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근육]][[분류:다리(신체)]][[분류:발]] [include(틀:근육)] ||||
{{{#ffffff ''' ''triceps surae'' '''}}}[br]{{{#ffffff ''' ''(장딴지세갈래근, 하퇴삼두근)'' '''}}} || |||| [[파일:장딴지세갈래근.jp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장딴지세갈래근(triceps surae muscle)은 종아리 뒤칸에 존재하는 [[장딴지근]](gastrocnemius m.)과 [[가자미근]](soleus m.)을 묶어서 지칭하는 용어이다. 장딴지근이 가쪽갈래(lateral head)와 안쪽갈래(medial head)의 두 갈래로 구성된 근육이기 때문에 두 근육을 묶어서 '세갈래근'이라고 부른다. 이 근육들은 인간의 [[체중]]을 지탱하고 [[이족보행]]과 [[직립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강력한 근육이다. == 공통점 == 두 근육 모두 발목관절에서 발바닥굽힘(plantar flexion)[* 발목이 꺾일 때, 발바닥이 밑으로 가도록 꺾이는 작용]을 일으키고, 발꿈치뼈융기에 닿을 때 [[발꿈치힘줄]]([[아킬레스건]], calcaneal tendon; Achilles tendon)을 함께 이룬 채로 닿는다. 지배받는 신경 역시 [[정강신경]](tibial n.)으로 같으며[* 종아리 뒤칸 근육들은 모두 정강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혈액을 공급받는 동맥도 뒤정강동맥(posterior tibial a.)으로 같다.[* 뒤정강동맥이 모든 종아리 뒤칸 근육에 혈액을 공급한다.] == 기능 == 강력한 근육의 힘을 통해 인간의 [[몸무게]] 전체를 지지하고 있다. 근육이 강한 만큼 두껍기 때문에 이 근육이 강하게 수축하는 동안에는 장딴지근과 가자미근을 종아리 뒷면에서 만질 수 있다. 근육의 작용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은 이 근육이 담당하는 발목관절의 발바닥굽힘이 나타날 때로, 대표적인 예로는 [[보행]], [[춤]], [[까치발]]을 설 때 등이 있다. 특히 까치발을 서서 발가락으로 서 있을 때 이 근육이 매우 강하게 작용한다. 이런 작용 외에도 이 근육의 수축은 [[정맥환류량]](venous return)을 유지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이 근육이 수축하여서 종아리 쪽의 [[정맥]]에 모인 피가 [[저류]]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중력]]을 거슬러 [[심장]]으로 돌아갈 수 있게끔 한다. == 목록 == === [[장딴지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장딴지근)] === [[가자미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가자미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