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프로레슬링 관련 인물]][[분류:1979년 출생]][[분류:1996년 데뷔]][[분류:시카고 출신 인물]][[분류:미국 남성 아나운서]] [목차] == 프로필 == ||<-2> [[올 엘리트 레슬링|{{{#fff '''A'''}}}{{{#9e862d '''E'''}}}{{{#fff '''W'''}}}]] || || '''본명''' || Justin Jason Roberts || || '''링네임''' || '''Justin Roberts''' [br] Jason Roberts [br] JJ Roberts [br] Enzo Reed [br] Jae Sage [br] Justin Price || || '''생년월일''' || [[1979년]] [[12월 29일]] ([age(1979-12-29)]세) || || '''신장''' || 178cm || || '''체중''' || 77kg || || '''출신지''' || [[미국]] [[일리노이|일리노이 주]] [[시카고]] || == 소개 == 과거 [[WWE]]에서 활동했던 링아나운서. 현재는 [[올 엘리트 레슬링|AEW]]에서 활동 중이다. == 커리어 == === 인디단체에서 시작 === === [[WWE]]의 링 아나운서 === 2006년 [[ECW]]의 링 아나운서로 시작했다가 이후 2007년 스맥다운 링 아나운서인 토니 치멜[* 뉴 제너레이션 후기부터 링 아나운서를 맡았다. 1999년 경에는 스맥다운 링 아나운서로 옮기고(이때 새로 RAW 아나운서를 맡은 분이 [[릴리안 가르시아]]. PPV는 하워드 핑클이 2005년 [[레슬매니아 21]]까지 맡았다.).]과 서로 바뀌어 스맥다운으로 이동, 2009년 경에는 PPV의 링 아나운서도 맡고 있다. 2009년 [[릴리안 가르시아]]가 WWE를 잠시 떠났을 때 RAW로 옮기며 RAW 링 아나운서가 되었다. === 다시 인디단체 활동 그리고 [[올 엘리트 레슬링]] 합류 === WWE 퇴사 이후로는 [[타미 드리머]]가 설립한 단체 [[하우스 오브 하드코어]]에서 객원 링 아나운서로 활동하였고, 이외에도 각종 VIP 행사를 주최하는 일을 하고 있다. 2018년 9월 1일 [[코디 로즈]]와 [[영 벅스]]가 주최한 [[올 인(2018)|ALL IN]]의 링 아나운서로 발탁되었고, 2019년 4월 3일 [[올 엘리트 레슬링|AEW]] 링 아나운서로 채용되었다. == 여담 == * [[존 시나]]와 [[존 목슬리]] 등 '''존'''으로 시작하는 레슬러들의 링네임을 --특히 존을 '''좐'''처럼-- 찰지게 말하는 것으로 유명하다.~~존 모리슨은 예외였다는게 옥의 티~~ * 2017년 4월 1일에 자신의 자서전 '''Best Seat in the House'''을 출간했다. * [[가디언#s-2.10|가디언]], 소울 푸드, 스튜어트 세이브 히스 패밀리 등등 미디어 매체에서도 활동을 했다.[* 단역으로 출연한 영화로는 시애틀의 잠 못 이루는 밤, 블루칩스, 온리 더 롤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