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전남 장흥군에 건설중인 동명의 역, rd1=장흥역(경전선), other2=함북선의 동명의 폐역, rd2=장흥역(함북선))] ||<-3> {{{+2 '''장흥역'''}}}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곡역(고양)|{{{#!html
대곡 방면}}}]][[일영역|일 영]]--[br]← 2.4 ㎞ || [[무궁화호|{{{#ffffff {{{-1 교외선[br]무궁화호}}}}}}]][br]{{{#ffffff (미개통)}}} || --[[의정부역|{{{#!html
의정부 방면}}}]][[송추역|송 추]]--[br]4.0 ㎞ →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37.718700 126.941490,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Jangheung || || [[한자]] ||<-2> 長興 || || [[간체자]] ||<-2> 长兴 || || [[가나(문자)|가나]] ||<-2> [ruby(長興, ruby=チャンフン)] || ||<-3> '''주소''' || ||<-3>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권율로 17-16[br](舊 일영리 91-3) || ||<-3> '''관리역 등급''' || ||<-3> [[무배치간이역]][br]([[대곡역(고양)|대곡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 ||<-3> '''운영 기관''' || || [[교외선]] ||<-2> [[한국철도공사]] || ||<-3> '''개업일''' || || [[교외선]] ||<-2> 1965년 7월 21일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2> 2024년 예정[* 현재까지는 정차역 변경 계획이 없기 때문에, 그대로 영업을 재개할 확률이 높다.] || ||<-3> '''철도거리표''' || || [[능곡역|{{{#585858,#a7a7a7 {{{#!html
능곡 방면
}}}}}}]][[일영역|일 영]][br]← 2.4 ㎞ || '''[[교외선]]'''[br]장 흥 || [[의정부역|{{{#585858,#a7a7a7 {{{#!html
의정부 방면
}}}}}}]][[온릉역|온 릉]][br]0.8 ㎞ → || [목차] [Clearfix] == 개요 == [[교외선]]의 철도역.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권율로 17-16(舊 일영리 91-3번지) 소재. == 역 정보 == || [[파일:장흥역(교외선).jpg|width=100%]] || || 역사 || || [[파일:장흥역(교외선) 역명판.jpg|width=100%]] || || 역명판과 행선판 || || [[파일:장흥역(교외선) 승강장(2019년).jpg|width=100%]] || || 승강장 || || [[파일:장흥역(교외선) 승강장(2020년).jpg|width=100%]] || || 2020년 3월. 철로가 깨끗하게 정비되어 있다. || [[파일:장흥역 스탬프.jpg]] 장흥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현재 [[대곡역(고양)|대곡역]]에 비치되어 있다. 역명은 '''장흥면'''에 있다 하여 장흥역으로 정해졌으며, 전라남도 [[장흥군]]과는 한자까지 똑같다. 때문에 장흥군에 경전선 [[장흥역(경전선)|장흥역]]이 생기게 되면 역명이 바뀔 가능성도 있다. 아니면 두 장흥역 간에 직선 거리만 330km가 넘기 때문에 전산상으로만 이름을 바꾸고 장흥역을 두 개 지을 수도 있다.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가 있다'''. [[대한민국 철도청]] 시절, 점점 수요가 감소하는 교외선에 다시 사람들을 불러 모으기 위해 관광용 [[증기 기관차]]를 운행한 적이 있었다. 때문에 이 역과 일영역의 스탬프 도안이 증기 기관차가 된 것. 하지만 교외선 증기 기관차 운행이 끝나면서 장흥역은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고, 장흥역 스탬프는 [[교외선]]의 유일한 유인역인 '''[[일영역]]'''에 비치되었으나, 2013년 12월 일영역 임시 폐쇄 이후엔 두 스탬프 모두 [[대곡역(고양)|대곡역]]에 비치되어 있다. 이 역과 [[온릉역]] 사이의 선로는 2011년 4월부터 2012년 말까지 끊어져 있었다. 이 역과 온릉역 사이의 일영철교가 [[양주시]]의 도로확장 정책 때문에 철거되었기 때문이다. 2012년 11월 14일 확인 결과 이전이 완료되어 온릉에서 장흥까지 그대로 걸어서 이동 가능하다. 인근에 장흥 국민관광단지(구 장흥유원지)와 장흥조각공원, [[두리랜드]], 신흥유원지 등이 있어서 [[교외선]] 운행시에는 [[송추역]], [[벽제역]], [[일영역]] 등과 더불어서 행락객이 많았었다. 하지만 인근 도로교통의 발달로 [[자동차]]로 장흥유원지를 갈 수 있게 되니 철도 수요가 크게 줄어들어 영업중지를 하게 되었다. == 연계 버스 교통 == ||<-3><#51a121> {{{#ffffff '''장흥역 연계 버스 정보'''}}} || || '''정류소''' || '''구분''' || '''노선''' || ||<|2> '''장흥면행정복지센터'''[br](53793) ||<#33cc99> 시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양주 버스 19|{{{#fff 19(구파발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양주 버스 19|{{{#fff 19-1(구파발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양주 버스 22|{{{#fff 22(고양동)}}}]]}}} || ||<#3399FF>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양주 버스 15|{{{#fff 15-1구파발(구파발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양주 버스 15|{{{#fff 15-1지축(지축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양주 버스 15|{{{#fff 15A(지축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양주 버스 15|{{{#fff 15B(지축역)}}}]]}}} || ||<|2> '''한맥빌라'''[br](53111) ||<#33cc99> 시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양주 버스 19|{{{#fff 19(휴양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양주 버스 19|{{{#fff 19-1(휴양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양주 버스 22|{{{#fff 22(부곡리)}}}]]}}} || ||<#3399FF>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양주 버스 15|{{{#fff 15-1구파발(예뫼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양주 버스 15|{{{#fff 15-1지축(양주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양주 버스 15|{{{#fff 15A(장흥관광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양주 버스 15|{{{#fff 15B(장흥관광지)}}}]]}}} || || '''장흥''' (39037) ||<#33cc99> 시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38|{{{#fff 38(금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의정부 버스 360|{{{#fff 360(불광역)}}}]]}}} || || '''장흥''' (39038) ||<#33cc99> 시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38|{{{#fff 38(의정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의정부 버스 360|{{{#fff 360(의정부)}}}]]}}} || 장흥역에서 장흥 버스 정류장까지는 [[호국로(경기도)|호국로]]를 따라 좀 걸어야 한다. 인근에 장흥면주민센터(단방향), 한맥빌라 정류장이 있지만 교외선 양주 구간 연선지역으로 자주 오는 버스인 [[의정부 버스 360|360번]]은 정차하지 않는다. 다른 시외구간 운행 버스들은 배차 간격이 1일 10회를 넘지 않으니 외지에서 버스로 방문할 때는 장흥 정류장을 이용하는 게 효율적이다. 교외선 여객 취급 재개역 중에는 [[고양동]]에서 가장 빠르게 갈 수 있는 역이다. 개명산을 횡단하는 도로가 없어 직선거리로 가장 가까운 [[일영역]]보다 장흥역을 먼저 들르게 된다. 다만 이 구간을 운행하는 [[시외버스 3700|3700번]]이 하루 8회, [[파주 버스 38|38번]]이 하루 4회, [[양주 버스 22|22번]]이 100분여에 한 번 운행하여 배차 간격이 긴 것이 흠이다. == 승강장 == ||<-2> ↑ [[온릉역|온릉]] || || ㅣ || || ||<-2> ↓ [[일영역|일영]] || || || [[교외선]] ||--[[능곡역|능곡]]·[[벽제역|벽제]]·[[송추역|송추]]·[[의정부역|의정부]] 방면--[br]영업중지|| 역의 구조는 꽤나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단선 선로 옆에 승강장이 세워져 있고 승강장에 조그만한 역사가 세워져 있다. 물론 화장실과 역무실은 막아놓은 상태이다. 공식적으로 영업중지 상태지만, 드물게 화물열차가 다니고 있어서 법적으로는 폐선이 아니기 때문에 선로로 내려가서는 안 되며, 위반시 '''[[철도안전법]]에 의해 처벌받을 수 있다.''' 2022년 4월 5일 [[한국철도공사]]는 교외선 운행 재개에 필요한 안전진단을 위해 사전 조사로 하루 1~2차례씩 열차를 비정기적으로 운행하고 있다. 원릉역과 일영역 장흥역의 승강장이 노반 시설개량 공사를 시행하며 승강장이 철거되었다.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교외선의 역 목록)] [[분류:1965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양주시의 철도역]][[분류:교외선의 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