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장도'라는 이름의 섬은 [[대한민국]] 곳곳에 산재해 있다. 그 중 몇몇 섬은 [[간척|매립되어 육지화]]되면서 사라진 곳도 있다. == [[전라남도]] == === [[보성군]] === 獐島.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장도리(행정표준코드 4678025340)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에 있는 유인도이다. 면적 2.237㎢. 보성군 주민 대부분이 이 섬의 존재를 모른다. 그리고 사실 벌교[[꼬막]]이 가장 많이 나오는 곳이 이곳인데, 오히려 벌교 본토에 묻혔다. 역사도 파란만장한데, 원래 [[고흥군]] 동강면의 땅이기도 했었다. --결국 고흥군은 꼬막의 종주국 자격을 벌교에 내준 채 새로운 산업을 육성하고자 [[나로호]]를 발사했다-- 그 결과 1983년 2월 15일에 벌교읍에 편입된 이후 장도는 벌교읍 [[장도리]]라는 기막힌 네이밍을 가지게 되었다. 덕분에 [[특이한 지명/대한민국]] 사례에 실리게 되었다. === [[여수시]] === ==== 율촌면 ==== 獐島. 조선 초기 여수현이 순천도호부 소속으로 강등된 이후 현재의 여수시 율촌면 여동리에 있던 섬이다. 현재는 매립되어 율촌산단 내 장도공원으로 조성되었으며, 위성사진상에서 매립지 남동쪽에 있는 도로에 둘러싸인 작은 산 부분이다. [[조선왕조실록]] 태종실록에 나오는 코끼리의 유배지 중 한곳으로 순천부 장도가 언급되는데, 당시에는 순천도호부와 [[낙안군]]이 별개의 행정구역이였기에 기록을 그대로 따르면 당시 코끼리가 유배를 갔다고 하는 순천부 장도가 이 섬으로 추정된다.[[http://sillok.history.go.kr/id/kca_11405003_004|태종14년의 코끼리 기록]] ==== 시전동(웅천동) ==== 웅천지구 신도시 앞바다에 있는 무인도. [[조석|간조]]시 잠겨 있던 바닷길이 드러나 육지와 연결된다. [[GS칼텍스]]가 조성한 문화예술공간 예울마루에 속해 있다. === [[신안군]] === ==== 장산면 ==== 獐島. 장산도 동쪽에 있는 팽진리 관할의 무인도. ==== 지도읍 ==== 지도와 증도 사이에 있는 사옥도의 서쪽 일부가 된 섬. 주변 작은 섬들과 연결되면서 사라졌다. 현재의 당촌리 일대에 해당된다. ==== 하의면 ==== 長島. 하의도 서쪽에 있는 무인도. 능산도, 대야도, 신도 등이 속한 능산리 관할이다. ==== 팔금면 ==== 팔금도 동쪽에 있는 진고리 관할의 무인도. ==== 흑산면 ==== 長島. [[흑산도]] 서쪽에 있는 비리 관할의 유인도. 정확하게는 유인도인 대장도(大長島)와 무인도인 소장도(小長島)로 나뉘어 있다. 흑산도, [[홍도]]와 함께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한다. 대장도에 장도산지습지(長島山地濕地)가 있다. === [[완도군]] === ==== 금일읍 ==== 長島. 평일도 남동쪽에 멀리 떨어져 있는 유인도. 근처의 원도와 함께 장원리를 이룬다. 면적 1.1㎢.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320678|#]] 1970년의 문화영화 <선착장>[[https://www.youtube.com/watch?v=q6kETsqXDo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에 등장하던 당시에는 주민 30호에 학생 수가 무려 34명이나 있었으나, 2017년 기준으로는 노부부만 살고 있다. 이 섬 옆에는 [[대마도]]와 소마도라는 무인도가 붙어 있다. ==== 청산면 ==== 長島. 청산도 북서쪽에 있는 [[지리]] 관할의 유인도. ==== 완도읍 ==== 將島. 장좌리 관할의 무인도로, [[청해진]]이 있던 유적지이다. 완도와 다리로 연결되어 있으며 인근 지역은 [[장보고]] 관련 관광지화 되었다. === [[진도군]] === 長島. 지산면 서쪽에 있는 가학리 관할의 유인도. === [[영암군]] === 獐島. 삼호읍 산호리에 있던 섬. 1918년 우근방조제가 축조되고 바다와 갯벌이 간척되어 농경지로 변하면서 현재는 육지화되었으며, 위성사진으로 보면 간척지의 반듯한 사각형 농지 가운데 도로(금곡동암길)로 둘러싸인 지역이 옛 섬이었던 곳이다. == [[경상남도]] == === [[하동군]] === 長島. 금남면 대도리 관할의 무인도. 하동군의 섬 중 유일하게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속해 있다. === [[통영시]] === 도천동(인평동) 서쪽에 있는 무인도. 여기도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속한다. 위성사진으로 보면 섬 북쪽에 양식장 시설물 같은 것이 붙어 있다. == [[인천광역시]] == === [[서구(인천광역시)|서구]] === 獐島. 당시 경서동(현 청라동) 북서쪽 끝부분에 있던 섬. 노루가 많이 산다고 하여 일명 노렴, 노루염이라고도 했다. [[청라지구]] 간척 시 육지화되었으며,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의 영종대교 휴게소와 [[북인천IC]]가 위치해 있다. == [[남동구]] == 獐島. 논현동 최남단 [[소래포구]]에 있던 섬. 소래포구 인근을 개발하면서 간척되었다. 구 협궤 [[수인선]]이 지나던 곳으로, [[소래철교|폐철교]]를 개조해 인도교로 사용 중이다. 조선시대 해안방어초소였던 '장도포대지'라는 유적지가 있다. [[분류:전라남도의 섬]][[분류:경상남도의 섬]][[분류:인천광역시의 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