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후여조 황제)] ||||<-5><#000000> '''{{{#d4cd99 후여조 13대 황제[br]{{{+1 莊宗 裕皇帝 | 장종 유황제}}}}}}''' || ||<:>'''{{{#d4cd99 묘호}}}''' ||<(>'''[[장종]](莊宗)''' || ||<:>'''{{{#d4cd99 시호}}}''' ||<(>유황제(裕皇帝) || ||<:>'''{{{#d4cd99 성씨}}}''' ||<(>레(Lê / 黎 / 여) || ||<:>'''{{{#d4cd99 휘}}}''' ||<(>닌(Ninh / 寧 / 녕) || ||<:>'''{{{#d4cd99 부황}}}''' ||<(>[[소종(레)|소종]](昭宗) || ||<:>'''{{{#d4cd99 모후}}}''' ||<(>가경태후(嘉慶太后) || ||<:>'''{{{#d4cd99 생몰년도}}}''' ||<(>1514? ~ 1548년 3월 9일 || ||<:>'''{{{#d4cd99 재위 기간}}}''' ||<(>1533년 ~ 1548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베트남]] [[후 레 왕조]]의 제13대 황제이자, 중흥 여가(中興黎家)의 초대 황제. 묘호는 장종(莊宗), 시호는 유황제(裕皇帝). 휘는 여녕(黎寧). 이명은 여순(黎㫬). [[레 소종|소종]](昭宗)의 아들이자, [[레 공제|공제]](恭帝)의 조카이다. == 생애 == 여녕은 [[소종(레)|소종]]의 아들로 가경태후 범씨 소생이며 대략 1514년경에 태어난 걸로 추정된다. 즉위 전 행적은 전해지지 않는데 이를 보면 그다지 주목받진 않았던 황자로 보인다. 이후 그가 어느정도 자랐을 즈음, 황실은 [[쩐까오|진고]]의 반란과 그를 토벌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내전을 진압하고 군권을 장악한 무인 [[막당중]]이 부왕과 숙부 [[공제(레)|공제]]를 몰아내고 1527년 황위를 찬탈한다. 황실이 망해 있을데가 없어진 여녕은 남쪽으로 도주했다. 명분이 없던 찬탈극은 여조의 신하들을 포섭하지 못했고 여의(黎意)가 청화에서 봉기하며 [[막 왕조|막씨 대월]]에 저항했다. 청화의 토박이인 [[응우옌낌|완감]]은 잠주(岑州)에 거처를 마련하고 여조의 후예를 찾았으며 마침내 1532년 소종의 아들인 여녕을 찾았다. 마침 부흥군의 수장 여의도 막씨에게 처형당해 완감은 여녕을 1533년 장종으로 옹립한다. 장종이 즉위함에 따라 재건된 레 왕조를 중흥 여조(中興黎朝)라 구분한다. 하지만 말만 [[중흥]]이란 거창한 말이지, 실상은 황제 장종은 그저 완감의 괴뢰일 뿐 모든 권한은 완감이 장악했다. 이후 완감이 막조의 장수 양집일에게 위장항복으로 1545년 독살당하자 그 권한은 완감의 사위인 [[정검]]이 물려받아 베트남 역사상 유일한 [[막부]]인 [[찐씨 정권|정주]]를 세운다. 일단 괴뢰인 형태로 재건된 후여조였지만 부흥운동은 활발하여 풍극관(馮克寬), 양유경(梁有慶)을 비롯한 장수들의 도움으로 중흥여조는 고토를 탈환하고 산남(山南)지역을 막씨 대월과의 경계로 삼았다. 대월은 경계가 둘로 구분됨에 따라 약 60년간 이어질 내전기인 [[남북조시대]]가 시작된 것이다. 장종은 3년 후인 1548년 사망했고 아들인 [[중종(레)|여훤]]이 제위를 이었다. 이후에도 괴뢰가 된 여조의 황제들은 권력을 회복하지 못했고 정검의 후손들이 대신 권한을 휘두르는 막부가 유지되었다. == 기록에 대한 의문점 == 장종의 1514년 출생설을 채택하면 부왕인 소종과 나이차가 8살밖에 나지 않는데, 상식적으로 부왕과 나이차가 그렇게 적게 나는건 생물학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조혼]]은 빨라도 10대에 거행하는데 이 점은 장종이 여황실 출생인지 의문점을 들게 한다. 또한 장종이 막조의 공격으로 피난갔을 때, [[명사(역사책)|명사]](明史)엔 장종의 동생 [[레히엔|여헌]]이 1533년 섭정왕으로 연호까지 개원하고 4년간 임시로 나라를 다스렸다는데, 정작 대월사기전서에는 여헌과 관련된 기록이 없다. 당시 대월이 혼란기이긴 하나 여러모로 기록의 일치함을 보여주지 않는 왕이다. == 가계도 == * 부 : [[레 소종|소종]](昭宗) 여의 * 모 : 가경태후 * '''장종(莊宗) 여녕''' * 자(子) : 중종(中宗) 여훤 * 제(第) : 대왕(代王) 여헌(黎憲) == 참고 항목 == * [[https://zh.wikipedia.org/wiki/%E9%BB%8E%E6%98%AD%E5%AE%97|黎莊宗]] == 둘러보기(계보) == ||||||||||||||<:><#dcdcdc>[[후 레 왕조|[[파일:후여가.png|width=120]]]] [br] '''{{{+1 [[후 레 왕조|{{{#000000 후여조의 역대 황제}}}]]}}}''' || ||<:> 12대 [[레공황|공황제]] 여춘 ||<:> {{{+1 ←}}} ||<:><#000000> '''{{{#FFFFFF 13대 장종 여녕}}}''' ||<:> {{{+1 →}}} ||<:> 임시 [[레히엔|대왕]] 여헌 || ||<-5><#dcdcdc> || ||<:> 임시 [[레히엔|대왕]] 여헌 ||<:> {{{+1 ←}}} ||<:><#000000> '''{{{#FFFFFF (복위) 13대 장종 여녕}}}''' ||<:> {{{+1 →}}} ||<:> 14대 [[레중종|중종]] 여훤 || [[분류:대월 황제]][[분류:1514년 출생]][[분류:1548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