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1 ''' [[노벨상|{{{#cd9f51 노벨}}}]][[노벨화학상|{{{#cd9f51 화학상}}}]] {{{#cd9f51 수상자}}} [br] ''' }}} ||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width=100px]] || ||<-3> [[노벨화학상/수상자#s-2.12|{{{#cd9f51 2016년}}}]] || || '''장피에르 소바주''' || [[프레이저 스토더트]] || 벤 페링하 || ||<-2>
<:> {{{#FFFFFF '''{{{+1 장피에르 소바주}}}[br]Jean-Pierre Sauvage'''}}}||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장피에르 소바주.jpg|width=340]]}}} || ||<:><|2> '''출생''' ||<(>[[1944년]] [[10월 21일]]([age(1944-10-21)]세) || ||<(>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 [[일드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 || ||<:> '''국적'''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25]]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1944~1946^^[br][[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25]] [[프랑스 제4공화국]]^^1946~1958^^[br][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1958~^^ || ||<:> '''직업''' ||<(>[[화학자]] || ||<:> '''분야''' ||<(>광화학[br]나노공학 || ||<:> '''학력''' ||<(>ENSCS[* 스트라스부르의 화학 특성화 그랑제콜. 현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소속 에콜 데 키미에 폴리머르 에 메테리어(ECPM) ] {{{-2 ([[화학]] / [[석사|M.S.]])}}} 루이 파스퇴르 대학교 {{{-2 ([[화학]] / [[박사|Ph.D.]])}}}[*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sudoc.abes.fr/cbs/xslt/DB=2.1//SRCH?IKT=12&TRM=004739698|Les Diaza-polyoxa-macrobicycles et leurs cryptates = 디아자폴리옥사이드 거대 두 고리와 크립테이트들(1971)]]] || ||<:> '''소속''' ||<(>[[옥스퍼드 대학교]][br]스트라스부르 대학교 ECPM[br][[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 ||<:> '''주요 업적''' ||<(> [[나노머신|MIMs]]의 합성 || ||<:> '''링크''' ||<(> [[https://www.linkedin.com/mwlite/in/jean-pierre-sauvage-94ab5545|[[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5]]]] [[https://scholar.google.com/citations?user=iMjM92AAAAAJ&hl=en&oi=ao|[[파일:구글 스칼라 아이콘.png|width=25]]]] [[https://www.scopus.com/authid/detail.uri?authorId=35515477700|[[파일:스코푸스.png|width=40]]]] [[https://isis.unistra.fr/laboratory-of-inorganic-chemistry-jean-pierre-sauvage/|Lab]] || [목차] [clearfix] == 개요 == 장피에르 소바주는 프랑스의 화학자이자 분자공학자로 나노 공학의 태동을 이끈 과학자중 한명이다. == 약력 == 1944년 10월 21일에 [[프랑스 파리]]에서 재즈 작곡가 [[https://www.imdb.com/name/nm0767132/|카밀레 소바주]] 슬하 아들로 출생했다. 장피에르 소바주가 3살이 채 되지 않은 무렵, 카밀레 소바주가 인기를 끌자 가정에 소홀해져 이혼했고, 어머니가 새로 재혼하게 되면서 어머니와 양아버지와 함께 살았다. 3살 이후 프랑스 본토를 떠나서 [[튀니지]], [[알제리]], [[미국]]에서 8살까지 거주했다. 프랑스 귀국 이후 로렌을 거쳐 15살에 [[알자스]]에 거주하기 시작했다. 16살 무렵 식물 조직에서 [[클로로필]]을 추출하는 것으로 화학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바칼로레아와 프레파를 이수하면서 에콜 네셔널레 슈페리에레 데 케미에(ENSCS)에 입학했고, 1971년 루이 파스퇴르 대학교에서 [[장 마리 렌]]의 지도 하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2년부터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포닥을 했고, ECPM의 장 마리 렌 연구소로 돌아왔다. 당시 오일쇼크로 인해 전국적으로 친환경 대체 에너지가 열풍인 시기였고, 장 마리 렌과 함께 광화학적 친환경 에너지인 수소 생산을 연구하던 도중 루테늄-피리딘, 로듐-피리딘 합성물의 광화학적 작용을 이용해 물에서 산소와 수소를 분리하는 기법을 개발한 업적으로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의 교수로 임용되었다. 그후 전자화학적 촉매인 니켈 화합물을 이용한 물에서의 이산화탄소 환원 작용으로 과산화수소형태로 수소를 분리하는 광화학적 연구를 했다. 1980년대 초반 [[퍼듀 대학교]] 교수인 데이비드 맥밀런의 구리 화합물의 유기합성 연구에 영감을 얻었다. dpp(2,9-diphenyl 1,10 phenanthroline) 1쌍을 구리 이온으로 연결해 12-crown-4로 Cu(dpp),,2,,를 이은 사슬고리로 구성한 이상적 전구물질인 2개의 유기 [[배위자]]로 연결된 구리 킬레이트 구조물을 고안했다. 여기에 합성에 관해 NMR과 여러가지 물리화학적 분석을 추가시켜 1983년에 tetrahedron letter에 연구 논문을 게시했다. 이후, 3년뒤 12-crown-4 대신, 4,4’-dimethyl 2,2’-bipyridine과 루테늄 이온간 결합인 Ru(bipy),,3,,과 dpp를 합성해 catenane 계량을 하기도 했고, 아예 구리화합물 외에 여러 금속화합물을 이용한 합성으로 유사한 구조물을 생성할수 있음을 밝혀 금속화합물을 서로 공유할수 있는 유기 배위자 킬레이트 사슬을 총칭하여 카테네인(Catenane)으로 확장시켰다. 이로 인해 위상 화학과 [[리처드 파인만|파인만]]이 제창했던 나노공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장피에르 소바주가 고안한 카테네인(Catenane)은 로탁세인(Rotaxane)과 함께 나노기계의 기본적인 툴인 기계적으로 맞물린 분자 구조(MIMA)을 구성하고 있다. 태동기였던 나노기술이 점점 첨단산업으로 대두되자, MIMA를 합성했던 다른 과학자들과 함께 2016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 [[분류:프랑스의 화학자]][[분류:프랑스의 공학자]][[분류:1944년 출생]][[분류:파리 출신 인물]][[분류:노벨화학상 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