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잭 모리스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디트로이트 타이거스 개막전 선발 투수)] ---- [include(틀:미네소타 트윈스 개막전 선발 투수)] ---- [include(틀:토론토 블루제이스 개막전 선발 투수)] ---- ||
'''{{{#ffffff 잭 모리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3>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엠블럼(1964~1993).svg|height=70]][[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1987~2009).svg|height=70]][[파일:1992토론토우승로고.png|height=70]][br]'''MLB 월드 시리즈[br]우승반지''' || || '''[[1984년 월드 시리즈|{{{#f26722 1984}}}]]''' || '''[[1991년 월드 시리즈|{{{#d31145 1991}}}]]''' || '''[[1992년 월드 시리즈|{{{#ffffff 1992}}}]]''' || ---- ||<-5>
[[파일:1981 MLB 올스타전 로고.gif|height=70]][[파일:1984 MLB 올스타전 로고.gif|height=70]][[파일:1985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파일:1987 MLB 올스타전 로고.png|height=70]][[파일:1991 MLB 올스타전 로고.pn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1981년|{{{#ffffff 1981}}}]]'''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1984년|{{{#ffffff 1984}}}]]'''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1985년|{{{#ffffff 1985}}}]]'''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1987년|{{{#ffffff 1987}}}]]'''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1991년|{{{#ffffff 1991}}}]]''' || ---- [include(틀: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영구결번)]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height=20]]]] '''{{{#ffffff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ffffff 명예의 전당}}}]] 헌액자}}}''' || ||<-2> [[파일:Morris.web_.jpg|width=250]] || ||<-2> '''[[https://baseballhall.org/hall-of-famers/morris-jack|잭 모리스]]''' || || 헌액 연도 || [[2018년]] || || 헌액 방식 || 베테랑 위원회 추천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785, #ed174b)" [[1991년 월드 시리즈|[[파일:1991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height=20]]]] '''{{{#ffffff [[1991년 월드 시리즈|{{{#ffffff 1991년 월드 시리즈}}}]] MVP}}}'''}}} || || [[호세 리호]][br] ([[신시내티 레즈]]) || → || '''잭 모리스[br]([[미네소타 트윈스]])''' || → || 팻 보더스[br]([[토론토 블루제이스]])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1981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다승왕}}}''' || || [[스티브 스톤]][br]([[볼티모어 오리올스]]) || → || [[데니스 마르티네즈]][br]([[볼티모어 오리올스]])[br]스티브 맥캐티[br]([[오클랜드 애슬레틱스]])[br]'''잭 모리스[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br][[피트 부코비치]][br]([[밀워키 브루어스]]) || → || [[라마르 호이트]][br]([[시카고 화이트삭스]])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1992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다승왕}}}''' || || 스캇 에릭슨[br]([[미네소타 트윈스]])[br][[빌 걸릭슨]][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 || [[케빈 브라운]][br]([[텍사스 레인저스]])[br]'''잭 모리스[br]([[토론토 블루제이스]])''' || → || 잭 맥도웰[br]([[시카고 화이트삭스]])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1983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탈삼진왕}}}''' || || [[플로이드 배니스터]][br]([[시애틀 매리너스]]) || → || '''잭 모리스[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 || [[마크 랭스턴]][br]([[시애틀 매리너스]]) || ---- ||<-5> '''{{{#ffffff [[디트로이트 타이거스|{{{#ffffff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등번호 47번}}}''' || || 테리 험프리[br](1975) || {{{+1 →}}} || '''{{{#ffffff 잭 모리스[br](1977~1990)}}}''' || {{{+1 →}}} || '''[[영구결번/스포츠|영구결번]]''' || ||<-5> '''{{{#ffffff [[미네소타 트윈스|{{{#ffffff 미네소타 트윈스}}}]] 등번호 47번}}}''' || || 게리 웨인[br](1989~1990) || {{{+1 →}}} || '''{{{#ffffff 잭 모리스[br](1991)}}}''' || {{{+1 →}}} || 빌 크루거[br](1992) || ||<-5> '''{{{#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47번}}}''' || || [[주니어 펠릭스]][br](1990) || {{{+1 →}}} || '''{{{#ffffff 잭 모리스[br](1992~1993)}}}''' || {{{+1 →}}} || 지미 로저스[br](1995) || ||<-5> '''{{{#ffffff [[클리블랜드 가디언스|{{{#ffffff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등번호 47번}}}''' || || 스캇 스커더[br](1992~1993) || {{{+1 →}}} || '''{{{#ffffff 잭 모리스[br](1994)}}}''' || {{{+1 →}}} || 조 로아[br](1995~1996)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ack Morris.jpg|width=100%]]}}} || ||<-2> '''{{{#ccac00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No. 47}}}''' || ||<-2> '''{{{+2 존 스캇 "잭" 모리스}}}[br]John Scott "Jack" Morris''' || ||<|2> '''출생''' ||[[1955년]] [[5월 16일]] ([age(1955-05-16)]세) || ||[[미네소타|미네소타 주]] [[미니애폴리스-세인트 폴#s-1.2|세인트 폴]]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하이랜드 파크 고등학교 - [[브리검 영 대학교]] || || '''신체''' ||190cm / 88kg || || '''포지션''' ||'''[[선발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76년 드래프트 5라운드 (전체 98번, [[디트로이트 타이거스|DET]]) || || '''소속팀'''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77~1990)[br][[미네소타 트윈스]] (1991)[br][[토론토 블루제이스]] (1992~1993)'''[br][[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94) || || '''기록''' ||'''[[노히트 노런]] (1984.4.7)'''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전 야구 선수. [[1984년 월드 시리즈|1984년]]과 [[1991년 월드 시리즈|1991년]], 두 번의 월드 시리즈에서 보여준 맹활약으로 회자되는 빅 게임 피쳐이다. 통산 성적은 3,824이닝 동안 3.90 ERA, 254승 186패, 그리고 2,478탈삼진. == 선수 경력 ==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모르몬교]]도로서 모르몬교에서 만든 [[브리검 영 대학교]][* [[유타주]]와 [[하와이주]]에 캠퍼스가 있다.]를 나와 1976년 드래프트에서 5라운드에 지명받아 디트로이트에 입단했다. 마이너리그를 비교적 빨리 졸업했지만, 주로 마이너와 메이저리그를 왔다 갔다 하는 생활을 반복하다가 1979년부터 메이저리그 선발로 정착했다. 1979년 4월 전국 지상파 생중계에서 [[시카고 화이트삭스]]를 상대로 [[노히트 노런]]을 달성, 디트로이트의 에이스에 등극했다. 단축시즌이던 1981년 다승왕에 올랐으며, 1982년 20승 13패 293.2이닝, 1984년에는 정규 시즌 19승을 거두고, [[1984년 월드 시리즈|월드 시리즈]]에서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상대로 두 경기 모두 완투승을 따내며 디트로이트의 월드 시리즈 우승의 1등 공신이 되었다. 1987년에는 리그 우승이 달린 시즌 마지막 경기에 등판하여 명성대로 완투승을 거두고 팀을 챔피언십 시리즈로 이끌었다. 그 뒤로도 꾸준히 디트로이트 선발진의 일원으로 활동하다가 부상과 나이가 들면서 점차 하락세에 들어섰고, 결국 1990년을 끝으로 디트로이트를 떠났다. [kakaotv(381344177)] 고향 [[미네소타 트윈스]]에 FA로 최고연봉 선수 대우를 받고 1991년에 입단했는데, 이제 모리스의 시대는 끝나간다는 평가를 비웃듯, 전년도 꼴찌 미네소타를 선두로 이끄는 에이스로 승부사의 명성을 다시금 떨치며 그 해 지구 우승을 차지했다. 그리고 잭 모리스는 메이저리그 역사상 최고의 명승부가 펼쳐진 [[1991년 월드 시리즈]]에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를 상대로 초인적인 역투를 펼쳐 자신의 명성을 높일 수 있었다. 1,4,7 차전에 나와 2승을 따냈고, 특히 3승 3패로 맞서 우승을 가리는 최종 7차전에서 '''10이닝 완봉승'''으로 팀의 1:0 승리를 이끌어 낸 것이었다. 당연히 [[1991년 월드 시리즈]] MVP에 올랐다.[* 그리고 미네소타주 세인트폴 출신이라는 점까지 겹치며, 잭 모리스가 미네소타의 프랜차이즈 스타인줄 아는 사람도 국내에는 은근 많다. 대부분 7차전 상대였던 [[존 스몰츠]]를 찾아보다가 알게되는 초보 팬들이 특히 그런데, 모리스는 미네소타에서는 딱 1년만 뛰었다.] 92년 [[토론토 블루제이스]]는 잭 모리스를 영입했는데, 1992년 정규시즌에서 21승을 따내며 다승왕에 올랐지만 평균자책은 4.04로 썩 좋았다고 할 수 없었다. 게다가 역대 최고의 빅게임 피처라는 엄청난 명성과 달리 [[1992년 월드 시리즈|월드 시리즈]]에서는 2패 평균자책 8.44로 폭망했다. 어쨌거나 토론토는 우승했고, 이 때문에 잭 모리스는 1992년과 [[1993년 월드 시리즈|1993년]]의 우승 반지도 얻어 총 4개의 우승 반지를 가지고 은퇴할 수 있었다.[* 다만 토론토의 1993년 우승 때는 포스트시즌에 직접 참여한 것은 아니다. 정규시즌 때 7승 12패 방어율 6.19로 부진했고, 시즌 막판엔 부상아웃되었다. 그래도 정규시즌 때 참여한 공로로 우승 반지는 받았다.] 빅게임의 사나이, 우승청부사의 이미지답게, 메이저리그 기록인 14년 연속 개막전 선발투수이기도 했으며 1994년 클리블랜드에서 마지막으로 뛴 후, 파업 도중 은퇴를 선언했다. == [[명예의 전당 통계]](Hall of Fame Statistics) == * [[명예의 전당 통계|블랙잉크]], [[명예의 전당 통계|그레이잉크]], [[명예의 전당 통계|명예의 전당 모니터]], [[명예의 전당 통계|명예의 전당 스탠다드]] || ||블랙잉크||그레이잉크||HOF 모니터||HOF 스탠다드|| || 잭 모리스 || 20 || 193 || 122 || 39 || ||HOF 입성자 평균|| 40 || 185 || 100 || 50 || * [[명예의 전당 통계|JAWS]] - Starting Pitcher (164th) || ||career WAR||7yr-peak WAR||JAWS|| || 잭 모리스 || 44.1 || 32.8 || 38.4 || ||선발투수 HOF 입성자 평균|| 73.9 || 50.3 || 62.1 || == 엇갈리는 평가 == === 옹호론: 당대 최강의 선발투수 === 80년대 투구순위에서 162승으로 최다승 투수, 2443이닝으로 1위, 332선발 1위, 133완투 1위, 1629삼진 3위로 적다는 인상과 달리 삼진도 1980년대를 통틀어 3위다.[* 9이닝 당 탈삼진 6.00 탈삼진 형 투수는 아니지만 평균보다 높은 수치이다.] 선수생활동안 3,824이닝을 던졌는데, 선발등판한 경기의 무려 33%를 완투했으며(3번 나오면 1번은 완투했다!), 8이닝 이상 던진 경기가 절반에 가까운 47%이다. 8이닝 이상 경기 254회로 AL에 지명타자 도입이후 단연 최다 투수이다. (2위 블라일레븐 242회, 3위 로저 클레멘스 227회) 즉 80년대를 대표하는 올드스쿨 타입 에이스이다. 불같은 성격과 승부욕, 오만하고 자신에 찬 말투로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지만, 자타가 공인하는 최고의 승부사이자 강심장이기도 했다. 수많은 매체에서 80년대 최고의 우완투수로 랭크되었으며(좌완은 페르난도 발렌주엘라), 통산 3,824이닝을 던지고 14년 연속 개막전선발 (팀의 최고투수가 아닌데 개막전 선발로 내보내는 경우는 거의 없다. 자존심과 팀의 사기를 위해서라도.)이라는 엄청난 기록을 가지고 있다. 잭 모리스가 최고의 투수로 기억되고 있는 이유는 큰 경기에 강하다는 이미지와, 당대 함께 활동했던 선수들이나 코칭 스태프들이 그를 하나같이 '이겨야 할 경기를 반드시 이겨주는 투수' '1:0 이건 10:9던 이기는 경기에서는 끝까지 리드를 지켜주는 에이스'로 그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기 때문이다. 만약 세이버메트리션들이 득세하기 이전의 시대였더라면, 그 강렬한 이미지와 임팩트 때문에 단순히 평균자책점,탈삼진이나 2차스탯으로 폄하하는 말들은 나오지 않았을 것이다. 클래식 스탯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이었으나, 반대급부로 더 부정적으로 공격받는 '다승'이 단순한 운빨이나 승운, 타자의 도움이라고 지나치게 폄하하는 분위기가 강해지고 있는 요즘이라 더 그렇다. 그러나 투수의 선발승을 단순한 운빨이나 타자의 도움으로 폄하하기엔, 현재의 투수들도 질문하면 가장 가치있게 생각하는 것은 자신이 '선발로 리드를 내주지 않고 팀의 승리를 이끄는 것'이기 때문에, 평가가 심하게 갈리는 부분이다.[* 당연하다. 모든 팀 스포츠의 목적은 '''승리'''이다. 다만 '''팀''' 스포츠인만큼 개인이 승리를 좌지우지하지 못할 뿐이었다.] 특히 우리나라에선 잭 모리스의 경기와 시대 분위기를 라이브로 볼 일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자기가 본것만 과대평가하고 기록만으로 아는척 나불나불거리는 특기를 지닌 자칭 '메이저리그 고수유저'들에게 이런 성향이 크게 나타난다. 여러 매체에서 조사한 80년대 최고의 투수로 단골 1위를 차지했으며, 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데이브 스튜어트, 드와이트 구든, 로저 클레멘스보다도 80년대의 넘버원 투수로 미국인들에게 각인되어 있었다. 그의 별명 역시 국내에 MLB라는 단어는 커녕 '미국야구'라는 명칭으로 AFKN에서나 보던 시기라 알려지지 않았을 뿐, 80년대 국내 일간지나 주간지 등에 미국야구 기사가 나올때 특파원 기사로 자주 언급되던 인물이었으며, 블랙 잭이라는 별명도 그때도 인용되던 정도였고, 페르난도 발렌주엘라와 함께 미국 최고의 에이스로 기사가 나오기도 했었다. 모리스는 80년대 투수들의 로망이자 현재도 선발투수들의 미덕인 '선발투수의 임무는 완투'에 가장 충실했었고, 당대의 감독들이 가장 선호하는 유형의 선수였으며, 동료들 역시 에이스가 등판하면 끝까지 던져서 이긴다는 믿음을 가졌다. 이는 그의 뛰어난 이닝 소화 능력에 바탕을 둔 것이었는데, 점수는 내주더라도 리드를 내주지 않고 최대한 완투까지 경기를 끌고가는 능력이 탁월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풀타임으로 뛴 16년 중에서 11번이나 200이닝 이상을 기록했고, 두 번은 190이닝 이상이었다. 그리고 250이닝 이상 소화도 6번이다. 1979-1991 13시즌 연속 9완투 이상을 기록했고, 11번의 10완투 이상 시즌과 175번의 완투를 만들어낸 완투형 투수였다. 또한 선발 등판 33% 완투, 8이닝 이상 47%, 7이닝 이상 68%, 즉 3번의 한번은 완투, 절반은 8이닝 이상, 3분의 2 이상은 7회이상 던졌다는 뜻이다. 즉, 팀에 있어서는 등판하면 최대한 긴 이닝을 소화해주면서 팀과 감독에게 절대적인 믿음을 주는 투수이다. 전성기에는 비록 2점대는 아니어도 3점대 초반의 평균자책으로 에이스로 손색이 없었다. 그리고 시즌 향방에 중요한 경기에서나 포스트 시즌에 워낙 든든한 모습을 보여서, 당시의 기사나 팀의 인터뷰를 보면 '블랙잭이 팀을 승리로 이끌 것이다.' '우리 팀에는 에이스 중의 에이스가 나오는 날이다.' 라는 내용이 자주 보였다. 단, 말년에 워낙 얻어 맞으면서 평균 자책이 나 비율이 많이 올라간 케이스다. === 비판론: 외화내빈(外華內貧)의 질적 성적 === 통산 평균자책점 3.90과 이닝에 비해 작아보이는 2,478 탈삼진은 분명 대단한 선수이기는 하지만 어딘가 부족한 것은 분명했다. 무엇보다 '''18년 동안이나 선수로 뛰면서 단 한 번도 2점대 평균 자책을 기록한 적이 없다'''는 것이 결정적인 결격 사유였다. 잭 모리스가 전성기를 보낸 7~80년대는 전형적인 투고타저의 시대였다. 게다가 그는 선수 시절의 대부분을 투수 친화 구장에서 보냈다. 그 탓에 통산 조정평균자책점(ERA+)는 105에 불과하다. 무엇보다 야구 보는 시선이 달라진 2000년대 들어서는 과거의 명성이 오히려 야구를 보는 눈이 발전하지 못했던 시기의 한계로 인식하는 경향이 크다. 승수라는 것이 아주 의미 없다고 평가할 수는 없겠지만, 투수의 온전한 실력을 반영하는 데 적합치 못하다는 인식이 널리 퍼졌고, 이른바 빅게임 피처라는 것도 짧은 경기의 연속인 PO에서 단순히 아웃라이어적인 요소라고 평가할 수 있다는 점을 본다면, 더욱 그렇다. 그렇기 때문에 잭 모리스에 대한 평가는 단순히 스탯만 아는 사람들이 그냥 스탯만 보고 평가한 것이 아니라 야구를 보는 새로운 관점을 통해 재평가된 것에 가깝다. 즉, 당대에 평가받은 것이 시대가 달라졌다는 평가가 많이 내려갔을 수 있었다는 점이었다. 점점 승수보다는 조정평균자책점과 [[FIP]] 등의 가치가 급격하게 격상하면서 잭 모리스에 대한 평가는 분명 낮아졌다. 그리고 가장 결정적으로 이런 분위기가 대세가 되기 전에도 명예의 전당에서의 득표가 높지 못했다. 만일 그가 1980년대를 끝으로 딱 은퇴를 했다면, 하다 못해 1991년을 끝으로 은퇴했다면 디트로이트의 에이스이자, 빅 게임 피처의 명성으로 어떻게든 들어갈 수 있었겠지만, 그 빅게임 피처의 명성은 1992년과 1993년 월드시리즈에서 신나게 날려 먹었고, 지나고 보니 사이영 상 투표에서도 큰 실적이 없고, 다승의 평가가 낮아진 상황에서 평균 자책과 탈삼진이라는 투수 본연의 기량이 더 중요해진 영역에서는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도 못했다. 결국 잭 모리스에 대한 평가는 스탯만 아는 야알못들이 함부로 평가한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과거의 과대 평가를 제대로 교정한 것일 뿐이다. 그리고 위의 1980년대의 다승, 삼진과 같은 지표에는 함정이 있는데 1980년대 가장 많은 안타, 실점, 홈런을 맞은 선수도 바로 잭 모리스다. === 결과: 투표로는 탈락한 명예의 전당, 베테랑 위원회로 입성하다 === [[메이저리그 명예의 전당]] 투표에서 묘한 분위기가 도는 선수다. 분명 통산 커리어는 들어가기 좀 애매하나 1980년대를 대표한 최고의 선발투수이기도 하고, [[디트로이트 타이거즈]]의 중흥기를 이끈 프랜차이즈 스타라는 점도 있고, 두 번의 월드 시리즈의 임팩트도 엄청나게 크다. 하지만, 그 시대를 함께 보낸 사람들과 달리, 지나간 기록으로 보는 요즘에는, 솔직히 시대를 풍미한 특급 선수라고 하기에는 스탯이 어중간한 편이다. 다승왕 2회를 제외한다면 수상실적이 없고, [[사이영상]] 투표에서도 3위가 최고 성적이며, 대부분 투표에서 별 재미를 못 봤다. 물론 월드 시리즈의 임팩트가 없었다면, 진작 광탈했을 수 있었다는 의견도 틀린 것은 아니다.[* [[베이스볼 레퍼런스]]에서 가장 비슷한 커리어를 가졌다고 분석한 [[니카라과]]의 야구 영웅 [[데니스 마르티네즈]]가 첫 해 3.2%로 광탈한 것을 생각한다면 특히 그렇다. 두 번째로 비슷한 양반은 역시 빅 게임 피처로 명성이 높은 [[밥 깁슨]]이지만 이 양반은 승수만 적다 뿐이지 임팩트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서만 커리어를 보내서 프랜차이즈 속성을 모두 갖춘 역대급 우완이라 그리고 밥 깁슨과 잭 모리스는 승패에서만 커리어가 유사하고 실제 투구내용의 질은 아주 달랐다. 조정방어율에서 심각한 차이를 보이고, WAR에서 2배 가까이 많은 차이가 난다. 즉 현대적 관점에서 잭 모리스는 '''승수로 과대포장된 투수''']. 처음 20%대로 출발한 득표율은 13년차인 2012년 투표에서 66.7%까지 올라가는데 성공했다. 대개 이 정도면 14년차나 15년차에 입성을 노려봄 직도 한데, 문제는 14년차와 15년차에 나오는 인간들이 14년차인 2013년에 [[크레익 비지오]], [[커트 실링]]. 15년차인 2014년에 [[그렉 매덕스]], [[톰 글래빈]], [[프랭크 토마스]], [[제프 켄트]], [[마이크 무시나]] 이는 약물 의혹이 있는 [[배리 본즈]], [[로저 클레멘스]], [[새미 소사]], [[마이크 피아자]]를 빼고도 이 정도다. 그냥 울자. 그리고 14번째 해에는 67.7%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다시한번 입성에 실패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해였던 2014년 투표에서도 [[프랭크 토마스]], [[톰 글래빈]], [[그렉 매덕스]]가 입성하는 가운데 [[크레이그 비지오]]와 [[마이크 피아자]]를 제외한 나머지 선수들의 득표율이 떨어지는 가운데에서 그도 마찬가지로 오히려 득표율이 떨어지며 61.5%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투표로서의 입성은 실패하고 말았다. 실제 6이닝 1실점과 9이닝 4실점 중 어느 것이 더 가치 있는 투구인가는 논란이 있는 주제이다. 9이닝 4실점의 경우 한 게임을 한 투수만을 써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 팀에 큰 도움이 된다. 하지만 6이닝 1실점의 경우 아무리 막장인 불펜진이더라도 3이닝 3실점을 하는 경우는 많지 않은만큼 '팀'의 전체 실점은 더 줄일 가능성이 높다. 다만 이 경우는 불펜 투수를 소모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메이저리그는 불펜투수를 소모용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상기해보자. (물론 시대적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잭 모리스의 시대는 아직 선발 투수들이 긴 이닝을 투구하는게 미덕이었으며 1이닝 마무리 투수라는 개념은 등장조차 하지 않던 시기였다.) 하지만 반전이 일어났다. 그렇게 한동안 소식이 없다가 2017년 12월에 [[앨런 트래멀]]과 더불어 베테랑 위원회를 통해 명예의 전당 입성이 결정되면서 오랜 숙원을 풀어낼 수 있었다. == 기타 == 2013년부터는 토론토 블루제이스 라디오 방송국에서 일한다. 다만 [[보스턴 레드삭스]] 투수 [[클레이 벅홀츠]]의 [[부정투구]] 의혹을 제기했다가 [[보스턴 레드삭스]] 방송국 NESN에서 일하는 [[데니스 에커슬리]]에게 "업계에 갓 돌아온 주제에 증거도 없이 뭐하는 짓거리냐" 라는 내용의 일갈을 듣기도 했다. 결국 모리스는 벅홀츠에게 사과했다. 2019년 3월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홈구장 [[로저스 센터]]에서 열린 토론토와 디트로이트의 2019시즌 개막전에서 시구를 했다. 디트로이트에서 전성기를 보냈고, 토론토가 기록한 2번의 월드 시리즈 우승도 함께 했기 때문에 초청한 듯. 한국 시각으로 2021년 8월 18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와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의 경기 도중에 6회 [[오타니 쇼헤이]]의 타석에서 해설이 오타니를 어떻게 상대해야하는지 묻자 'very very carefully'라고 답했다. 그런데 이 말을 하는 과정에서 발음을 아시아인의 영어 억양을 흉내내서 하는 바람에 인종 차별 논란에 휩싸였고 9회에 사과 멘트를 날렸지만[* 'sorry if YOU were offended' 라는, '기분 나빴으면 죄송' 같은 내용인데, 인종차별주의자들의 단골 멘트라는 지적이 있었다고.] 결국 방송국에서 무기한 출연 정지 처분을 받았다. 그러나 23일만에 복귀를 하게 되었는데, 이에 대해서 논란의 여지[* 이 소식을 들은 [[데니스 애커슬리]]는 "인종차별을 일삼는 쓰레기를 영원히 퇴출시켜야 한다"며 분노했다.]가 남아있는 상황이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55년 출생]][[분류:1977년 데뷔]][[분류:1996년 은퇴]][[분류:세인트폴 출신 인물]][[분류:브리검 영 대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은퇴, 이적]][[분류:미네소타 트윈스/은퇴, 이적]][[분류:토론토 블루제이스/은퇴, 이적]][[분류:클리블랜드 가디언스/은퇴, 이적]][[분류: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분류:MLB 영구결번 선수]][[분류:월드 시리즈 MV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