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개요 || ||||<-2> [[파일: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 로고.png|width=20%]] || || 정식명칭 || 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 || || 영문명칭 || Support Center For Workers with Disabilites || || 설립일 || [[2020년]] [[7월 1일]][* 서울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부터 개소되었다.] || || 사업 목표 || 장애인근로자 권익보호와 복지향상과 고용불안해소를 통한 장애 친화적 환경 구축 || |||| [[https://www.sscwd.or.kr/|서울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 [[강원도]] 포함] [[https://www.bscwd.or.kr/|부산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 [[https://www.dgscwd.or.kr/|대구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 [[http://www.kscwd.or.kr/|광주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 [[https://www.dscwd.or.kr/|대전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 [[https://www.gscwd.or.kr/|경기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 ||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장애인 근로자 전용 노동 관련 센터. 2020년 6월말부터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위탁을 받아 개소했으며, 장애인 근로자들이 겪는 각종 문제에 대해서 상담과 처리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장애인 근로자들을 힐링시키기 위해 각종 행사나 이벤트들을 간간히 준비하고 있다. 주로 많이 들어오는 상담은 [[권고사직]], 부당[[해고]] 또는 [[정리해고]] 및 [[구조조정]]으로 인한 장애인 근로자의 실직 위험, 부당[[대기발령]][* 또는 [[직위해제]]], [[직장 내 괴롭힘]], [[장애인 차별]], [[근로기준법]] 위반, [[임금체불]]이며 그 외 각종 다양한 상담이 들어온다. 일단 센터에 방문이나 전화 상담을 요청하면 상담 실장 또는 상담 담당자가 장애인 근로자의 고충을 들어주며, 필요시 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에 협력해주는 여러 [[변호사]]들과 [[공인노무사]]들이 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 직원들과 합을 맞추어 장애인 근로자를 구제해주는 역할을 한다. 센터 로고의 메시지는 '''도약하는 근로자'''이며, 근로자와 지원 센터의 앞글자 초성인 "ㄱ", "ㅈ", "ㅅ"을 심벌화 한 디자인으로 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의 지원을 통한 근로자의 도약과 비상을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심벌의 형상은 지원센터를 상징하는 사람이 떠받치고 그 기반 위에서 진취적으로 활동하는 근로자의 기상과 비전을 표현하였다고 설명했다. == 관련 서비스 == 1. 장애인근로자 권익보호와 복지향상과 고용불안해소를 통한 장애 친화적 환경 구축 2. 고충문제 해결 중재 및 조정 3. 현장기동반(중증장애인 찾아가는 서비스) 운영 4. 생애주기 맞춤형 지원 5. 요일별 전문상담원 배치 6. 화해와 치유 프로그램 운영 7. 상담사례 발표 및 세미나 8. 직장내에서 부딪히는 여러 가지 문제 상담 9. 직장 내 화해, 조정 및 중재지원 10. 심리치료 등 화해 프로그램 가동 11. 상담받을 내용 온라인으로 신청 12. 변호사 노무사 배정 및 상담일정 배정 13. 센터 면대면으로 문제해결 14. 필요시 공단관할 지사를 통해 재취업 == 같이 보기 ==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 [[고용노동부]] * [[노동위원회]] * [[중앙노동위원회]] * [[근로기준법]] * [[노동법]] * [[장애인]] * [[장애인 차별]] * [[장애혐오]] * [[에이블리즘]] * [[장애인 인권]] [[분류:2020년 설립]][[분류:노동법]][[분류: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