]] 44기 || 2020.12~2021.12 ||前 합참군사지원본부장, 現 [[해군참모총장]] || || 6대 || [[이수열]] || [[소장(계급)|소장]] || [[해군사관학교|해사]] 45기 || 2021.12~현재 ||現 [[해군사관학교장]] || || 7대 || [[강정호(군인)|강정호]] || [[소장(계급)|소장]] || [[해군사관학교|해사]] 47기 || 2023.11~현재 ||現 [[사령관]] || == 조직 == 각 잠수함 [[전대(군대)|전대]]에는 3척의 잠수함이 편제된다. 93전대만 [[제주 해군기지]]에 있고 나머지는 전부 진해에 잠수함사령부와 함께 있다. 현재 장보고급 9척과 손원일급 9척으로 총 6개의 전대가 편제되어 있으며, [[도산안창호급 잠수함]] 실전 배치 후에는 장보고급 3척이 연구·훈련용으로 돌려져서 상시 6개 전대가 될 예정이다. === 편성 === * 사령부 * 제91잠수함전대 * 제92잠수함전대 * 제93잠수함전대 * 제95잠수함전대 * 제96잠수함전대 * 제97잠수함전대 * 제909교육훈련전대[* 57전대와 함께 잠수함교육훈련대로 창설. 이후 9전단으로 승격하면서 909전대로 개편되었다.] - 제1훈련대대 - 제2훈련대대 - 제3훈련대대 * [[근무지원대대]] * 잠수함수리창 == 타국 해군의 동급 부대 == 해외의 동급 부대로 [[미합중국 해군]]은 양양함대에서 각각 잠수함군이 운영되지만 舊 대서양함대인 [[함대전력사령부]](United States Fleet Forces Command)의 잠수함군을 더 중요시하는 편. 이는 지정학적 특성에 기인한다. 냉전 시대 미 해군 잠수함들의 주요 적수였던 소련 해군 잠수함들은 북대서양과 북극해를 중심으로 활동했고 태평양에서는 알래스카의 존재 덕에 항공작전 위주의 기싸움이 벌어졌다.[* 물론 냉전시대 이후 21세기에는 북한과 이란도 핵개발을 하다보니 태평양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며 의전상으로 딱딱 구분하는 것이 무의미해졌지만.] 형식상의 간판이긴 하지만 함대전력사령부의 잠수함군 사령관이 미 해군 잠수함사령관을 겸직한다. 계급도 태평양함대 잠수함군사령관이 소장인 것에 비해 이쪽은 중장. 또한 [[해군핵추진프로그램]]이라는 [[해군부]] 직속의 [[대장(계급)|4성]]제독 보직이 있는데, 말 그대로 해군 함정에 탑재하는 원자로를 관리하는 부서의 최고 책임자이다. 미 해군 수상함 중 항공모함이 핵추진이므로 항모의 기관 분야 출신 장교 또한 소수 있지만 100% 핵추진으로 이루어진 잠수함 출신 장교들의 비중이 매우 크다. == 기타 == * 잠수함사령부는 2015년 2월 1일부로 창설됐으나, 창설식은 창설일이 [[일요일]]이어서 하루 뒤인 [[콩드립|2월 2일 오후 2시]]에 했다.[[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1111004231&code=910302|#출처]] [[한민구]] [[국방장관]]과 [[황기철]] [[해군참모총장]], 전직 해군총장 출신인 국회의원 [[김성찬(군인)|김성찬]]과 [[미 해군]] 태평양함대 잠수함사령관 필립 소이어(Phillip G. Sawyer) 제독[* [[미국해군사관학교]] 1983년 졸업자로 대한민국 해사 37기에 상당한다. 대한민국 잠수함사령관인 윤정상 제독은 해사 38기이다.] 등이 참석했고 사령부 휘하의 잠수함 외에 연합훈련을 목적으로 미 해군 소속의 7천톤급 [[SSN]]인 USS 올림피아 함도 입항했다. * 잠수함 출신 항해장교들은 자기 특기를 살리는 TO가 이전에는 [[전단장|9전단장]]인 [[준장]]까지였고,(해사 29기 이홍희 제독, 31기 김정두 제독 중장 예편) 다른 직책을 받아도 [[소장(계급)|소장]] 정도가 최상위[* 함대를 지휘하게 될 경우 보통은 2함대보다는 1함대로 가는 경향이 있다. 역사적으로도 북한 해군은 똑같이 도발을 하더라도 서해에서는 수상 경비정들이 난리를 피우는 반면 동해에서는 (반)잠수정들이 은밀하게 넘어오는 경우가 많았고, 또한 서해의 환경 자체가 잠수함들에겐 짜증나는 환경이라...]였으나, 잠수함 부대의 [[병과장|최상급 단위]]가 소장으로 격상됨에 따라 [[진급 상한선|진급 기회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9전단 시절부터 치면 초대 지휘관은 해군준장 김혁수 [[제독]](해사 25기)[* 동명이인으로 개설된 문서는 김혁수 [[국무조정실]] 대테러센터장(육사 42기, 중장 전역)이다.]이다. 잠수함사령관 직책을 처음으로 가질 인물로는 잠수함사령부 창설준비단장인 해군 소장 윤정상 제독(해사 38기, 소장 전역)이 [[전단장]]에서 [[함대사령관]]으로 올라가는 식으로 승계하며 진급했다. 9전단장 출신인 [[김판규(해군)|김판규]] 제독(해사 37기, 중장 전역)의 경우 2015년 4월 장성 정기인사에서 [[해군사관학교]]장이 되면서 중장으로 진급했다. 2015년은 이래저래 잠수함 업계(?)의 겹경사. * 잠수함 승조원이 [[장교]]와 [[부사관]]으로만 구성되기 때문에 [[수병]]은 육상 근무자만 있다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잠수함사령부 소속 수상함이 1척[* 다도해함(잠수함 시운전 지원)] 있으니 1군 승함 직별을 받고 잠수함사령부를 배치받았다고 육상 근무를 한다고 생각하면 안댔'''었'''고 해상병 622기 이후로 낚여서 가는 사람이 대부분이'''었'''지만 그 수상함이 2020년에 퇴역했기 때문에 이제는 잠수함사령부에 배치된 수병들은 육상에서만 근무하게 됐다. -- 물론 자기 직별이 [[보급병|보급]]이나 [[전산병|전산]]이면 안심해도 된다.-- -- 물론 그 수상함에도 [[전산병|전산]] 티오가 있기에 운 안 좋으면 탈 수 도 있다.아니 좋다고 해야하나 잠수함을 언제 타보겠어--[* 물론 서해 수호자마냥 군생활 내내 잠수함 타는게 아니라 저 말도 틀린말은 아니다. 있다해도 잠수함 타고 서해 수호자 신청하는 수병은 없을 것이다. 물론 장기복무 희망자가 아니라면....] * 잠수함이 갖는 전략적 중요성으로 인해, 잠수함사령부는 진해기지 안에 있음에도 초병과 철책을 깔아놓고 이중으로 방호하고 있다. 때문에 진해기지에 있는 군장병이라도 잠수함사령부는 함부로 못 들어간다. (부산작전기지 함정공개행사 때에도 잠수함에 대한 직접 사진 촬영은 제지 당했다. 표면 상태도 보안이라고) * 여담으로 출항할 일이 거의 없는 구조함 계열을 퇴창시운전이라는 명목으로 매주 출항하게 하는 악명으로인해 [[해난구조전대]]에서는 잠수함사령부를 원망하는 웃픈 경우가 많다. == 관련 영상 == [youtube(tisF6DzU5oA)] [youtube(WiKv5T7rRL0)] [youtube(mUuEqf2uPaU)] [[분류:대한민국 해군]][[분류:해군작전사령부]][[분류:사령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