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학과)] [목차] == 개요 == [[장의사]], [[장례식]] 관련 분야 전문인을 양성하는 학과이다. 특성상 [[심리학과]], [[행정학과]], [[신학과]], [[종교학과]], [[사회복지과]]와 맥이 닿는다. [[장례지도사]]가 국가자격이 되면서 교육부가 장례지도과로 분류하였다. [[장례식장]], [[상조|상조회사]] 취업을 노리고 입학하는 학생들이 많다. 물론 연관 전공이라서 정말로 상조업계 회사에 대규모 채용이 존재한다면야 취업에 유리할 것이다. 그러나 장례식장이나 상조회사가 [[중소기업]] 규모라서 TO가 매우 적기 때문에 대부분 장의사로서 프리랜서로 일하거나 장례식장을 직접 창업하여 운영한다. 사실상 장례행정학과이다. 커리큘럼도 장례식을 진행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이 학과들이 탄생할 때만 해도 대한민국이 [[고령화사회]]가 되어가는 시기였기에 사망자가 늘면서 호황기를 누릴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었지만 지금은 의료수준이 더욱 발전하면서 사망자가 크게 증가하지 않고 있어서 좀 자조적이다. 실제로 과열된 경쟁 때문에 상조회사가 계속해서 줄고 있다.[[http://www.sangjomagazine.com/2625|#]] [[을지대학교]]를 제외하면 전문대에 학과가 설치되어 있는데, 2년제 과정으로 보통 2학년 1학기를 마친후 실습을 나간 뒤 실습한 장례식장에 취업을 하거나 따로 구직을 하여 취직한다. 교수가 추천을 해서 들어가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때 취업하지 않을 경우 상조회사에서 학교에 와서 별도로 채용하지 않는 이상 취업이 어려워 진다. 보통 2학년 2학기가 되면 취직을 못한 만학도와 취직이 결정된 사람으로 나뉜다. 장례지도과에 들어오는 학생들은 만학도나 종교인, 현직 종사자, 그리고 일반 학생 이렇게 세 부류가 있다. 만학도들은 전직 대학의 교수한테 이쪽으로 가도록 추천을 받았거나, 창업, 연구를 목적으로 돈을 벌며 수업을 받기 때문에 수업에 적극적이다. 현직 종사자들이 입학하는 경우 이미 다 아는 내용을 배우기 때문에 수업 성취도가 떨어진다고 한다. 자격증만 받기 위해 입학하는 학생들은 매우 드물다. [[Coffin Dance]]가 유행하면서 장례지도과에 대한 관심이 조금 늘었다. 실제로 장례식을 흥겹게 진행하는 의례도 배우긴 한다. == 교과 과정 == * 장례식장 경영론 실천적 경영학의 한 분야로 경영관리의 이론적 배경 하에서 장례식장의 경영 원리를 다룬다. * 장례심리학 심리학적 이해를 통해 인간이 죽음에 대해 어떻게 수용하고 이해하는지를 다룬다. * 장례학개론 상장례의 사회문화적 의미, 상장례 절차, 장례 서비스 분야에 대한 기본 이론과 현장 실무를 다룬다. * 장묘제도론 장례 및 묘지, 화장 납골 관행, 장례 및 묘지제도에 대해 다룬다. * 회복기술학 사체의 자연스러운 모습과 얼굴색을 되찾을 수 있는 회복기술학을 다룬다. * 제례학개론 제사 전반에 관해 서술한 것으로 예기집설, 주례정의, 의례 등 중요한 예들을 다룬다. == 개설 대학 == * [[서라벌대학교]] - 장례서비스경영과 * [[창원문성대학교]] - 사회복지장례과(야간) * [[대전보건대학교]] - 장례지도과 * [[부산과학기술대학교]] - 장례행정복지과 * [[을지대학교]] - 장례지도학과 [[분류:학과]][[분류:장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