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야수족]]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재빠른)]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하급 몬스터 카드.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NimbleMomonga-DM4-JP-VG.png]] ||<#F8F8A0> {{{#000 한글판 명칭}}} ||<-4>'''재빠른 날다람쥐''' (비공식 번역명)|| ||<#F8F8A0> {{{#000 일어판 명칭}}} ||<-4>'''[ruby(素早, ruby=すばや)]いモモンガ'''|| ||<#F8F8A0> {{{#000 영어판 명칭}}} ||<-4>'''Nimble Momonga'''|| ||<#F8F8A0><-5> {{{#000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에서는 2.] || 숲마족 || 야수족 || 1000 || 100 || ||<-5>하늘을 날거나 육지를 달려 목을 날카로운 이빨로 물어 죽인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DM4]])}}}|| ||<-5>상대 주변을 날아돌아다녀, 날카로운 이빨로 목을 물어뜯는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088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재빠른 날다람쥐, 일어판 명칭=素早(すばや)いモモンガ, 영어판 명칭=Nimble Momonga, 레벨=2, 속성=땅, 종족=야수족, 공격력=1000, 수비력=100, 효과1=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자신은 1000 라이프 포인트를 회복한다. 또한 덱에서 "재빠른 날다람쥐"를 임의의 수만큼 뒷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LP 회복과 자기 자신을 [[리크루트]]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상대 LP에 데미지를 주는것이 아니라 자신의 라이프를 회복한다는 점과 앞면 공격 표시가 아니라 뒷면 수비 표시로 동명의 카드를 불러낸다는 점에서 완벽하게 [[자이언트 바이러스]]의 반대되는 카드. 레벨과 공수도 자이언트 바이러스와 동일하다. 전투로 파괴됐을 때 소재로 사용할 카드를 확보하는 '''전용''' 리크루트 몬스터. 같은 이름의 몬스터만 꺼낼 수 있지만 한꺼번에 2장을 내보낼 수 있다는 점과 LP 회복 효과가 은근히 리턴이 크다. 게다가 [[탐욕의 항아리]]을 활용하면 3개의 날다람쥐가 '''다시 덱에 들어가므로''' 다시 3000 LP를 회복할 발판이 마련된다. 단점이라면, 특수 소환 대상을 덱에서만 찾기 때문에 패에 2장 잡히기라도 하면 그냥 말리는 신세라는 것. 특히 효과 특성상 3장 투입이 되는 경우가 많아 이런 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좀비 캐리어]]처럼 패를 덱으로 되돌리는 수단을 확보해 두도록 하자. 더구나 현 환경에서는 전투 파괴시 발동하는 리크루트형 효과 몬스터는 느린 발동 속도와 수동성 때문에 사장당하는 추세다. 또한 뒷면 수비 표시 특수 소환이라는 것도 다루기 까다로운 것이, 이래서는 각종 소재로 쓰자니 싱크로, 엑시즈, 링크 소재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를 굳이 앞면 표시로 바꾼다고 쳐도 그 과정에서 타이밍 문제와 어드밴티지 손실은 생기기 마련. 앞면 표시만 대상으로 지정하는 제거 효과도 늘어나는 추세니 꼭 디메리트라 할 것까지는 없지만, 이전만큼 어드밴티지를 얻기 쉬운 카드 자리에서 내려왔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무엇보다 LP를 회복해도 회복한 수치를 잔뜩 뛰어넘는 죽창 카드, 전투 외에 방법으로도 없앨 수 있는 제거 카드들이 매우 늘어난지라 더욱 더 사용하기 힘들다. 대신 [[정크 워리어]]와는 매우 효율이 좋다. 필드에 오래 남기 때문에 레벨 2치고는 높은 데미지인 공격력 1000을 쉽게 공격력에 더할수 있고, [[기황제 그란엘∞]]을 쓴다면 그란엘의 화력 상승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 묘지로 간 녀석도 [[정크 싱크론]]으로 재활용이 가능하다. 과거에는 어드밴스 소환을 도와주는데다 LP 코스트도 보완해주었던 덕분에 [[숲의 파수꾼 그린 바분]]과 상성이 뛰어난 카드로 주목을 받았다. 물론 해당 카드의 재정이 변경된 뒤로는 데미지 스텝에 그린 바분의 효과를 쓰지 못하게 된 상태. 태그 듀얼에서는 같은 팀 플레이어가 둘 다 이 카드를 3장 풀 투입하고, 묘지에 묻은 뒤 [[탐욕의 항아리]]로 조건을 갖추면 단번에 5장 특수 소환도 가능해진다. [[유희왕 5D's]] [[유희왕 5D's/WRGP 편|WRGP 편]]에서는 [[팀 유니콘]]의 안드레가 [[후도 유세이]]와의 1차전 듀얼에서 사용. [[투쟁본능]]의 효과로 패에서 특수 소환되며 [[정크 아처]]의 직접 공격을 막으면서 전투 파괴 후 2장의 날다람쥐를 리크루트해왔다.[* 이 때 OCG와는 달리 앞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되는 것으로 나온다. 사실 작중에서는 앞면 수비 표시로 통상 소환이 가능한 영향인지 뒷면 수비 표시 소환이 묘사된 적이 없다.] 다음 턴에 그 중 1장은 [[백수왕 베히모스]]의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 릴리스되었으며, 베히모스의 효과로 묘지의 2장이 샐비지되었다. 나머지 1장은 함정 카드 '신사의 수장'의 효과로 파괴되어 [[숲의 파수꾼 그린 바분]]의 소생 효과를 발동시키는 데에 활용되었다. 이후 같은 팀 일원인 브레오의 덱에서도 투입된 것이 확인되었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0-07-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S-35 | '''Pharaoh's Servant - ファラオのしもべ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2-06-2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L1-070 | DUELIST LEGACY Volume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08-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C2-004 | [[프로모션 팩|2003/08 プロモーションカー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04-06-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1-JP051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0-04-2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T09-JP008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デュエルターミナル 「ヴァイロン降臨!!」]]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05-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01-JP046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 [ 2011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3-01-1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GS05-JP002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201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SE)] || ||<(> 2002-09-1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RL-086 | '''[[마법의 지배자|SPELL RULER]]'''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3-10-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TP4-014 | [[토너먼트 팩|TOURNAMENT PACK 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10-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B1-EN051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7-02-0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CP02-EN002 | CHAMPION PACK GAME TWO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8-07-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RP01-EN071 | RETRO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11-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LG1-EN072 | DARK LEGEND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9-08-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LDI-EN002 | DUELIST LEAGUE DEMO 2010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0-10-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MA-EN002 | [[스트럭처 덱 마리크편|STRUCTURE DECK - MARIK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05-2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T05-EN008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5A]]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10-0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CYW-EN235 | LEGENDARY COLLECTION 3 YUGI'S WORLD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1-06-1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EGO1-EN007 | EGYPTIAN GOD DECK: OBELISK THE TORMENTOR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3-04-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RL-EN086 | [[마법의 지배자|SPELL RULER (LC01 25th Anniversary Edi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4-05-0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RL-K086 | '''[[마법의 지배자]]'''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6-04-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BP1-KR051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8-03-1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YSD3-KR017 | [[스타터 덱 2008]]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09-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SP1-KR014 | [[익스팬션 팩|익스팬션 팩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3-04-0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GS05-KR002 | [[골드 시리즈|골드 시리즈 201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SE)] || == 관련 카드 == === [[재빠른#재빠른 하늘다람쥐|재빠른 하늘다람쥐]] === === [[자이언트 바이러스]]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재빠른, version=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