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개요 == [[전국연합학력평가]] 2학년 시험의 2014학년도부터 현재까지 기출된 문학작품들의 목록이다. || * 연도마다 표로 제시하며, 제시문의 형태에 따라 ‘고전 시가 → 현대시 → 고전 산문 → 현대 소설 → 극·수필 → 갈래 복합[* 앞서 제시된 갈래들의 작품 중 서로 다른 두 갈래 이상의 작품이 엮여서 한 제시문으로 출제되는 경우 또는 제시문에 작품에 대한 이론을 설명하는 글이 포함된 경우. 예를 들어 고전 시가와 현대 수필이 또는 현대시와 고전 산문이 한 제시문에 출제될 경우 갈래 복합이다. 수능 연계 교재 등에서는 고전 시가 세 작품 또는 현대 소설 두 작품이 한 제시문에 동시에 출제될 때 이를 갈래 복합으로 분류하기도 하나, 이 문서에서는 같은 갈래가 한 제시문으로 엮인 경우는 갈래 복합으로 보지 않았다.]’으로 정리하였다. * 고전 작품과 현대 작품의 구분은 [[갑오개혁]]이 끝난 1896년을 기준으로 하였다. * 민요는 고전 시가, 설화[* 신화(본풀이 포함), 야담 등]와 판소리는 고전 산문, 민속극은 극으로 본다. * 수필과 극은 표의 같은 행에 기록하되, 수필은 작품 창작 년도에 따라 고전 수필·현대 수필, 극은 형식에 따라 민속극·희곡·시나리오 중 어디에 속하는지를 따로 병기하였다. * 작품에 제목이 없는 사설 시조 등은 시조의 앞부분을 일부 따서 제목 대신 적었다. * 정리된 작품들의 제목은 시험지에 제시된 제목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 2014학년도 == {{{#!folding [ A형 ] || || 3월(서울) || 6월(부산) || 9월(인천) || 11월(경기) || || 고전 시가 || [[윤선도]]의 「견회요」 || 윤선도의 「[[만흥]]」 || 이명한의 「꿈에 다니는 길이~」[br]작자 미상의 「바람도 쉬어 넘는 고개~」[br]작자 미상의 「나무도 바위돌도 없는~」[* 〈보기〉에 이옥봉의 「[[몽혼]]」이 추가로 제시되었다.] || 권호문의 「한거십팔곡」 || || 현대시 || [[김현승]]의 「플라타너스」 || [[이용악]]의 「전라도 가시내」 || [[김광규(시인)|김광규]]의 「[[상행#김광규의 시|상행]]」 || [[김남조]]의 「정념의 기」 || || 고전 산문 || 작자 미상의 「[[최고운전]]」 || 권필의 「주생전」 || 작자 미상의 「숙향전」 || 작자 미상의 「월영낭자전」 || || 현대 소설 || [[황순원]]의 「곡예사」 || [[김정한]]의 「[[모래톱 이야기]]」 || [[박완서]]의 「[[나목]]」 || [[한수산]]의 「밤길」 || || 극·수필 || 현대 수필: [[이태준(소설가)|이태준]]의 「일분어」 || 시나리오: [[오영수(소설가)|오영수]] 원작, [[신봉승]] 각색의 「[[갯마을(1965)|갯마을]]」 || 현대 수필: [[장영희]]의 「미안합니다」 || 희곡: [[이강백]]의 「북어 대가리」 || || 갈래 복합 || - || - || - || - || }}} {{{#!folding [ B형 ] || || 3월(서울) || 6월(부산) || 9월(인천) || 11월(경기) || || 고전 시가 || [[윤선도]]의 「견회요」 || 윤선도의 「[[만흥]]」 || 이명한의 「ᄭᅮᆷ에 단니ᄂᆞᆫ 길히~」[br]작자 미상의 「ᄇᆞᄅᆞᆷ도 쉬여 넘ᄂᆞᆫ 고ᄀᆡ~」[br]작자 미상의 「나모도 바히돌도 업슨~」[* A형보다 옛한글의 느낌이 살려서 제시되었고, 〈보기〉에 이옥봉의 「[[몽혼]]」이 추가로 제시되었다.] || 작자 미상의 「상사별곡」 || || 현대시 || [[유치환]]의 「[[깃발#유치환의 시|깃발]]」[br][[고은(시인)|고은]]의 「속 눈길」 || [[박용래(시인)|박용래]]의 「월훈」[br][[윤성택]]의 「산동네의 밤」 || [[이용악]]의 「[[그리움(이용악)|그리움]]」[br][[김준태(시인)|김준태]]의 「[[참깨를 털면서]]」 || [[윤동주]]의 「사랑스런 추억」[br][[박재삼]]의 「울음이 타는 가을 강」 || || 고전 산문 || 작자 미상의 「숙향전」 || 이옥의 「유광억전」 || 작자 미상의 「[[서동지전]]」 || 작자 미상의 「정진사전」 || || 현대 소설 || [[현진건]]의 「고향」 || [[김소진(소설가)|김소진]]의 「두 장의 사진으로 남은 아버지」 || [[박태원(소설가)|박태원]]의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 [[한수산]]의 「밤길」 || || 극·수필 || 현대 수필: [[이태준(소설가)|이태준]]의 「일분어」 || 시나리오: [[오영수(소설가)|오영수]] 원작, [[신봉승]] 각색의 「[[갯마을(1965)|갯마을]]」 || 현대 수필: [[장영희]]의 「미안합니다」 || 희곡: [[이강백]]의 「북어 대가리」 || || 갈래 복합 || - || - || - || - || }}} == 2015학년도 == || || 3월(서울) || 6월(부산) || 9월(인천) || 11월(경기) || || 고전 시가 || - || [[허난설헌]]의 「[[규원가]]」[* 〈보기〉에 [[정철]]의 「[[사미인곡]]」이 추가로 제시되었다.] || - || - || || 현대시 || [[조지훈]]의 「[[풀잎 단장]]」[br][[신경림]]의 「나목」 || 최두석의 「[[성에꽃]]」[br][[고재종]]의 「[[첫사랑(동음이의어)#고재종의 시|첫사랑]]」 || [[박목월]]의 「나무」[br]김선우의 「빌려줄 몸 한 채」 || [[이용악]]의 「풀벌레 소리 가득 차 있었다」[br][[고은(시인)|고은]]의 「[[선제리 아낙네들]]」 || || 고전 산문 || [[김만중]]의 「[[구운몽]]」 || 작자 미상의 「금우태자전」 || 작자 미상의 「곽해룡전」 || 서유영의 「육미당기」 || || 현대 소설 || [[오정희]]의 「옛 우물」 || [[박완서]]의 「배반의 여름」 || [[윤흥길]]의 「꿈꾸는 자의 나성」 || 윤흥길의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직선과 곡선]]」 || || 극·수필 || - || 현대 수필: [[김소운]]의 「특급품」 || - || - || || 갈래 복합 || 고전 시가: [[윤선도]]의 「[[어부사시사]]」[br]현대 수필: [[김용준(동명이인)#미술평론가|김용준]]의 「매화」 || - || 고전 시가: 허전의 「고공가」[br]고전 수필: [[이규보]]의 「방선부」 || 고전 시가: 이신의의 「사우가」[* 〈보기〉에 [[윤선도]]의 「[[오우가#시조 <오우가>(五友歌)|오우가]]」가 추가로 제시되었다.][br]현대 수필: [[이양하]]의 「나무」 || == 2016학년도 == || || 3월(서울) || 6월(부산) || 9월(인천) || 11월(경기) || || 고전 시가 || 작자 미상의 「두터비 파리를 물고~」[br]권섭의 「매화」 || [[이직(조선)|이직]]의 「가마귀 검다 ᄒᆞ고~」[br][[박팽년]]의 「가마귀 눈비 마ᄌᆞ~」[br][[이규보]]의 「여귀꽃과 백로[蓼花白鷺]」 || 작자 미상의 「만전춘별사」[br][[허난설헌]]의 「[[규원가]]」 || - || || 현대시 || [[김소월]]의 「접동새」[br][[배한봉]]의 「우포늪 왁새」 || [[박목월]]의 「만술 아비의 축문」[br]이정록의 「의자」 || [[백석(시인)|백석]]의 「선우사」[br]정일근의 「어머니의 그륵」 || [[이용악]]의 「하나씩의 별」[br][[신경림]]의 「갈구렁달」 || || 고전 산문 || 작자 미상의 「[[최고운전]]」 || 신광한의 「하생기우전」 || 작자 미상의 「[[황새결송]]」 || 작자 미상의 「김원전」 || || 현대 소설 || [[김동리]]의 「[[화랑의 후예]]」 || [[문순태]]의 「말하는 돌」 || 주인석의 「사잇길로 접어든 역사 – 소설가 구보 씨의 하루 2」[* 〈보기〉에 [[박태원(소설가)|박태원]]의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이 추가로 제시되었다.] || [[박완서]]의 「어느 시시한 사내 이야기」 || || 극·수필 || 희곡: 김의경의 「길 떠나는 가족」 || 희곡: 김인경의 「염쟁이 유 씨」 || 희곡: 오영진의 「정직한 사기한」 || 희곡: [[송영(1903)|송영]]의 「호신술」 || || 갈래 복합 || - || - || - || 고전 시가: 박인로의 「사제곡」, 이현보의 「농암가」[br]고전 수필: [[이숭인]]의 「상죽헌기」 || == 2017학년도 == || |||| 3월(서울) |||| 6월(부산) || || 고전 시가 |||| - |||| - || || 현대시 |||| [[정지용]]의 「[[유리창#정지용의 시|유리창 1]]」[br]나희덕의 「성 느티나무」 |||| - || || 고전 산문 |||| - |||| 작자 미상의 「정비전」 || || 현대 소설 |||| 송기원의 「다시 월문리에서」 |||| [[김정한]]의 「인간 단지」 || || 극·수필 |||| - |||| - || || 갈래 복합 || 고전 시가: [[허난설헌]]의 「빈녀음」[br]현대 수필: [[백석(시인)|백석]]의 「편지」 || 이론: ‘우화 소설의 유형과 의의’[br]고전 산문: 작자 미상의 「서대주전」, 작자 미상의 「[[토끼전|별주부전]]」 || 현대시: [[김용택]]의 「들국」[br]고전 수필: [[박제가]]의 「백화보서」 || 이론: ‘조선 시대 시조 발전의 양상’[br]고전 시가: [[윤선도]]의 「[[만흥]]」, [[정철]]의 「[[훈민가]]」 || || || 9월(인천) |||| 11월(경기) || || 고전 시가 || - |||| - || || 현대시 || [[고은(시인)|고은]]의 「자작나무 숲으로 가서」[br][[문태준(시인)|문태준]]의 「평상이 있는 국숫집」 |||| - || || 고전 산문 || 작자 미상의 「주봉전」 |||| 작자 미상의 「유문성전」 || || 현대 소설 || [[홍성원]]의 「무사와 악사」 |||| [[황석영]]의 「줄자」 || || 극·수필 || - |||| - || || 갈래 복합 || 이론: ‘한국 문학의 전통’[br]고전 시가: [[김춘택]]의 「별사미인곡」[br]민속극: 작자 미상의 「[[봉산탈춤|봉산 탈춤]]」 || 현대시: [[김기림]]의 「추억」, [[신경림]]의 「어머니와 할머니의 실루엣」[br]현대 수필: [[윤대녕]]의 「한 그루 나무처럼」 || 이론: ‘전기 가사와 후기 가사의 특징’[br]고전 시가: [[정극인]]의 「[[상춘곡]]」, 작자 미상의 「갑민가」 || == 2018학년도 == || || 3월(서울) |||| 6월(부산) || || 고전 시가 || - |||| - || || 현대시 || [[신석정]]의 「지도」[br][[손택수]]의 「목련 전차」 |||| - || || 고전 산문 || 작자 미상의 「숙향전」 |||| 작자 미상의 「임경업전」 || || 현대 소설 || [[김승옥]]의 「누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 [[전상국]]의 「동행」 || || 극·수필 || - |||| - || || 갈래 복합 || 고전 시가: 허전의 「고공가」, [[이원익]]의 「고공답주인가」[br]고전 수필: [[장유(조선)|장유]]의 「곡목설」 || 이론: ‘시의 전형적 인물’[br]현대시: [[정희성]]의 「저문 강에 삽을 씻고」, 나희덕의 「못 위의 잠」 || 고전 시가: [[이매창|계랑]]의 「이화우 흩뿌릴 제~」, [[정철]]의 「[[사미인곡]]」[br]현대 수필: [[법정(승려)|법정]]의 「[[무소유#승려 법정의 저서|무소유]]」 || || |||| 9월(인천) || 11월(경기) || || 고전 시가 |||| - || [[정철]]의 「[[속미인곡]]」[br]이담명의 「사노친곡」 || || 현대시 |||| - || - || || 고전 산문 |||| 작자 미상의 「강도몽유록」 || 작자 미상의 「강릉추월전」 || || 현대 소설 |||| [[박완서]]의 「아저씨의 훈장」 || [[김정한]]의 「어떤 유서」 || || 극·수필 |||| - || - || || 갈래 복합 || 이론: ‘시적 공간의 설정과 기능’[br]현대시: [[백석(시인)|백석]]의 「[[수라#백석의 시 "수라"|수라]]」, 송수권의 「까치밥」 || 고전 시가: 박인로의 「상사곡」[br]현대 수필: 유경환의 「고향 이루는 생각들」 || 현대시: [[서정주]]의 「다시 밝은 날에 – 춘향의 말 2」, 오세영의 「그리운 이 그리워」[br]고전 수필: [[이종휘]]의 「함해당기」 || == 2019학년도 == || || 3월(서울) || 6월(부산) || 9월(인천) || 11월(경기) || || 고전 시가 || - || [[정약용]]의 「고시」[br]작자 미상의 「시집살이 노래」 || - || - || || 현대시 || [[이용악]]의 「하늘만 곱구나」[br][[나태주(시인)|나태주]]의 「등 너머로 훔쳐 듣는 대숲 바람 소리」 || [[이성부]]의 「산길에서」[br][[윤동주]]의 「[[길(윤동주)|길]]」 || - || 윤동주의 「흰 그림자」[br][[복효근]]의 「연어의 나이테」 || || 고전 산문 || [[박지원(실학자)|박지원]]의 「민옹전」 || 작자 미상의 「[[백학선전]]」 || 작자 미상의 「[[두껍전]]」 || 작자 미상의 「권익중전」 || || 현대 소설 || [[김원일]]의 「손풍금」 || - || 김원일의 「노을」 || [[조정래]]의 「청산댁」 || || 극·수필 || - || - || 시나리오: [[이정향]]의 「[[집으로...]]」 || - || || 갈래 복합 || 고전 시가: 이세보의 「상사별곡」[br]현대 수필: [[정지용]]의 「다도해기 5 – 일편낙토」 || 현대 소설: [[윤흥길]]의 「날개 또는 수갑」[br]시나리오: [[선우휘]] 원작, [[이은성(작가)|이은성]]·윤삼육 각색의 「[[불꽃(영화)|불꽃]]」[* 〈보기〉에 [[불꽃(소설)|원작 소설]]이 추가로 제시되었다.] || 고전 시가: [[정철]]의 「[[속미인곡]]」[br]현대시: [[오규원]]의 「살아 있는 것은 흔들리면서 – 순례 11」, 나희덕의 「푸른 밤」 || 고전 시가: 최현의 「용사음」[br]고전 수필: [[정약용]]의 「원목」 || == 2020학년도 == ||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하여 3월 학력 평가가 1달 미뤄졌다. 하지만 시험 날짜와 상관없이 시험 명칭은 그대로 3월로 유지되었다.] || 3월(서울) || 6월(부산) || 9월(인천) || 11월(경기) || || 고전 시가 || - || - || 이휘일의 「저곡전가팔곡」[br]정훈의 「용추유영가」 || - || || 현대시 || [[한용운]]의 「달을 보며」[br]박남준의 「이사, 악양」 || [[신경림]]의 「수유나무에 대하여」[br]김기택의 「멸치」 || [[기형도]]의 「바람의 집 – 겨울 판화 1」[br]허영자의 「씨앗을 받으며」 || [[이육사]]의 「[[절정(시)|절정]]」[br][[김남조]]의 「생명」 || || 고전 산문 || 작자 미상의 「소대성전」 || 작자 미상의 「이대봉전」 || 작자 미상의 「이학사전」 || 임방의 「소설인규옥소선」[* 시험지에는 제목을 줄여서 「옥소선」이라고 표기되었다.] || || 현대 소설 || [[이태준(소설가)|이태준]]의 「촌뜨기」 ||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 || [[박완서]]의 「카메라와 워커」 || [[문순태]]의 「[[철쭉제#문순태의 소설|철쭉제]]」 || || 극·수필 || - || - || - || -[* 제시문으로 직접 출제하지는 않았으나, 현대 소설로 출제된 문순태의 「철쭉제」의 일부를 시나리오로 각색하여 상효 비교를 시키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 || 갈래 복합 || 고전 시가: 박인로의 「독락당」[br]현대 수필: [[조지훈]]의 「방우산장기」 || 고전 시가: 이정의 「풍계육가」[br]고전 수필: 이학규의 「포화옥기」 || - || ‘고전 시가의 대화체’[* 두 고전 시가 [[정철]]의 「[[속미인곡]]」과 임유후의 「목동문답가」에 사용된 대화체에 대한 설명문이다.] || == 2021학년도 == || || 3월(서울) || 6월(부산)[* 「대장간의 유혹」과 「율리유곡」은 당해 수능 특강과 출제가 겹쳤는데, 두 작품 모두 다음 날 2022학년도 6월 모의 평가에 그대로 연계되어 엉겁결에 예언을 해 버렸다.] || 9월(인천)[* 앞선 6월 학력 평가와 마찬가지로 「다시 봄이 왔다」가 당해 수능 특강과 출제가 겹쳤다. 하지만 이 작품은 모의 평가와 수능에 연계되지 않아 그냥 우연으로 그쳤다.] || 11월(경기) || || 고전 시가 || - || - || - || - || || 현대시 || - || 오세영의 「열매」[br][[김광규(시인)|김광규]]의 「대장간의 유혹」 || [[이성복]]의 「다시 봄이 왔다」[br]김기택의 「벽」 || [[이용악]]의 「항구」[br]이정록의 「희망의 거처」 || || 고전 산문 || 작자 미상의 「월왕전」 || 작자 미상의 「[[옥단춘전]]」 || [[김만중]]의 「[[구운몽]]」 || 작자 미상의 「유씨전」 || || 현대 소설 || 이선의 「티타임을 위하여」 || [[서유미]]의 「저건 사람도 아니다」 || [[양귀자]]의 「모순」 || [[김원우(소설가)|김원우]]의 「아득한 나날」 || || 극·수필 || 희곡: 신명순의 「전하」 || - || - || - || || 갈래 복합 || ‘시에 나타난 운명론적 세계관’[* ‘운명론적 세계관’에 대하여 언급한 후, 이것이 드러난 두 예시로 [[백석(시인)|백석]]의 현대시 「[[흰 바람벽이 있어]]」와 정훈의 고전 시가 「탄궁가」를 제시한 설명문이다.] || 고전 시가: 김광욱의 「율리유곡」[br]고전 수필: [[윤휴]]의 「육우당기」 || 고전 시가: [[이황]]의 「[[도산십이곡]]」[br]현대 수필: [[이희승]]의 「뒤지가 진적」 || 고전 시가: 조우인의 「매호별곡」[br]고전 수필: [[어유봉]]의 「양저설」 || == 2022학년도 == || [* 9월 학력 평가가 이례적으로 8월 31일에 시행되었다. 하지만 이름은 그대로 9월 학력 평가로 유지.] || 3월(서울) || 6월(부산) || 9월(인천) || 11월(경기) || || 고전 시가 || - || - || - || - || || 현대시 || 나희덕의 「[[그 복숭아나무 곁으로]]」[br][[복효근]]의 「잔디에게 덜 미안한 날」 || [[이상(작가)|이상]]의 「[[거울(이상)|거울]]」[br]천양희의 「가시나무」 || [[김춘수]]의 「겨울밤의 꿈」[br][[오규원]]의 「개봉동과 장미」 || 김춘수의 「부재」[br][[황동규]]의 「삶을 살아낸다는 건」 || || 고전 산문 || 작자 미상의 「월영낭자전」 || 작자 미상의 「진성운전」 || 작자 미상의 「왕경룡전」 || 작자 미상의 「[[두껍전]]」 || || 현대 소설 || [[김주영(소설가)|김주영]]의 「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 || [[김애란]]의 「노찬성과 에반」 ||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조세희의 연작 소설집|잘못은 신에게도 있다]]」 || [[염상섭]]의 「효풍」 || || 극·수필 || - || - || - || - || || 갈래 복합 || 고전 시가: 우탁의 「한 손에 막대 잡고~」, 작자 미상의 「임이 오마 하거늘~」[br]현대 수필: [[김상용(시인)|김상용]]의 「백 리 금파에서」 || 고전 시가: [[이색(고려)|이색]]의 「부벽루」, 김득연의 「산중잡곡」[br]고전 수필: [[박지원(실학자)|박지원]]의 「능양시집서」 || 고전 시가: [[백광홍]]의 「관서별곡」[br]고전 수필: [[임춘]]의 「동행기」 || 고전 시가: [[이긍익]]의 「죽창곡」[br]고전 수필: 홍우원의 「노마설」 || == 2023학년도 == || [* 경기도교육청의 [[2022학년도 11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정보 유출 사건|성적 유출 사건]]으로 인하여 2023년은 경기도교육청 주관 학력 평가만 한 달씩 미뤄졌다. 하지만 이름은 그대로 11월 학력 평가로 시행되었다.] || 3월(서울) || 6월(부산) || 9월(인천) || 11월(경기) || || 고전 시가 || - || - || - || - || || 현대시 || [[윤동주]]의 「소년」[* 당해 고1 6월 학력 평가와 출제가 겹쳤다.][br]김기택의 「봄날」 || 정끝별의 「현 위의 인생」[br]나희덕의 「뿌리로부터」 || [[정지용]]의 「해바라기 씨」[br][[신경림]]의 「낙타」 || [[박목월]]의 「하단에서」[br][[함민복]]의 「감나무」 || || 고전 산문 || [[김시습]]의 「[[이생규장전]]」 || 작자 미상의 「소학사전」 || 작자 미상의 「[[유충렬전]]」 || 작자 미상의 「음양옥지환」 || || 현대 소설 || 조해일의 「매일 죽는 사람」 || [[한승원]]의 「어머니 – 한 1」 || [[이태준(소설가)|이태준]]의 「고향」 || [[서영은(소설가)|서영은]]의 「삼각돛」 || || 극·수필 || - || - || - || - || || 갈래 복합 || 고전 시가: 박인로의 「노계가」[br]현대 수필: [[이태준(소설가)|이태준]]의 「자연과 문헌」 || 고전 시가: 구강의 「북새곡」, 신교의 「귀산음」[* 「귀산음」은 당해 고3 7월 학력 평가와 출제가 겹쳤다.][br]현대 수필: [[안도현]]의 「엿장수 생각」 || 고전 시가: [[이황]]의 「만보」[br]현대 수필: [[윤동주]]의 「별똥 떨어진 데」 || 고전 시가: 정언유의 「탐라별곡」[br]고전 수필: [[채제공]]의 「안화설」 || [[분류:전국연합학력평가]]