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허난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허난성|{{{#000,#ddd 허난성}}}]]의 지급시'''}}} || ||<-3> {{{#ff0 '''{{{+1 [ruby(周口, ruby=Zhōukǒu)][ruby(市, ruby=Shì)] }}}'''[br]저우커우시 | Zhoukou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周口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허난성]] 저우커우시 촨후이구 광밍루 1호[br]河南省周口市川汇区光明路1号 || ||<-2> '''{{{#ffff00 지역}}}''' || [[화중]] || ||<-2> '''{{{#ffff00 면적}}}''' || 11,959㎢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2시할구 1현급시 7현 || ||<-2> '''{{{#ffff00 시간대}}}''' || UTC+8(北京时间)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전체인구}}}''' || 9,026,000^^(2020)^^ || ||<-2> '''{{{#ffff00 인구밀도}}}''' || 754.74/㎢ || ||<-2> '''{{{#ffff00 서기}}}''' || 장젠후이(张建慧) || ||<-2> '''{{{#ffff00 시장}}}''' || 지젠쥔(吉建军)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512억 7227만^^(2020)^^ || || '''{{{#ffff00 1인당}}}''' || $5,680.51^^(2020)^^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연꽃]] || || '''{{{#ffff00 시목}}}''' || [[회화나무]] || ||<-2> '''{{{#ffff00 차량번호}}}''' || '''豫P'''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陈, 周''' || ||<-2> '''{{{#ffff00 옛 명칭}}}''' || '''陈, 淮阳, 周家口'''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41'''16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394''' || ||<-2> '''{{{#ffff00 우편번호}}}''' || '''466'''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HA-16''' ||}}}}}}}}} || ||<-3> [[http://zhoukou.gov.cn|홈페이지]] || [[파일:중국 저우커우.jpg|width=480]]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허난성]] 동남부의 지급시. [[정저우]]에서 동남쪽으로 140km 떨어진 평지에 위치한다. 관할 인구 900만명 중 도시 자체에는 약 150만명이 거주하는데, 중심인 촨후이구에 서남쪽으로 연담도시화가 된 상수이현의 인구까지 합친 결과이다. 지명인 저우커우, 즉 주구는 '주가네 운송'을 의미하는 주가구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황허]]와 [[화이허]] 사이의 주요 강인 지아루허 (贾鲁河)와 잉허 (颍河)가 합류하는 지점에 도시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황허가 있는 정저우에서 남하한 지아루허는 시가지 서부에서 잉허와 만나고, 잉허는 다시 화이허로 합류한다. ㄹ 현재는 수운 교통이 미비하지만, 주변 비옥한 토지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집결지이며 식품/직물/제지업 등도 발달하였다. 2021년에는 애플 아이폰 공급업체 폭스콘의 공장이 세워졌다. [[헝다그룹]]의 창립자 쉬자인이 이곳 출신이고, '중국 최후의 황제' [[위안스카이]]가 동남쪽으로 15km 떨어진 샹청현 출신이다. [[뤄허]]-[[푸양]]간 철도가 지난다. 동북쪽 10km 지점의 화이양구는 고대 진현이었고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 있다. == 역사 == [[파일:저우커우 중국.webp|width=700]] 1693년에 세워진 저우커우 관제묘 시가지 동북쪽의 화이양구, 즉 진현은 [[춘추전국시대]] [[진(규성)|진나라]] (陳)의 수도였다. 진은 남쪽 [[초(춘추전국시대)|초나라]]의 속국이었는데, 그에게 2차례 멸망당했다가 복구될 정도로 허약하였다. 그리고 [[진민공]]이 [[오(춘추시대)|오나라]]와 연합해 초를 공격하며 배신했다가 기원전 478년 [[초혜왕]]의 공격을 받아 죽고 완전히 병합되었다. 그후 기원전 278년 [[진(영성)|진나라]] (秦)의 침공으로 기존 수도 영 ([[징저우]])을 상실한 [[초양왕]]이 임시로 천도하여 영이라 불렀다. 다만 기원전 241년 초양왕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초고열왕]]이 더 동쪽인 [[수춘]] ([[화이난시]] [[서우현]])로 천도하였다. 기원전 224년 초나라 멸망전 당시 일대는 진나라에게 정복되어 진군 (회양군)에 속하였다. 진 멸망의 단초가 된 [[진승·오광의 난]] 시에 진현은 반군이 세운 [[장초]] 정권의 수도로 기능하였다. [[한나라]] 때는 시가지 남쪽 외곽 상수이현에 여남군 여양현 (汝陽縣)이 설치되었다. 여남군은 북쪽의 진군과 함께 [[연주]] 자사부 휘하에 있었다. [[원술]]과 [[원소]]의 본적지가 바로 이곳이다. 북쪽 기주에 속한 위군 여양현 (黎陽縣)과 구분해야 한다. --이곳 역시 [[원담]]의 거점이었다-- 다만 점차 여남군은 서남쪽의 [[주마뎬]]으로 옮겨졌다. [[서진]]에 들어 [[상추시]] 일대를 중심으로 한 양군에 포함되었다가 다시 진군으로 돌아왔다. [[남북조]] 시기에는 남조와 북조의 경계에 해당하였고, [[송(육조)]]의 지배기에 예주 진군에 속하였다. [[당나라]] 시기에는 진주 (陳州)에 편성되었고, [[송나라]] 때에는 경서북로 회녕부가 설치되었다. 회녕부의 치소는 진현이었고, 완구현으로 개칭되었다. 한편 [[명나라]] 들어 해금 정책으로 대외 무역이 막히고 대신 내륙 수운이 활성화되며 운하화된 지아루허와 잉허, 샤잉허 등이 만나는 합수구인 저우커우가 하항으로써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저우커우는 한때 '작은 [[우한]]'으로 불리며 번영하였고, 시가지는 세 구역으로 나뉘어 성벽이 둘러졌다. 하지만 근대 들어 해금이 풀리고 철도가 놓이며 수로 관리비가 큰 내륙 무역은 쇠퇴하였다. 특히 정저우-우한 철도가 서쪽의 뤄허를 지나게 되며 중요성에 있어 그에 밀리게 되었다. 내륙 수운과 함께 쇠퇴했던 도시는 철도가 놓이고, 고속도로가 건설되며 교통과 상업의 중심지로 부활하였다. 70년대의 댐 건설로 전통적인 수운은 중단되었지만, 경공업 등 여러 산업이 발달하며 2000년 지급시로 승격되었다. 현재는 시가지끼리 비교해도 뤄허보다 더 큰 도시가 되었다. [[분류:허난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