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라이트로드)] [목차] == 설명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449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한글판 명칭=저지먼트 드래곤, 일어판 명칭=裁きの龍(ジャッジメント・ドラグーン), 영어판 명칭=Judgment Dragon, 레벨=8, 속성=빛, 종족=드래곤족, 공격력=3000, 수비력=260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 묘지의 "라이트로드" 몬스터가 4종류 이상일 경우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10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 이외의 필드의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효과2=②: 자신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4장 묘지로 보낸다.)] >'''빛이 가득한 세계로부터 온 하얀 용의 모습이 그려진 아이콘.''' >'''그 포효는 사악한 자들을 심판하여, 봉인한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아이콘의 [[플레이버 텍스트]] 유희왕 내 설정상으로도, 실제 듀얼상에서도 [[라이트로드]]의 최종 병기. [[라이트로드]]의 "스스로 덱을 깎는 컨셉"은 사실 이 카드를 중심으로 디자인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러 라이트로드를 전개해 그 효과로 덱을 열심히 갈아 묘지에 라이트로드들을 쌓고, 조건이 충족되는 순간 이 카드를 불러내 필드를 모두 정리하고 직접 공격으로 승리하는 것이 라이트로드 덱을 플레이하는 데 있어 가장 큰 묘미. 많은 견제 카드가 발매되었지만 이 카드 1장과 1000 LP만으로 필드를 정리할 수 있다는 점과 그 후에도 이 카드만은 필드에 남아 상대에게 유유히 큰 전투 데미지를 줄 수 있다는 점은 충분히 매력적이다. 소환 조건이 충족되었다면 무코스트로 소환되어서 1장이고 2장이고 소환할 수 있는 점도 강력하다. 과거에 묘지로 보낸 후 샐비지하는 형식보다 이클립스 와이반과 페어리테일-백설을 활용하여 패로 가져오는게 훨씬 편리하고 간단해졌기에 언제나 일발역전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카드임은 분명하다. 이 카드의 단점 중 하나는 이 카드 자체가 묘지로 보내질 경우이다. 이에 따라 과거에는 [[죽은 자의 환생]]이나 [[빛의 소집]]을 넣어 그 약점을 보완했지만 [[이클립스 와이반]]의 등장으로 간편하게 서치가 가능하므로 묘지 회수 카드는 투입하고 있지 않다. 하지만 이클립스 와이반이 2019년 10월에 금지되어 약간의 타격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카드의 소환 조건이 충족되어있어도 소환 시 각종 프리 체인 마법 / 함정이나 [[신의 통고]]에 당해 효과를 써보기도 전에 제거당할 가능성도 높으며 [[스타라이트 로드]] 등의 광역 파괴 카운터 카드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 환경이 지나며 효과 파괴 내성이 붙은 몬스터에게도 무력하여 과거보다는 사용하기 힘들어졌다. 이를 반대로 활용하면 상대의 마법 / 함정의 어그로를 이 카드가 끌어줄 수 있으며 전개하기에 위협이 되는 상대 세트 카드를 일반 소환권 없이 강제로 사용하게 만들 수 있다. 정말 아쉽게도, 수비력이 딱 100 높은 바람에 한참 후 등장한 [[드래곤 자각의 선율]]로 서치하는 건 불가능하다. 이 카드의 이름은 일본에서는 '심판의 용'이라고 쓰고 저지먼트 드라'''군'''이라고 읽는 식이었다. 그런데 사실 드라군(Dragoon)은 용이 아니라 [[용기병]]을 뜻하는지라 그냥 용밖에 안 나와있는 이 카드는 저지먼트 드래곤이라고 해야 맞을 법한 일러스트. 그래서인지 TCG에서는 이름이 저지먼트 드래곤으로 바뀌었고 한국에서도 그렇게 나왔다. 그런데 [[라이트로드 아크 미카엘]]같은 카드를 보면 타고 다니기도 하는 모양이다. 정발 이전에는 루비를 읽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시기였던지라 큰 글자 부분만 그대로 읽었으며, 이때 '裁き' 부분을 '중재(仲裁)'라고 해석하여 중재의 용 혹은 중재룡이라고 줄여 부르는 경우도 있었고 아직까지도 가끔 보인다. 정발명이 '저지먼트 드래곤'으로 결정된 후에도 당시 이 카드가 준제한 카드였다는 점 때문에 중재의 용을 비튼 '''준제의 용'''이라고 일부러 불리기도 했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파괴의 빛]] || LOTD-KR019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점프 페스타 인비테이셔널 2009 || EV09-KR002 || [[시크릿 레어]] || 한국 || || || [[골드 시리즈]] 2010 || GS02-KR009 || [[노멀]][br][[골드 레어]] || 한국 || || || [[듀얼리스트 세트]] Ver. 라이트로드 저지먼트 || DS14-KRL01 || [[울트라 레어]] || 한국 || 텍스트 에라타 || || [[파괴의 빛|LIGHT OF DESTUCTION]] || LOTD-JP019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2010 || GS02-JP009 || [[노멀]][br][[골드 레어]] || 일본 || || || DUELIST EDITION Volume 2 || DE02-JP127 || [[슈퍼 레어]] || 일본 || || || [[골드 시리즈|THE GOLD BOX]] || GDB1-JP029 || [[골드 레어]] || 일본 || || || [[듀얼리스트 세트]] Ver. 라이트로드 저지먼트 || DS14-JPL01 || [[울트라 레어]] || 일본 || 텍스트 에라타 || || [[파괴의 빛|Light of Destruction]] || LOTD-EN026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Turbo Pack || TU01-EN000 || [[얼티밋 레어]] || 미국 || 절판 || || Legendary Collection 2 Mega-Pack || LCGX-EN249 || [[노멀]] || 미국 || || || Ra Yellow Mega-Pack || RYMP-EN104 || [[노멀]] || 미국 || || || Battle Pack Tournament 상품 || BATT-EN017 || [[패러렐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Realm of Light || SDLI-EN004 || [[노멀]] || 미국 || || == 역사 == 위력을 입증하듯 발매 이후 라이트로드는 엄청나게 날뛰었고, 결국 2008년 9월 1일에 준제한 카드로 지정되었다. 오랫동안 이 위치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2011년 3월 19일에 [[마스터 룰]] 2로 룰이 변경됨에 따라 소환 시에 제거당하면 효과를 못 쓰게 되어 [[다크 암드 드래곤|확인 사살되었다]]. 이런 하향 여부가 반영되었는지 2011년 9월 1일자 이후로 '''무제한'''이 되었다. 동시에 제한으로 풀려난 [[카오스 솔저 -개벽-]]과 함께 라이트로드 덱 유저들에게는 꽤 반가운 소식이었다. [[정룡]] 라이트로드가 몰락한 2015년에 새로 유행했던 [[크라운 블레이드]] 라이트로드에서는 투입률이 적었는데 랭크 4 엑시즈 몬스터가 주력인 크라운 블레이드에서는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같은 다른 피니셔도 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굳이 이 카드로 원턴킬에 목숨을 걸 이유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그래도 아예 빼버리지는 않고 1~2장 쯤 넣고 운좋게 패에 잡히면 비장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보통. 다만 [[테라나이트 프톨레마이오스]], [[Em(엔터메이지)|Em]] 데미지 저글러가 모두 금지되자 크라운 블레이드 라이트로드의 파워는 많이 약해졌으며 이클립스 와이반과 [[페어리테일(유희왕)|페어리테일-백설]]의 효과가 서로 시너지가 좋아 다시 3장 투입하게 되었다. 2009년 8월 30일 건슬링거 듀얼 서울 지역에서 시크릿 사양으로 배포되기도 했다. 20th 레전더리 드래곤즈에서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트리슈라]]([[빙옥룡 트리슈라|융합]])/[[다크 암드 드래곤|다크 암드]]([[격멸룡 다크 암드|엑시즈]])/[[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 |종언]]([[종언룡 카오스 엠페러|펜듈럼]]), V 점프에서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레다메]]([[암강룡 암흑 메탈|링크]])와 함께 리메이크 대상이 되었고, 싱크로 몬스터인 [[치천룡 저지먼트]]로 재탄생했다. == 관련 카드 == === [[퍼니시먼트 드래곤]] === === [[치천룡 저지먼트]] === [[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