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민의힘 당협위원장/서울특별시)] ---- ||<-2> '''{{{#FFFFFF 국민의힘 동작구 갑 당협위원장}}}[br]{{{#ffffff {{{+1 장진영}}}[br]張眞榮 | Chang Jin-young}}}'''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장진영(정치인)_Profile.jpg|width=100%]]}}} || ||<|2> '''출생''' ||[[1971년]] [[6월 30일]] ([age(1971-06-30)]세)||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 그가 출생했던 1971년 당시에는 [[관악구]] 소속이었고, 동작구는 그가 9세였던 [[1980년]]에 분구되었다.]|| || '''현직''' ||[[국민의힘]] [[동작구 갑]] [[당협위원장]] || || '''SNS''' ||[[https://blog.naver.com/mullu70|[[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jinyoung.chang.52|[[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족''' ||배우자 방정혜[* 이화여자대학교 경영학과 학사, 석사. 미국 로드아일랜드 대학교 박사를 졸업했고 현재 [[국민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슬하 2남 1녀[* 2022년 기준 장녀는 대학생, 장남은 고3, 차남은 고1] || || '''학력''' ||서울남사초등학교 {{{-1 ([[졸업]])}}}[br][[남성중학교(서울)|남성중학교]] {{{-1 ([[졸업]])}}}[br][[성보고등학교]] {{{-1 ([[졸업]])}}}[br][[서강대학교]] {{{-1 (법학 / [[학사]])}}} || || '''병역''' ||면제,,(근시),, || || '''신체''' ||175cm || || '''종교''' ||[[개신교]] || || '''소속 정당''' ||[include(틀:국민의힘)] || || '''약력''' ||제46회 사법시험 합격[br]제36기 사법연수원 수료[br]법무법인 강호 대표변호사[br][[서강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겸임교수[br][[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소비자 정의 운영위원장[br]디도스 특검 특별수사관[br][[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최고위원]][br]국민의당 대변인[br][[국민회의(2016년)|국민회의]] 대변인[br]바른미래당 [[동작구 을|동작을]] 지역위원장[* 2018. 02. 13 ~ 06. 14.][br]바른미래당 당대표 비서실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이며 배우 [[장진영(배우)|장진영]]과는 동명이인이다. [[서강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한 후, 코오롱그룹 법무팀, 아시아나 항공사에서 직원으로 5년여를 근무한 후 [[2004년]] [[사법시험]]에 합격하면서 [[사법연수원]] 36기를 수료했다. [[새정치민주연합]]에서 정치를 시작하였으나, 2021년 현재는 국민의힘 [[동작구 갑]] 당협위원장이다. == 방송 활동 == >'''"오줌싸개 이미지는 [[길(가수)|누가]] 만든 것입니까?"''' >'''"[[이효리]] 씨는 [[유재석]] 씨에 대한 증언을 객관적인 입장에서 할 수 없는 사람입니다. 이효리 씨의 증언은 신빙성이 없다!"''' >--"저는 이효리 씨한테 관심있습니다"-- >--"아닌가요? 아님 말고요"-- >---- >[[법정공방 죄와 길]] 가장 눈에 띄는 방송 경력은 바로 2010년 2월 20일과 27일에 방영된 [[무한도전]] [[법정공방 죄와 길|죄와 길 특집]]의 [[유재석]](피고)측의 변호사로 출연했던 경력이다. 이 특집에 [[최단비]], [[판사]] 출신의 김영환과 같이 나왔으며, 최단비 변호사와는 [[사법연수원]] 동기라고 한다. 이 방송에서 원고, 증인 등에게 날카로운 질문과 함께 뛰어난 논리를 구사하면서 많은 이들을 놀라게 한 바 있다. 예를 들어, "[[유재석]]이 나에게 오줌싸개 프레임을 씌워서 나의 명예를 훼손했다"는 [[길(가수)|길]]의 주장에, 과거 길이 [[노상방뇨]]를 한 적이 있음을 무한도전 멤버들에게 스스로 고백했던 것을 반론으로 제시하며 '''"오줌싸개 이미지는 누가 만든 것입니까?"'''라고 변론했던 장면, [[이효리]]의 모든 증언들을 뒤엎어버린 장면은, 지금도 명장면으로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 방송으로 인기를 얻으면서 여러 방송에 출연하는 계기가 되었다. 2008년~2009년에 방송된 [[SBS]]의 TV로펌 솔로몬에 고정패널로 출연했었다. 이 프로그램을 계기로 무한도전에 게스트로도 출연한 것으로 보인다. 2011년 5월 24일 [[1대 100]] 202회 후반전에서 [[1대 100/1인 우승자#s-4.1|1인으로 나온 적이 있다.]] 2015년 7월 29일 [[유자식 상팔자]] 112화에서 큰딸과 같이 출연했다. [[대안학교]]에 다니는 딸과 대학 진학 문제를 두고 대립하는 모습이 그려졌고, 이후 125화 후일담에 재출연했다.[[https://news.joins.com/article/18349000|기사]] 2018년 9월부터 2019년 4월까지 [[외부자들]] 고정 패널로 출연했다. 2020년 2월 7일 [[MBC]] [[공부가 머니?]]에 두 아들과 함께 출연했다. 변호사 아빠와 교수 엄마 사이의 게임학원 다니는 아들로 화제를 끌었다.[[http://www.gp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61603|기사]] == 정치 활동 == === 정치 입문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대 총선]] 출마 === 2016년 초, 새정치민주연합이 분열하던 시기에 [[천정배]] 의원이 창당한 [[국민회의(2016년)|국민회의]]에 합류했으며, 국민회의가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과 합당하자 자연스럽게 국민의당 소속이 되었다. 2016년 4월,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대 총선]]에서 국민의당 [[서울]] [[동작구 을]] 후보로 출마했으나, 3위로 낙선했다. 다소 흥미로운 점은 이 선거의 선거결과가 1위 [[새누리당]] [[나경원]](당선), 2위 [[더불어민주당]] [[허동준]], 3위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장진영이었는데, 1-2위 표차보다 2-3위 표차가 더 적었다는 사실이다. 물론, 허동준 후보가 2014년 미니총선 때 [[https://www.youtube.com/watch?v=OTSTAdtym9E|낙천에 불복]]해 [[트롤링]]을 했던 전력이 있어서, 이에 불만이 있었던 지역구 내 더민주 지지자가 대거 장진영 후보를 찍었던 것도 크게 한몫했다.[* 참고로, 2014년 미니총선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와 허동준 후보간의 갈등은 [[동작구 을]] 문서에도 잘 나와있다.] 자세한 선거 결과는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서울특별시#s-20]] 문서 참조. 이후,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대변인으로 활동하면서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날선 비판을 자주 해서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았다. === [[바른미래당]]에서 === [[바른미래당]] 창당에 적극 찬성하며 [[박종진]], [[이언주]], [[김상민(정치인)|김상민]], [[하태경]] 등과 함께 바른미래당 팟캐스트 똘스에서 활동했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지방선거]]를 앞둔 [[2018년]] [[3월 26일]] [[서울특별시장]] 선거에 출마하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바른미래당의 서울특별시장 후보에 [[안철수]]가 경선 없이 공천되었고, 장진영 예비후보는 이러한 당 지도부의 결정을 비난하면서 항의에 나섰다. 안철수 후보에 대해서도 “안 위원장의 공정사회가 안 위원장 자신에게는 적용되지 않는 립서비스임을 확인했다.”라며 강경하게 비난을 가했다. 지금까지 장진영 예비후보가 범안철수계로 분류되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다소 놀라운 일이다. 5월 [[동작구]]청장 후보로 전략공천되었다. 캐치프라이즈는 '배달의 진영'이다. 구청장 선거에서 3위로 낙선한 뒤 6월 17일 페이스북에 [[미국]]으로 간 [[안철수]]를 비판하는 글을 올렸다.[[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6/17/2018061702194.html|#]] 2019년 5월 22일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의 비서실장에 임명됐다. 안철수와 유승민을 강력하게 비판하며, 손학규측 당권파들과 행동을 같이 했지만 손학규 본인에 의해 비서실장에서 해임되었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 및 그 이후 === 2020년 3월 민생당을 탈당한 뒤 [[미래통합당]]에 입당했다. 기존 지역구인 [[동작구 을]]에는 이미 [[나경원]]이 단수공천되어 있었으므로 [[동작구 갑]] 출마를 선언했다. 경선에서 승리하여 동작 갑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가 되었으나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후보에게 13%pt 차이로 패했다. 출마했던 3번 선거를 전부 패배하긴 했으나, 모두 15%를 넘겨 선거보전비는 전액 돌려 받았다. [[국민의힘]]에 입당한 이후로는 과거에 같이 일했던 [[안철수]]에 대한 독설을 이어가고 있다.[[https://www.yna.co.kr/view/AKR20210114143800001?input=1195m|#]] 20대 대선 당시 윤석열 후보가 안철수 후보와 단일화 하면서 당내 입지에 상당한 부담감을 느꼈는지 본인 SNS에서 안철수 후보를 비판한 글을 [[빤쓰런|삭제]]하는 행태를 보였다. 이로 인해 22대 총선에선 공천될지가 의문이다. 최연숙이나 김근태가 등판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2022년 5월 10일에 진행된 윤석열 대통령 취임식에 초청받지 못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합니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동작구 을|동작 을]])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25,133 (24.54%) ||<|2> 낙선(3위) ||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 동작구청장) || [include(틀:바른미래당)] || 35,338 (16.85%) ||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동작구 갑|동작 갑]]) || [include(틀:미래통합당)] || 54,526 (42.89%) ||낙선(2위) || ||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2 - 2013 || 정계 입문[*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05507930|#]]] || || [include(틀:민주당(2013년))] || 2013 - 2014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14 || 탈당 || || [include(틀:새정치연합)][br]([include(틀:무소속)]) || 2014 || 창당준비위원회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5 - 2016 ||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국민회의(2016년))] || 2016 || 창당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2016 - 2018 || 합당[* [[국민의당(2016년)]]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바른미래당)] || 2018 - 2020 || 합당[* [[바른정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생당)] || 2020 || 합당[* [[민주평화당]], [[대안신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20 ||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4496015|#]]]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2020 || 입당 || || [include(틀:국민의힘)] || 2020 - || 당명 변경 || == 둘러보기 == ||<-5> [[1대 100|[[파일:1vs100.png|height=60]]]] '''{{{#ffd700 역대 1인 우승자}}}''' || || '''13대''' || → || '''14대''' || → || '''15대''' || || '''2011년 1월 11일''' || → || '''2011년 5월 24일''' || → || '''2012년 2월 7일''' || || [[피터 바돌로뮤]] || → || '''장진영''' || → || [[이창명]] || || '''[[1대 100/1인 우승자#s-3.7|{{{#black 183회}}}]]''' || → || '''[[1대 100/1인 우승자#s-4.1|{{{#black 202회}}}]]''' || → || '''[[1대 100/1인 우승자#s-4.2|{{{#black 233회}}}]]''' ||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1971년 출생]][[분류:목천 장씨]][[분류:동작구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평론가]][[분류:법조인 출신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분류:성보고등학교 출신]][[분류:서강대학교 출신]][[분류:국민의힘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