在来線 * [[철도 관련 정보]] [목차] == 정의 == 주로 일본 철도계에 사용되는 용어로, [[JR그룹]]의 노선 중에서 [[신칸센]]이 아닌 노선을 전부 재래선이라고 한다. 한국 철도계에서 대응되는 표현은 재래선이 아닌 '기존선' 내지는 '일반선'으로, 재래선이란 용어는 주로 일본 철도를 특정해서 이야기할 때 쓰인다. 정확히는, '[[전국신칸센철도정비법]]' 제2조에 규정되어있는 '신칸센 철도'의 노선에 해당하지 않는 노선을 의미한다. 1964년 [[도카이도 신칸센]]의 개업과 함께 신칸센과 기존 노선의 명칭을 분리할 필요가 있어 생겨난 표현이다. '신칸센 철도'의 기준은 "주요 구간을 200km/h 이상으로 주행할 수 있는 간선 철도"로 규정되어있다. 추가적으로 이 규정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표준궤]]이며 입체교차가 되어있어 [[건널목]]이 없어야한다. == 재래선에 해당되는 노선 == [[도카이도 신칸센]], [[산요 신칸센]], [[도호쿠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 [[죠에츠 신칸센]], [[큐슈 신칸센]], [[홋카이도 신칸센]]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재래선이다. 그냥 단순히 JR이 운영하는 노선 중 고속선을 제외하면 전부 다 재래선이다. [[야마노테선]] 등 JR이 운영하는 대도시 근교 노선은 당연히 재래선이며, [[도카이도 본선]] 등의 장거리 노선 역시 신칸센이 아니므로 재래선이다. [[야마가타 신칸센]]과 [[아키타 신칸센]]과 같은 [[미니 신칸센]]은 200km/h 이상을 낼 수 없어 신칸센으로 규정되어있지 않은 노선이다. 따라서 야마가타 신칸센의 [[후쿠시마역(후쿠시마)|후쿠시마역]] - [[신조역]] 구간과, 아키타 신칸센의 [[모리오카역]] - [[아키타역]] 구간은 신칸센이 아닌 재래선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 열차를 이용하면 신칸센 특급요금이 아닌 일반 특급요금을 받는다. 안내만 신칸센일 뿐 실제로는 신칸센이 아닌 구간. KTX가 기존선 구간을 운행하면 새마을호 특실 운임을 받고,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것과 같다. 또한 [[산요 신칸센]]의 [[하카타미나미선]] 구간과, [[죠에츠 신칸센]]의 [[갈라유자와선]] 구간도 [[전국신칸센철도정비법]] 상의 신칸센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구간 역시 재래선에 해당한다. == 관련 항목 == * [[신칸센]] * [[미니 신칸센]]: 한국 철도계에서 쓰이는 '''기존선'''의 정의에 부합하는 구간이다. * [[병행재래선]] [[분류:일본의 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