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정순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한화 이글스 역대 1차 지명선수)] ---- ||
'''{{{#000 장정순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빙그레 이글스|'''{{{#ffffff 빙그레 이글스}}}''']]{{{/}}}[[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41번}}}''' || || 김수길[br](1986~1987) || {{{+1 →}}} || '''{{{#ffffff 장정순[br](1988~1994)}}}''' || {{{+1 →}}} || 권근한[br](1995~1996) || ||<-5> '''{{{#fff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21번}}}''' || || [[한희민]][br](1993) || {{{+1 →}}} || '''{{{#0047ab 장정순[br](1995~1997)}}}''' || {{{+1 →}}} || [[박동희(야구선수)|박동희]][br](1998~2002) || }}} || }}} || ||<-2> [[파일:external/static.inven.co.kr/88750931.png|width=100%]] 빙그레 이글스 선수 시절. || ||<-2> '''{{{+2 장정순}}}[br]張定淳 | Jeong-soon Jang''' || ||<|2> '''출생''' ||[[1964년]] [[8월 1일]] ([age(1964-08-01)]세) || ||[[충청북도]] [[청주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청주우암초 - [[청주중학교|청주중]] - [[청주고등학교 야구부|청주고]] - [[경성대학교 야구부|경성대]]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88년/신인드래프트#s-2|1988년 1차 지명]] ([[빙그레 이글스|빙그레]]) || || '''소속팀''' ||[[빙그레 이글스|빙그레]]-[[한화 이글스]] (1988~1994) [br] [[삼성 라이온즈]] (1995~1997) || || '''지도자''' ||[[세한대학교 야구부|대불대학교 야구부]] 감독 [br] [[청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3~2016)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빙그레 - 한화 이글스, 삼성 라이온즈 소속 야구선수. 前 청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 선수 경력 == 1988년 KBO 리그 신인 드래프트 1차 2순위로 [[빙그레 이글스]]에 입단하여 1990년까지 불펜투수로 뛰다가 1991년 부터 선발직으로 전환하는데. 그 결과는 1991년 2.95의 평균자책점과 10승 7패 3세이브를 거두며 당당히 빙그레의 강력한 선발진의 한 축이 되었다. 92년 시즌에는 더욱 좋은 피칭을 하여 92년 빙그레의 최강 선발진에서 4선발을 맡으며 3.07의 평균자책점과 14승 7패 2세이브를 거두며 팀의 정규시즌 우승에 기여하였다. 이때 14승의 기록은 팀내 2위이자[* 당시 신인이었던 정민철과 같은 승수다.] 리그 6위의 성적이다.[* 빙그레 외 장정순보다 많은 승리를 기록한 투수는 해태의 이강철(18승), 롯데의 염종석(17승), 윤학길(17승), OB의 장호연(16승) 등이 있었다.] 평균자책점도 8위를 기록하며 커리어하이 시즌을 보냈다. 그러나 그 이후로 기량이 쇠퇴하여 1993년 시즌에는 4.40에 5승 7패를 기록하더니 그 뒤로 성적이 점점 떨어져 1994년 시즌 후 삼성으로 [[이정훈(1963)|이정훈]]과 더불어 트레이드가 되었고[* [[정영규]]+[[정경훈(야구선수)|정경훈]]↔이정훈+장정순.] 삼성에서도 별다른 활약을 못한채 1997년 은퇴를 하게 된다. 통산 기록은 37승 32패 16세이브 ERA 3.41. == 은퇴 이후 == 은퇴 이후 여러 지도자 직을 맡았다. 2010년에는 세계대학 야구선수권 대회에서 국가대표 코치를 맡기도 했는데, [[세한대학교 야구부|대불대]] 감독 시절 학생을 스파이크로 때려서 중상을 입히고 짤리고 [[청주고등학교 야구부|청주고]] 감독으로 부임해서도 학생들 폭력에 학부모 폭력, 청주중 감독까지 폭행하더니[* 장정순 감독의 막내 아들이 청주중 1학년 야구부 학생일때, 아들을 청주중에서 운동을 시키는게 아니고, 청주고 선수들과 같이 직접 지도를 했다고 한다. 어느날 청주중 조성곤 감독과 장정순 감독이 술자리를 하는데 청주중 감독이 "선배님 아드님을 저희 학교에 보내셨으니 이젠 저를 믿으시고 저에게 지도를 맡겨주시죠" 라고 했는데, 장정순 감독이 욕을 하면서면서 옆에 있던 술병으로 조성곤 감독에 머리를 내리쳤고, 이 일로 조성곤 감독은 머리를 크게 다쳐서 의식을 잃고 병원으로 후송되어 큰 수술을 받았으며, 이에 술이 번쩍 깬 장정순 감독은 자기 부인까지 대동하여 병원으로 찾아가서 무릎을 꿇고 빌었다고 한다.] 신고선수가 되려면 돈이 필요하다고 해서 뒷돈까지 받았다고 한다. 은퇴 이후의 행보가 참 안 좋은 케이스. 이래놓고 정신 못차렸는지 또 [[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1835&iid=4969914&oid=001&aid=0008707771&ptype=021|사고]]를 쳤다. 기사에는 1990년대 프로야구에서 투수로 뛴 B씨는 이 학교에서 4년째 지휘봉을 잡아왔다라며 실명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진 않았지만, 청주 지역에 야구부가 있는 학교는 [[세광고등학교 야구부|세광고]]와 [[청주고등학교 야구부|청주고]] 둘 뿐이다. 세광고의 감독 김용선[* 2020년 팀을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준우승으로 이끄는 등 지도력을 인정받고 있다. 중학교 유망주 스카우트에도 공을 들여 2021년의 세광고 전력이 탄탄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야구뿐만 아니라 인성교육을 중시하여 세광고의 결승전 상대팀이었던 덕수고 정윤진 감독으로부터 세광고 선수들이 너무 착하다면서 칭찬을 받았다.]은 내야수 출신이니 청주 지역 고교의 투수 출신 감독 하면 누구나 장정순이라는걸 대번에 알 수 있다. 왜냐면, 빙그레에 1988년에 입단해 1994년 시즌 후, 삼성으로 이적해 1996년까지 현역 선수로 뛰었고, 투수였으며, 2013년에 청주고 감독으로 부임하여 올해로 4년차가 되었기 때문이다. 결국 2016년 9월 26일 기사에 뜬바로는 청주고 감독으로서의 직무가 정지되고, 학생들과 격리된 상태라고 한다. 언론에 까지 탄 이상 더는 청주고 감독 자리를 유지하기는 힘들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야구계에서 더는 코치, 감독으로 활동하기 힘들어 보인다. 참고로 이 선수들을 구타한 사유가 가관인데, 선수들이 밥을 천천히 먹어서 라고 한다. 그리고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001&aid=0008709973|충북교육청에서 징계절차에 착수 했다고 한다.]] 이 와중에 일부 학부모들은 장정순의 폭행에 대해 [[개소리|훈육 차원으로 받아들인다며]] 선처를 [[https://www.cbe.go.kr/home/sub.php?menukey=1642&mod=view&no=485671|호소]]하고 있다고 한다. 그럼에도 일부 몰지각한 학부모들에 의해 놀랍게도 청주고의 인스트럭터로 잠시 복귀했으나 결국 충북체육회로 부터 [[자격정지]] 2년의 징계를 받게 되었다. 처벌의 수위가 매우 약함에도 일부 몰지각한 학부모들은 여전히 처벌을 반대하고 있다고 한다. 한편 2016년 11월 17일에 청주고등학교 동문으로 구성된 야구 후원회에서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003&aid=0007595668|청주고 야구부를 해체하라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후 장정순의 후임 감독으로 온 심정진 감독도 1년 만에 또 구타를 화순초등학교 감독 시절에 한 것이 들통나서 해임되었다. 결국 [[한화 이글스]] 프런트로 있던 [[김인철(야구인)|김인철]]이 신임 감독으로 영입되었다.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529&aid=0000015778|엠스플 탐사보도]]에서 드러난 바로는 학생들에게 백회가루를 먹이거나 소화기로 때리는 등 심각한 [[가혹행위]]를 저지르면서도 학교측의 용인을 받았다고 한다. 심지어 댓글에서 드러난 바로는(베스트 댓글 1,2 참조) 술에 취한 채로 학교로 찾아와 학생을 폭행하고, 심지어는 지금도 학생들을 협박하며 자신에게 유리한 증인으로 서라고 강요하고, 자신이 무혐의로 돌아와 복수하겠다고 으름장을 놓고있다고 한다.[* 다만 이 댓글이 네이버 댓글 마스터 등급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운동부 학생이 네이버 댓글 마스터 달기는 어렵다는 일반론에 의해서 신뢰성이 의심받는 중이다.] == 연도별 성적 == ||<-16>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1988 ||<|6> [[빙그레 이글스|빙그레]] || 13 || 32⅓ || 1 || 1 || 2 || 0.500 || 5.01 || 35 || 4 || 19 || 16 || 21 || 18 || 1.55 || || 1989 || 20 || 51⅓ || 1 || 1 || 2 || 0.500 || 3.16 || 45 || 2 || 19 || 36 || 19 || 18 || 1.25 || || 1990 || 20 || 59 || 1 || 1 || 2 || 0.500 || 2.14 || 43 || 5 || 31 || 45 || 15 || 14 || 1.24 || || 1991 || 32 || 128 || 10 || 7 || 3 || 0.588 || 2.95 || 99 || 8 || 59 || 76 || 55 || 42 || 1.21 || || 1992 || 29 || 155⅓ || 14 || 7 || 2 || 0.667 || 3.07 || 159 || 12 || 53 || 77 || 64 || 53 || 1.33 || || 1993 || 22 || 114⅔ || 5 || 7 || 1 || 0.417 || 4.40 || 107 || 15 || 43 || 71 || 61 || 56 || 1.27 || || 1994 || [[한화 이글스|한화]] || 5 || 15 || 1 || 1 || 0 || 0.500 || 3.60 || 13 || 1 || 7 || 12 || 6 || 6 || 1.27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1995 ||<|3> [[삼성 라이온즈|삼성]] ||<-14> 1군 기록 없음 || || 1996 || 28 || 67 || 3 || 7 || 4 || 0.300 || 3.63 || 60 || 6 || 31 || 52 || 30 || 27 || 1.28 || || 1997 || 7 || 12⅔ || 1 || 0 || 0 || 1.000 || 4.97 || 15 || 4 || 5 || 9 || 7 || 7 || 1.58 || ||<-2> '''[[KBO 리그]] 통산'''[br](9시즌) || 176 || 635⅓ || 37 || 32 || 16 || 0.536 || 3.41 || 576 || 57 || 267 || 394 || 278 || 241 || 1.29 || ||<-3> {{{#ffffff 완투, 완봉기록}}} || || 연도 || 완투 || 완봉 || || 1991년 || 3완투 || 0완봉 || || 1992년 || 3완투 || 1완봉 || || 1993년 || 4완투 || 0완봉 || || '''[[KBO 리그]] 통산'''[br](3시즌) || 10완투 || 1완봉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언더핸드 투수]][[분류:1964년 출생]][[분류:1988년 데뷔]][[분류:1997년 은퇴]][[분류:청주시 출신 인물]][[분류:청주중학교 출신]][[분류:청주고등학교 출신]][[분류:경성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