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장착 마법 카드. [목차] == 저주의 부적 == [[파일:呪いのお札.jpg]] || 한글판 명칭 ||||||||'''저주의 부적'''|| || 일어판 명칭 ||||||||'''呪いのお札'''|| || 영어판 명칭 ||||||||'''Cursed Bill'''|| |||||||||| 장착 마법 || ||||||||||장착 몬스터가 파괴되는 것에 의해서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때, 묘지로 보내진 장착 몬스터의 원래 수비력[*듀얼링크스 절반]만큼의 데미지를 장착 몬스터의 컨트롤러의 라이프에 준다.||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에서 등장. 전투 / 효과 파괴를 가리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상대의 벽 몬스터에 장착시키고 [[블랙홀(유희왕)|블랙홀]] 등으로 날려먹는 방식으로 쓰인다. 대체로 [[비트 다운]] 덱은 수비력이 낮은 몬스터가 많아 웬만해서는 잘 쓰이지 않지만, 방해꾼 컨트리 비트다운 덱이나 [[초중무사]] 덱이라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다만 방해꾼 비트다운 덱이라면 방해꾼 컨트리가 깔리기 전에 장착해서 써야 하므로 번거롭다. == 니트로 유닛 == [[파일:external/img15.shop-pro.jp/59444553.jpg]] || 한글판 명칭 ||||||||'''니트로 유닛'''|| || 일어판 명칭 ||||||||'''ニトロユニット'''|| || 영어판 명칭 ||||||||'''Nitro Unit'''|| |||||||||| 장착 마법 || ||||||||||상대 필드 위 몬스터에만 장착 가능. 장착 몬스터를 전투에 의해서 파괴하여 묘지로 보냈을 때,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듀얼링크스 절반의]만큼의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 준다.|| 한참 옛날, [[잃어버린 천년]]에서 등장. 이 쪽은 공격력을 참조하기에 다소 높은 데미지를 기대할 수 있는 대신, 전투로 날려먹어야 해서 운용이 까다롭다. [[A·O·J 카타스톨]] 같은 카드는 효과로 파괴를 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무효고, [[주사천사 릴리]]처럼 자신이 상대 몬스터를 잡을 만한 화력을 가진 몬스터를 사용해야 한다. 이 카드와 궁합이 좋은 카드라고 한다면, 전투에서 질 일이 거의 없는 [[칠흑의 줌왈트]]나 [[사신 아바타]],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이 있겠다. 아바타는 무조건 상대 몬스터보다 공격력이 높고, 줌왈트의 경우에는 공격력이 더 높은 몬스터와 싸울 때는 공격력이 같아지는데다가 자신은 전투로 파괴되지 않기 때문이다.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은 특유 효과로 5000의 공격력을 통해 웬만한 몬스터들을 그냥 썰어넘긴다. 그리고, 장착 마법 중에 이 카드와 효율이 좋은 카드는 [[월경의 방패]]가 있다. 이름에 '니트로'라고 붙어 있지만, [[니트로 싱크론]]이 [[니트로 워리어|니트로 싱크로 몬스터]]만을 지정하는 효과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 카드는 딱히 카드군에 속한다거나 하는 건 없다. 원작에서는 나오지 않았으나, [[트론(유희왕)|트론]]이 블래스트 메달리온이라는 유사한 효과의 카드를 사용했다. == 블로섬 봄버 ==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51K9KK5%2BgCL._SY355_.jpg]] || 한글판 명칭 ||||||||'''블로섬 봄버'''|| || 일어판 명칭 ||||||||'''ブロッサム・ボンバー'''|| || 영어판 명칭 ||||||||'''Blossom Bombardment'''|| |||||||||| 일반 함정 ||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식물족 몬스터가 전투에 의해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고 묘지로 보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그 전투로 파괴한 몬스터 공격력[*듀얼링크스 절반]만큼의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 준다.|| [[빛나는 어둠]]에서 등장. 효과는 위에 존재하는 니트로 유닛과 유사한 효과이다. 다만, 함정 카드라서 속공성이 떨어지는 것이 흠. 원작에서는 [[이자요이 아키]]가 사용. [[스플렌디드 로즈]]로 [[우시오 테츠]]의 [[헬 트윈 컵]]을 전투로 파괴하고 효과 데미지를 먹여 끝장을 냈다. [[분류:유희왕/OCG/장착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