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촉한의 인물, rd1=장준(촉한), other2=손오의 인물, rd2=장준(손오))] 張遵 (?~263)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대]] [[중국]]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촉한]]의 무장으로 [[장포]]의 아들이자 [[장비]]의 손자. == [[삼국지(정사)|정사 삼국지]] == 상서를 역임하다가 263년에 위나라가 촉 정벌을 하면서 [[등애]]군이 면죽관을 공격하자 [[제갈첨]], [[제갈상]], [[황숭]], [[이구(삼국지)|이구]]와 함께 출진했다가 위군과 싸우다가 전사한다. == [[삼국지연의]] == 제갈첨 휘하에서 싸우지만 제갈첨이 오나라의 구원병이 오지 않자 오래 지키는 것은 좋은 방법이라고 아니라고 하면서 제갈상과 장준에게 성을 맡겨서 지키게 했다. 삼군을 이끌고 성문 세 개를 활짝 열게 싸우러 나갔다가 전사했는데, 제갈상이 아버지 제갈첨이 죽는 것을 보고 나가려고 하자 이를 말렸지만 결국 제갈상도 나가서 싸우다가 전사했다. 등애가 그 충성을 갸륵하게 여겨 제갈첨 부자를 합장하면서 빈 틈을 타서 면죽을 공격하자 [[황숭]], [[이구(삼국지)|이구]]와 함께 각기 한 무리씩 군사를 이끌고 나와서 위군과 싸우다가 전사했다. == 미디어 믹스 == || [[파일:external/kongming.net/157-Zhang-Zun.jpg]] || || 삼국지 9, 10, 11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93.jpg|width=400]] || || 삼국지 13, 14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서도 등장하며 능력치는 특징없이 모든 능력치가 60근방이다. 그래도 작은 아버지인 [[장소(촉한)|장소]]보단 훨씬 낫다. 장팔사모를 물려받는다면 무력은 간혹 70을 넘기기도 한다. 전사한 기록 때문인지 의리도 충분히 높은 편. 원수 시스템이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장비 일족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8]]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7/무력 70/지력 60/정치력 51. 분전, 제사, 정란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작의 특징 중 하나인 최후반 시나리오(촉한 멸망)에서는 자신이 장팔사모를 가지고있고, 장팔사모에 있는 무력 보너스+5와 분투 병법이 들어가서 실질 무력은 75에 분투를 가진 장수가 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67/지력 66/정치력 61/매력 59로 능력치 총합 318에 장팔사모를 물려받는 시나리오라면 실질 무력은 5가 오른 72가 된다. 특기로는 훈련, 돌격, 삼단이 있지만 전장에 내보내기엔 무력 72 장수가 일기토 할 일도 딱히 없고 통솔력 65는 암만 인재가 부족한 촉이더라도 미묘하다. [[삼국지 11]]에도 등장하며 능력치는 통솔력 63/무력 68/지력 66/정치력 59/매력 57로 능력치 총합은 313. [[삼국지 12]]에서는 짤렸다가 [[삼국지 13]]에서 복귀했는데, 능력치는 삼국지 11 때의 능력치에서 매력만 빠진 수치이고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며 전법은 궁공강화.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3, 무력 68, 지력 66, 정치력 60, 매력 58로 전작에 비해 정치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노발, 주의는 패도, 정책은 어린강화 LV 2, 진형은 어린, 전법은 분전, 격려, 친애무장은 [[제갈첨]], 혐오무장은 없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장준, version=73, paragraph=1)] [[분류:촉한의 인물]][[분류:263년 사망]][[분류:전쟁 사망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