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정치인]][[분류:용천군 출신 인물]][[분류:1939년 출생]][[분류:민주당(2005년) 대표]][[분류:이화여자대학교 총장]][[분류:실향민]][[분류:상장군계 인동 장씨]][[분류:이화여자대학교 재직]][[분류:숙명여자중학교 출신]][[분류:숙명여자고등학교 출신]][[분류:이화여자대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장로회 목사]][[분류:국무총리 서리·직무대행]][[분류:국민의 정부/인사]] ||<#00736d> '''{{{#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국무총리 서리 및 직무대행)] [include(틀:민주당(2005년) 대표)] [include(틀:역대 이화여자대학교 총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736d, #00736d 20%, #00736d 80%, #00736d)" '''{{{#fff {{{+1 장상}}}[br]張裳 | Chang Sa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상.jpg|width=100%]]}}} || ||<|2> '''출생''' ||[[1939년]] [[10월 3일]] ([age(1939-10-03)]세) || ||[[평안북도]] [[용천군]] 북중면 || || '''학력''' ||[[숙명여자중학교]] {{{-2 (졸업)}}}[br][[숙명여자고등학교]] {{{-2 (졸업)}}}[br][[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현재는 수학과가 [[이화여자대학교/학부/자연과학대학|자연과학대학]] 소속이지만, 장상이 재학하던 시절에는 [[이화여자대학교/학부/사범대학|사범대학]] 소속이었다.] {{{-2 (수학 / 학사)}}}[br][[연세대학교 신과대학]] {{{-2 (신학 / 학사)}}}[br][[예일대학교]] {{{-2 (신학 / 석사)}}}[br][[프린스턴 신학교|프린스턴신학교]] {{{-2 (신학 / 박사)}}}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목사]], 신학자, 교육자. [[이화여자대학교]] 제11대 총장. 본관은 [[장(성씨)|인동]](仁同). [[종교]]는 [[개신교]]([[한국기독교장로회]])로, [[목사]]이기도 하다. 남편 박준서도 신학자로,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교수 및 부총장, [[경인여자대학교]] 총장 등을 지냈다. 슬하에 2남을 두고 있다. == 생애 == 1939년 10월 3일, [[평안북도]] [[용천군]] 북중면[[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040426/8054892/1|#]]에서 독실한 [[개신교]] 신자 가정의 2녀 중 [[차녀]]로 태어났다. 4살 때 아버지 장수근(張壽根)[* 1883년(고종 20) 식년 문과에 급제[[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c_1883_014276|#]]해 [[평안북도]] [[곽산군]]수를 지낸 장익후(張益厚)의 4남으로, [[일본]]에 [[유학]]해 영문학을 공부했다.]을 여의었고, 8살이던 1947년 어머니 김봉현(金鳳鉉)과 함께 [[삼팔선]]을 넘어 월남했다.[* 10살 위였던 언니 장란(張蘭)은 일찌감치 [[서울]] [[진명여학교]]로 유학을 가 있었다.] 11살이던 1950년 [[6.25 전쟁]]이 터져, 가족들과 함께 피난을 다니며 초등학교를 여러 번 옮겼고, 피난민 학생들을 위한 임시학교인 대전종합중학교에 다니다가 휴전된 후 서울 [[숙명여자중학교]]에 [[편입학]]했다. [[숙명여자중학교]]와 [[숙명여자고등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했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8022700329204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58-02-27&officeId=00032&pageNo=4&printNo=3897&publishType=00020|#]] 성적이 우수하여 중고등학교 내내 장학금을 받았으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수학과]]까지 4년 전액 장학생으로 다녔다. 공부 외에도 다양한 활동들을 열심히 했으며, 당시 총장을 지낸 [[김활란]], [[김옥길]] 등 교수들로부터도 총애를 받았다. 대학 2학년 때는 수학과 퀸으로 뽑혀, [[메이퀸(미인대회)|메이퀸]][* 과거 여러 대학에서 5월마다 했던, 일종의 미인대회. 용모, 성적, 재능, 품성 등등을 두루 고려하여 선발하며, 학교의 스타 내지는 [[아이돌]]처럼 여겨졌다. 각 학과마다 퀸을 뽑고, 그 중에서 또 학교 전체 퀸을 뽑았다.] 행렬에 참가하기도 했다. 독실한 크리스천 가정에서 태어나 자란 영향으로, 장상은 전공인 [[수학]]뿐 아니라 [[신학]]에도 깊은 관심을 가졌다. 장상이 입학한 이후로 이화여대에 [[기독교학과]]가 신설되었고, 장상은 기독교학과로의 [[전과(학교)|전과]]도 생각했지만, 교수들로부터 조언을 듣고 졸업 후에 신학ㆍ기독교학을 공부하기로 마음먹었다. 수학과 신학 사이에서 갈등도 했지만, 훗날 그녀는 "수학 공부를 통해 논리력과 사고력을 기를 수 있었고, 결과적으로 신학 공부에도 큰 도움이 되었다"고 회고했다. 이대 졸업 후에는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에 [[편입학]]했는데, 이때 남편 박준서를 처음 만났다. 그는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출신의 편입생으로, 법조인보다 신학자의 길에 뜻을 가지게 되어 연세대 신학과에 편입했다고 한다. 연세대 신학과를 졸업한 후 1967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예일대학교]] 신학대학원(석사)과 [[프린스턴 신학교]](박사)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마침 박준서도 같은 학교에 유학 와 있어서 장상은 박준서와 재회하게 되었고, 두 사람은 미국에서 결혼식을 올리고 학생 부부가 되었다. 미국에서 공부하던 중인 1973년에 장남 박찬우([age(1973-01-01)]세)를 낳았는데, 나중에 장상이 [[국무총리]] 후보에 올랐을 때 장남의 [[국적]] 문제가 말썽이 되었다. 장상과 박준서는 미국에서 공부하고, 아기를 키우고, 학비와 생활비에 보태기 위해 일까지 하며 바쁘게 살다가,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1977년 한국으로 귀국했다. 1978년 [[신촌세브란스병원]]에서 차남 박찬석([age(1978-01-01)]세)이 태어났다. 귀국 후에는 [[이화여자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기독교학과]] [[교수]] 및 부총장, [[총장]]을 역임하였다. 줄곧 독신 여성들만[* [[이화학당]]의 창립자인 [[메리 스크랜턴]] 초대 총장을 제외한 역대 총장 전원이 미혼이었고, 메리 스크랜턴도 52세에 한국에 올 당시에는 과부여서 남편이 없었다. 대신 장성한 아들 윌리엄 스크랜턴과 함께 한국에 와서 [[선교]]활동을 했다.] 이화여대의 총장을 맡아왔던 관례를 깨고, 기혼 여성으로서 총장이 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2002년 [[김대중]] 대통령에 의해 최초의 여성 [[국무총리]] 후보로 지명되었으나,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장남의 [[이중국적]] 또는 미국 국적 취득, 병역 기피 의혹, 부동산 투기와 이를 위한 위장전입, 집의 크기, 많은 예금액수가 언론 지면에 다뤄지면서 국민들의 공분을 사, 결국 낙마했다.[* 최초의 여성 총리는 [[한명숙]]이 됐다.][*하지만 2008년 정권교체 후 치러진 인사청문회는 무난하게 통과한 사람이 단 2명([[김태영(군인)|김태영]] 국방부장관, [[김황식(1948)|김황식]] 총리)에 불과했다. 선진제도로 도입된 [[인사청문회]] 제도가 자리잡는 과도기 시절의 지도층 인사들이 당면할 수밖에 없는 풍경이긴 했지만, 아무튼 이 무렵 [[한겨레신문]]에서, 장상 전 총리지명자가 '''"내게 적용한 그 엄격한 잣대 어디 갔느냐?"'''며 화를 내는 모습을 그린 만평을 기재했을 만큼, 인사청문회는 당시 세간에 매우 흥미로운 대화소재였다.] 이후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새천년민주당|민주당]] 공동대표, 대표를 역임하였다. 2008년 [[민주당(2008년)|민주당]] 전당대회 이후 최고위원을 역임하였다. [[문국현]]이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직을 상실하게 되어 치러진 [[2010년 재보궐선거]]에서 [[민주당(2008년)|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은평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문국현 이전까지 계속 터줏대감으로 지내오던 [[한나라당]] [[이재오]] 후보가 지역구를 탈환함에 따라 낙선하였다. <지금도 나는 꿈을 꾼다>는 제목의 자서전을 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0 || [[2010년 재보궐선거#s-2|상반기 재보궐선거]][br]([[제18대 국회의원|국회의원]]) || 서울 [[은평구 을|은평 을]]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33,048 (39.90%) || 낙선 (2위) || [* 전임자 [[문국현]] 당선무효]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장상, version=44, paragraph=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