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IA 타이거즈/간략(투수))] ||
'''{{{#fff 장민기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23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로고.png|width=auto&height=70]][br]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cd7f32 동메달}}}''' || || '''[[2023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FFFFFF 2023}}}]]''' || ---- ||<-5> '''{{{#ffffff [[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65번}}}''' || || [[김유신(1999)|김유신]][br](2020.8.28.~2020) || {{{+1 →}}} || '''장민기[br](2021~2022)''' || {{{+1 →}}} || [[마리오 산체스|산체스]][br](2023) || ||<-5> '''{{{#fff [[KIA 타이거즈|{{{#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46번}}}''' || || [[박진태]][br](2020~2022) || {{{+1 →}}} || '''장민기[br](2024~)'''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민기 정면 프로필.jpg|width=100%]]}}} || ||<-2> '''KIA 타이거즈 No.46''' || ||<-2> '''{{{+2 장민기}}}[br]Jang Mingi''' || ||<|2> '''출생''' ||[[2001년]] [[12월 30일]] ([age(2001-12-30)]세) || ||[[경상남도]] [[창원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사파초 - 내동중 - [[마산용마고등학교 야구부|용마고]] || || '''신체''' ||182cm, 85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KBO 리그/2021년/신인드래프트#s-3.2|2021년 2차 2라운드]] (전체 14번, [[KIA 타이거즈|KIA]]) || || '''소속팀''' ||[[KIA 타이거즈]] (2021~) || ||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22~2023) || || '''연봉''' ||3,500만 원 (16.7%↑, 2022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KIA 타이거즈]] 소속 좌완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icsArt_09-23-01.48.30.png|width=100%]]}}} || || [[마산용마고등학교 야구부|마산용마고등학교]] 시절 || 2019년 유급을 한 뒤 2020년 3학년 시절 최고 147km/h의 구속과 함께 35⅓이닝 13피안타 20사사구 52K ERA 1.08을 기록했다. 사사구가 많은 편인데 좋을 때와 안 좋을 때 제구의 기복이 심했다고 한다. === [[KIA 타이거즈]] === 10월 21일, 계약금 1억원, 연봉 3천만원에 입단 계약을 체결했다. 드래프트 동기 [[박건우(1998)|박건우]], [[이의리]], [[이승재(2000)|이승재]]와 함께 1군 스프링캠프에 합류했다. ==== 2021 시즌 ==== 스프링캠프 도중 정식선수로 등록되었음이 알려졌다. 등번호는 65번. 팀의 5선발 후보로 [[김현수(2000년 7월)|김현수]], [[장현식]], [[이의리]], [[김유신(1999)|김유신]] 등과 함께 언급되고 있다. 시범경기에서 이의리가 무시무시한 활약을 보이고 있고, 김현수 역시 준수한 활약을 하면서 잠재적 선발 자원 후보에서는 밀린 것으로 보인다. 여전히 제구는 불안정 하지만, 평균 구속을 140km/h 초반까지 끌어 올렸고 1군에서도 통할만한 구위를 보이고 있어 좌완 불펜이나 롱릴리프로 1군에 합류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개막 엔트리에 드래프트 동기 이의리, [[이승재(2000)|이승재]]와 함께 합류했다. 4월 8일 키움전에서 6회말 2사 2루에서 등판해 [[박동원]]을 삼진처리해 불을 껐으며 이후 7회에도 등판해 주자를 쌓으며 한 점을 주기는 했지만 대량 실점을 하지는 않으며 1⅓이닝 1피안타 2볼넷 1탈삼진 1실점으로 데뷔전을 마쳤다.[* 사실 같이 데뷔한 이승재나 이의리가 비정상이지 고졸 신인이 이 정도면 선방한 편이다.] 4월 9일 NC전에서 [[김재열(야구선수)|김재열]]의 뒤를 이어 나와 1⅓이닝 1사구 1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했다. 4월 11일 NC전에서 1이닝 1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했다. 4월 13일 롯데전에서 2⅓이닝 2피안타 3볼넷 4탈삼진 1실점을 기록했다. 4월 16일 SSG전에서 [[임기영]]의 뒤를 이어 나와 ⅔이닝 3볼넷 무실점을 기록했다. 이후 팀이 꾸준히 리드를 지키며 이 날 데뷔 첫 승을 수확했다. 4월 18일 SSG전에서 [[남하준|남재현]] 뒤에 등판해 ⅔이닝 1피안타 2사사구 1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했다. 13경기 중 6경기에 등판해 7⅓이닝 150구를 투구하고 있어서 혹사 논란이 있다. 이는 선발 임기영이 던진 156구와 비슷하게 던진 것이다. 4월 21일 LG전에서 넉 점 뒤진 8회말에 등판해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4월 24일 삼성전에서 [[이민우(야구선수)|이민우]]의 뒤를 이어 나와 제구가 잘 되지 않는 모습을 보이며 1⅔이닝 5볼넷 1실점을 기록했다. 4월 25일, 1군에서 말소되었다. 그동안 잘해 준 것도 있고 제구가 잘 안된 걸 봐서 잠깐의 휴식인 듯. 이후 컨디션을 회복한 것인지 5월 11일에 [[김재열(야구선수)|김재열]], [[이창진]]과 함께 1군에 등록되었다. 5월 11일 LG전에서 넉 점 앞선 5회초 1사 만루에 등판해 [[로베르토 라모스]]를 삼진 처리하고 마운드를 내려갔다. 이 날 ⅓이닝 1탈삼진 무실점으로 시즌 첫 홀드를 기록했다. 5월 12일 LG전에서 동점인 6회초 무사 1루에 등판해 [[김용의]]를 번트로 아웃시킨 이후 [[이천웅]]에게 볼넷을 내주며 1사 1,2루의 위기를 맞았으나 [[정주현]]과 [[홍창기]]를 연속 삼진으로 돌려세우며 이닝을 끝냈다. 이 날 1이닝 1볼넷 2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했다. 이후 팀이 6회에 역전에 성공하며 시즌 두 번째 승리를 기록했다. 5월 14일 NC전에서 1이닝 2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했다. 5월 22일 삼성전에서 1이닝 2탈삼진 2실점 1자책을 기록했다. 5월 23일 삼성전에서 1사 만루상황에서 [[장현식]]의 뒤를 이어 등판해 [[박해민]]에게 역전 만루홈런을 맞아 장현식의 승계주자 3명을 모조리 홈으로 불러들였다. 이 날 ⅓이닝 1피안타(1피홈런) 1실점을 기록했으며 장민기의 실점이 결승점이 되어 데뷔 첫 패전을 기록했다. 5월 27일 키움전에서 석 점 뒤진 6회초에 등판해 1사 만루 위기를 맞았으나 [[김선빈]]의 호수비에 힘입어 아웃 카운트 하나를 늘리고 마운드를 내려갔다. 이후 후속투수 [[홍상삼]]이 승계주자를 불러들이지 않으며 이 날 ⅔이닝 2피안타 1볼넷 무실점을 기록했다. 5월 29일 KT전에서 한 점 앞선 5회초에 등판해 볼넷 두 개를 내주기는 했지만 [[김민식(야구선수)|김민식]]의 도루저지 등에 힘입어 이닝을 무사히 마쳤다. 이 날 1이닝 2볼넷 1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했다. 6월 5일 LG전에서 1이닝 1피안타 1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했다. 6월 6일 LG전에서 1이닝 2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했다. 6월 16일 SSG전에서 멀티이닝을 소화하면서 심한 제구난조를 보였다. 선발 [[최용준(야구선수)|최용준]]의 승계주자를 모두 분식했으며, 벌투를 의심할 정도로 투수교체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날 2이닝 1피안타 6볼넷 1탈삼진 3실점을 기록했다. 다음 날, 1군에서 말소되었다. 2군에서는 선발로 뛰는 중이다. 2군을 압도하는 성적을 거두고 있다.[[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tigers_new&no=8804440|#]] 9월 17일 1군에 콜업되었고 이날 삼성전에서 등판해 2이닝 1피안타 3사사구 1탈삼진 1실점을 기록했다. 다음 날 1군에서 말소되었다. 9월 26일 2군에서 5이닝 9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힌면서 2군 방어율을 0.99로 낮췄다. 현재 2군에서의 모습은 2군에서는 더 증명할 것이 없는 수준이다. 2군 최종 성적은 12경기에서 37⅓이닝을 소화하며 3승 1패 1홀드를 기록했으며 방어율은 1.93이다. 탈삼진은 47개, 볼넷은 16개를 기록했으며 이닝당 주자 출루 허용률도 1.15, 피안타율 역시 0.188에 불과한 우수한 성적을 기록했다. 10월 22일, 1군에 콜업되었다. 10월 24일 NC전에서 석 점 뒤진 8회말에 등판해 1이닝 1사사구 무실점을 기록했다. 10월 29일 두산전에서 1이닝 1피안타 1사사구 1탈삼진 1실점을 기록했다. 시즌 후 상무에 지원했고 1차에 합격했다. 그러나 1군 선발로 활약한 [[최채흥]]과 2군을 씹어먹은 [[이상영]] 등등 경쟁자가 빡세서 그런지 2차에서는 떨어졌다. ==== 2022 시즌 ==== 1군 표본도 나쁘지 않고, 2군은 폭격한 수준이기 때문에 1군 스프링캠프 참여가 유력했는데 참여하지 않았다. 들려오는 말로는 김현수와 함께 상무 추가모집에 지원했기 때문에 2군에서 시즌을 시작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경쟁자가 [[최채흥]], [[이상영]]이었던 지난 상무 지원과는 다르게 상반기에 전역하는 투수만 5명이라 이번 지원은 합격 가능성이 높은 편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4월 26일 상무 야구단 추가 모집에 합격하면서 이른 나이에 군복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5월 2일 입대 예정. ==== [[상무 피닉스 야구단]] ==== 2022 시즌 도중 입대 후, 잔부상 및 투구 밸런스 문제로 인해 복무 동안 많은 경기를 던지지 못했다. 전역 이후에는 46번을 받았다. ==== 2024 시즌 ==== 시즌 전 팀 동료인 [[강동훈(야구선수)|강동훈]]과 함께 [[2023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 발탁되었다.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민기 알테어삼진.gif|width=100%]]}}} || 직구와 슬라이더를 주로 던지며, 오프스피드 피치로는 포크볼을 사용한다. 포크볼은 용마고 재학 시절 [[조정훈(야구선수)|조정훈]]에게 배운 것으로 보인다. 고등학교 때의 최고 구속만 놓고 보면 매우 훌륭하나, 하체를 잘쓰지 못해 어깨와 머리가 고정되지 못하며 밸런스가 완전치 않아 제구의 기복이 심한 편이며, 최고 구속과 평균 구속의 차이가 상당히 컸다.[* 평균 137km/h, 최고 147km/h] 다만 투구시 타점이 높아 평균 137km/h의 공으로도 많은 삼진을 잡아냈었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7>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00]]]] {{{#FFFFFF '''장민기의 역대 KBO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sWAR || || 2021 ||<|3> [[KIA 타이거즈|KIA]] || 21 || 2 || 1 || 0 || 2 || 23⅓ || 3.47 || 13 || 1 || 29 || 4 || 22 || 1.80 || 128.1 || 0.43 || || 2022 ||<-15> 1군 기록 없음 및 군 복무([[상무 피닉스 야구단]]) || || 2023 ||<-15> 군 복무 ([[상무 피닉스 야구단]]) || ||<-2> '''[[KBO 리그|KBO]] 통산[br](1시즌)''' || 21 || 2 || 1 || 0 || 2 || 23⅓ || 3.47 || 13 || 1 || 29 || 4 || 22 || 1.80 || 128.1 || 0.43 || == 여담 == * 고등학교 때, 간식을 많이 사줘 별명이 장사장이었다고 한다. * [[추신수]]가 [[SSG 랜더스]]에 입단한 이후, 추신수에게 홈런을 맞고 싶다는 평범하지 않은 포부를 밝혀 주목을 받았다. * [[송민호]]와 은근 닮았다. * 작년 [[정해영]]은 팀의 부족한 투수 사정으로 인해 고졸 신인임에도 많은 경기에 나와서 강제 신인왕 후보가 되었는데, 장민기도 비슷한 코스를 밟고 있다. * 이의리 저리가라 할 정도로 똘끼 넘치는 멘탈을 가지고 있다. * 투수가 데뷔 첫 승을 거두면 그 기념구를 챙기기 마련인데, 첫 승을 거둔 등판 당시 스스로 너무 못했다고 생각해서 기념구를 챙기지 않았다고 한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2001년 출생]][[분류:2021년 데뷔]][[분류:창원시 출신 인물]][[분류:마산용마고등학교 출신]][[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KIA 타이거즈/현역]][[분류:상무 피닉스 야구단/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