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룩셈부르크 대공)] ---- ||<-2> '''룩셈부르크 나사우 왕조 제5대 대공[br]{{{+1 장}}}[br]Jean, Groussherzog vu Lëtzebuer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7ed522c76a019bd32f2bb5418408432.jpg|width=100%]]}}} || ||<|2> '''출생''' ||[[1921년]] [[1월 5일]]|| ||[[룩셈부르크]] 콜마르베르크 베르크 성|| ||<|2> '''사망''' ||[[2019년]] [[4월 23일]] (향년 98세)||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도시)|룩셈부르크]]|| ||<|2> '''재위기간''' ||[[룩셈부르크 대공]]|| ||[[1964년]] [[11월 12일]] ~ [[2000년]] [[10월 7일]]|| || '''서명''' ||[[파일:장(룩셈부르크) 서명.svg|width=100]]||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문''' ||[[나사우 가문|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 || || '''이름''' ||장 브누아 기욤 로베르 앙투안 루이 마리 아돌프 마르크 다비아노[br](Jean Benoît Guillaume Robert Antoine Louis Marie Adolphe Marc d'Aviano) || || '''아버지''' ||보르보네-파르마의 공자 펠릭스 || || '''어머니''' ||[[샤를로트(룩셈부르크)|룩셈부르크 여대공 샤를로트]] || || '''형제자매''' ||엘리자베트, 마리 아델라이드, 마리 가브리엘, 샤를, 엘릭스 || || '''배우자''' ||[[조제핀샤를로트|벨기에의 조제핀샤를로트 공주]][br],,(1953년 결혼 / 2005년 사망),, || || '''자녀''' ||마리 아스트리드, [[앙리(룩셈부르크)|앙리]], 장, 마르가레타, 기욤 ||}}}}}}}}} || [목차] [clearfix] == 개요 == [[룩셈부르크]]의 전 대공으로 현 [[군주|대공]] [[앙리(룩셈부르크)|앙리]]의 아버지다. == 생애 == === 청소년기 === [[룩셈부르크(도시)|룩셈부르크]]에서 태어나 [[영국]] 기숙학교 앰플포스&애비 칼리지에서 수학했다. 그리고 [[1939년]] [[1월 5일]] 공위 계승자로 임명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 [[1940년]] [[5월 10일]], [[독일 국방군]]이 룩셈부르크를 침공하자 가족과 함께 [[미국]] [[뉴욕]]으로 [[망명]]하였고 이때 장은 [[캐나다]]로 가서 [[라발 대학교]]에서 [[법학]]과 [[정치학]]을 수학하였다. 그리고 [[1942년]] [[11월]] 영국에서 [[영국군]] 아일랜드 근위대에 [[입대]]하였다. [[샌드허스트]]에서 교육을 마친 뒤 [[1943년]] [[6월]] [[소위]]로 임관하여 [[노르망디 상륙작전]], [[캉]] 전투, [[브뤼셀]] 수복 작전에 참여하고 그 공을 인정받아 대위로 진급하였다. 그리고 [[1947년]] 6월에 퇴역하였다. === 통치 === 어머니 [[샤를로트(룩셈부르크)|샤를로트 대공]]은 [[1961년]] [[4월 28일]]부터 장에게 [[섭정]]을 시켰다. 그리고 [[1964년]] [[11월 12일]] 어머니의 퇴위에 따라 대공위를 계승하였다. 그는 통치 기간 내내 아내 조세핀 대공비와 함께 경제와 복지, 유럽의 통합에 신경썼고 이 공로로 [[1986년]] [[서독]] [[아헨]]에서 [[카롤루스 대제|샤를마뉴]] 메달을 받았다. [[2000년]] [[10월 7일]]에 장남 앙리에게 양위하고 물러났다. === 말년과 죽음 === 2002년 여름 대공비(벨기에의 [[조제핀샤를로트|조제핀샤를로트 공주]], 1927~2005. [[벨기에 국왕]] [[레오폴드 3세]]의 딸이다)의 요양을 위해 피슈바흐 성으로 거처를 옮겼고 [[2005년]] 사별 후에도 피슈바흐 성에서 죽을 때까지 살았다. 폐질환으로 입원했다가 [[2019년]] [[4월 23일]]에 별세했다. 룩셈부르크의 노트르담 성당에서 [[장례식]]이 엄수되었고 대공국 전역에 12일간 애도기간이 선포되었다. == 가족관계 == === 조상 ===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13> 룩셈부르크 대공 장[br]{{{-2 (Jean, Grand Duke[br]of Luxembourg)}}} ||<|6> 보르보네-파르마의 공자 펠릭스[br]{{{-2 (Prince Felix of Bourbon-Parma)}}} ||<|3> 파르마 공작 [[로베르토 1세]][br]{{{-2 (Robert I, Duke of Parma)}}} || || 파르마 공작 [[카를로 3세(파르마)|카를로 3세]][br]{{{-2 (Charles III, Duke of Parma)}}} || || 프랑스의 루이즈 마리 테레즈[* [[샤를 10세]]의 손녀이다.][br]{{{-2 (Louise Marie Thérèse of France)}}} || ||<|3><#FFFFE4> 포르투갈의 마리아 안토니아 공주[br]{{{-2 (Infanta Maria Antonia[br]of Portugal)}}} || || [[미겔 1세]][br]{{{-2 (Miguel I)}}} || || 뢰벤슈타인-베르트하임-로젠베르크의 공녀 아델하이트[br]{{{-2 (Adelaide of Löwenstein-Wertheim-Rosenberg)}}} || ||<|7> 룩셈부르크의 여대공 [[샤를로트(룩셈부르크)|샤를로트]][br]{{{-2 (Charlotte, Grand Duchess[br]of Luxembourg)}}} || ||<|3> 룩셈부르크의 대공 [[기욤 4세]][br]{{{-2 (William IV,[br]Grand Duke of Luxembourg)}}} || || 룩셈부르크 대공 [[아돌프(룩셈부르크)|아돌프]][br]{{{-2 (Adolphe, Grand Duke of Luxembourg)}}} || || 안할트-데사우의 공녀 아델하이트 마리[br]{{{-2 (Princess Adelheid-Marie of Anhalt-Dessau)}}} || ||<|3> 포르투갈의 마리아 아나 공주[br]{{{-2 (Infanta Marie Anne of Portugal)}}} || || [[미겔 1세]][br]{{{-2 (Miguel I)}}} || || 뢰벤슈타인-베르트하임-로젠베르크의 공녀 아델하이트[br]{{{-2 (Adelaide of Löwenstein-Wertheim-Rosenberg)}}}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배우자 / 자녀''' || || '''1녀''' || 오스트리아 대공비 마리 아스트리드[br]{{{-2 (Marie Astrid, Archduchess of Austria)}}} || [[1954년]] [[2월 17일]] || 오스트리아의 카를 크리스티안 대공[* [[카를 1세]]의 4남(다섯째)이자 [[오토 폰 합스부르크]]의 동생인 카를 루드비히의 2남(셋째)이다.][br]슬하 3남 2녀 || || '''1남''' || [[앙리(룩셈부르크)|룩셈부르크 대공 앙리]][br]{{{-2 (Henri, Grand Duke of Luxembourg)}}} || [[1955년]] [[4월 16일]] || [[마리아 테레사 메스트레 이 바티스타]][br]슬하 4남 1녀 || ||<|2> '''2남''' ||<|2> 장 공자[br]{{{-2 (Prince Jean)}}} ||<|2> [[1957년]] [[5월 15일]] || --엘렌 수잔나 베스터--[* 2004년 이혼][br]슬하 3남 1녀 || ||<#F0F8FF,#001b33> 다이안 드 게흐 || || '''2녀''' || 리히텐슈타인의 공자비 마르가레타[br]{{{-2 (Princess Margaretha of Liechtenstein)}}} || [[1957년]] [[5월 15일]] || 리히텐슈타인 공자 니콜라우스[* 프란츠 요제프 2세의 3남이자 [[한스 아담 2세]]의 동생이다.][br]슬하 2남 2녀 || || '''3남''' || 기욤 공자[br]{{{-2 (Prince Guillaume)}}} || [[1963년]] [[5월 1일]] || 시빌라 산드라 웨일러[br]슬하 3남 1녀 || == 여담 == * [[합스부르크 가문]]의 마지막 황후 [[지타 황후]]의 조카(남동생 펠릭스 공자(1893~1970)의 아들)이자, [[미하이 1세]]의 부인 안 왕비(1923~2016),[* 아버지 펠렉스 공자와 지타 황후의 남동생 르네 공자(1894~1962)의 딸] [[불가리아 왕국]]의 차르 [[보리스 3세]][* 아버지 펠릭스 공자의 이복누나인 마리아 루이사 공녀(1870~1899)의 아들. 활동한 시기도, 국가도 완전히 달라서 그다지 접점이 없어 보이지만 실제로는 친척이다.]와 사촌이다. * [[프랑스]]의 [[조르주 퐁피두]] 전 대통령은 말년에 룩셈부르크의 발전을 극찬하면서 "[[유럽]]이 [[입헌군주제]]를 채택해야 한다면 그 모델은 룩셈부르크여야 한다."고 말했다. * 1984년부터 2000년까지 [[대령]] 계급장을 달고 영국의 정기 군대 사열식에서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을 수행하였다. * 룩셈부르크의 현대 미술관인 무담 미술관은 그의 통치 기간을 기리기 위해 2006년 7월부터 이름을 장 박물관으로 개칭했다. 개명식에는 그도 직접 참석했다. * 장 대공의 아버지가 보르보네-파르마 가문[* [[부르봉 왕조]]의 방계 가문으로 [[스페인 국왕]] [[펠리페 5세]]의 6남인 [[파르마 공국]]의 공작 [[필리포 1세(파르마)|필리포 1세]]로부터 내려오는 분가.]의 펠릭스 공자이기 때문에 그의 즉위로 대공가는 [[나사우 가문|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에서 부르봉-파름 가문[* 보르보네-파르마(Borbone-Parma)의 프랑스어 발음.]으로 교체되었으나, 장 대공의 아들들의 결혼과 관련해서 보르보네-파르마 가문 본가와 [[귀천상혼]] 논란이 생기자 1987년 보르보네-파르마 가문과의 관계를 끊었고 현재까지 어머니의 가문인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을 유지하고 있다. 단, 1995년 다시 화해를 하여 본인 및 직계를 제외한 다른 아들들과 손자들부터는 다시 정상적으로 부르봉-파름 공자(Prënz vu Bourbon-Parma) 칭호를 사용하고 있다. * 적어도 [[중세]] 이후 재위한 세계의 모든 군주들 가운데서 가장 장수했다('''98세''').참고로 [[장수왕]]이 97세로 승하했다. [[실제로 장수한 군주들#s-4|기록상 100세를 넘긴 군주들]]도 몇 있지만 모두 기원전 사람들로 사실상 신화의 영역이고, [[태조대왕]]의 경우 기록의 신빙성이 의심되기 때문에, 검증이 가능한 역사 이래 가장 장수한 군주라고 봐도 된다. * 장이 죽은지 약 1년 후인 2020년 5월 10일에 그의 장증손자[* 장의 장남인 [[앙리(룩셈부르크)|앙리]]의 장남인 [[기욤 장 조제프 마리|기욤]]의 장남] [[샤를 장 필리프 조제프 마리 기욤|샤를]]이 태어났다. 1년만 더 생존했다면 장증손자를 봤을 텐데 아쉽게도 생전에 못 보고 타계했다.[* 장증손자 이외의 다른 증손자들은 장 대공 생전에 몇명 태어났다.] [[분류:룩셈부르크 대공]][[분류: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분류:부르봉파르마 가문]][[분류:1921년 출생]][[분류:2019년 사망]][[분류:룩셈부르크 구 출신 인물]][[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퇴위한 군주]][[분류:가터 훈장]][[분류:프랑스계 인물]][[분류:노트르담 성당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