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송사)] ||<-2> {{{#ece5b6 '''{{{+1 남송의 장수[br]{{{+1 張宗顔 | 장종안}}}}}}'''}}} || || '''[[시호|{{{#fff 시호}}}]]''' ||장민(壯敏) || || '''{{{#fff 이름}}}''' ||장(張) || || '''{{{#fff 이름}}}''' ||종안(宗顔) || || '''{{{#fff 자}}}''' ||희현(希賢) || || '''{{{#fff 부친}}}''' ||장길(張吉) || || '''{{{#fff 출신}}}''' ||송(宋) 연안부(延安府) || || '''{{{#fff 생몰}}}''' ||1096년 ~ 1139년 || || '''[[주군|{{{#fff 주군}}}]]''' ||[[고종(송)|송고종]] || || '''[[국적|{{{#fff 국적}}}]]''' ||송(宋) || [목차] [clearfix] == 개요 == [[남송]]의 장수로 자는 희현(希賢). == 생애 == 1096년 연안부(延安府, 오늘날 [[산시성(섬서성)|섬서성]] 옌안시)에서 장길(張吉)의 아들로 태어났다. 장종안은 음서를 통해 삼반차직(三班借職)으로 보임되었고 벼슬이 경원로(涇原路) 부장(部將)까지 이르렀다. 이후 어영군(御營軍) 통제(統制) 장준(張俊)에 의해 통령(統領)으로 선발되어 절서(浙西) 지역의 반란을 토벌할 때 종군하였고, 수주(秀州)의 군교 서명(徐明)이 반란을 일으킬 때는 밤에 서명의 근거지를 습격하여 서명의 반란을 진압하였다. 이후 장종안은 충주(忠州) 자사로 임명되고 어전중군통제를 맡았다. [[금나라]]가 명주(明州)로 침공해오자 장종안은 금나라의 침공을 물리쳤다. 하지만 양경(楊勍)이라는 도적이 반란을 일으키고 송계현(松溪縣)을 함락시킬 때는 양경의 진압을 맡았지만 도리어 돌아와서 양경을 격퇴했다고 허위로 보고하였다가 탄핵을 받아 관직이 강등되었다. 장종안은 이후 장준이 이성(李成)을 토벌할 때 승전하여 환경로(環慶路) 마보군부총관(馬步軍副總管), 신무우군통제(神武右軍統制)로 승진하고 인주(麟州) 관찰사로 전임되었다. [[유예(남송)|유예]]가 금나라 군대를 빌려 선화진(宣化鎭)을 공격하자, 장종안은 장준의 명에 따라 유예의 후방을 공격하였지만 승리하지 못했다. 여기서 장준은 장종안을 비호하였고 이후 승전보가 날아들자 기주(沂州) 방어사가 더해졌다. 뒤이어 장종안은 군대를 이끌고 회북을 습격하여 다시 숭신군(崇信軍) 승선사(承宣使), 선무사(宣撫司) 전군통제(前軍統制)로 승진하였다. 유예가 다시 침공을 개시하자, 장종안은 후군에서 장준에 종군하여 유예의 침공을 물리치고 용신위4상도지휘사, 무신군(武信軍) 승선사로 발탁되었다. 1138년에 지여주(知廬州)를 맡았다. 적의 기병들이 성 아래까지 침입해 오자 장종안은 기병 100기를 이끌고 이를 방어해낸다. 장종안은 다음 해인 1139년에 사망하여 보정군(保靜軍) 절도사로 추증되었고 장민(壯敏)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분류:송나라/인물]][[분류:1096년 출생]][[분류:1139년 사망]][[분류:산시성(섬서성)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